UN 안보리 ‘AI논의’에 美‧中 ‘긍정적’, 러는 ‘글쎄’

18일 UN본부서 진행, 美 대사 “AI 등 신기술에 국가간 협력 필요”
구테흐스 사무총장 “AI, 세계평화에 심각한 결과 초래할 수 있어”

 

[더테크=문용필 기자] UN(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가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공식회의를 개최했다. 미국과 중국은 AI의 폐해를 막기위한 UN의 노력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지만 러시아는 다소 의문섞인 반응으로 온도차를 보였다.

 

(관련기사: UN 안보리, AI위험성 관련 첫 공식 논의 나서)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18일 미국 뉴욕 UN본부에서 진행됐다. 세계평화와 안전유지, 분쟁해결을 위한 주요기구인 UN안보리가 향후 현실화될 수 있는 AI의 위험성에 대해 선제적인 논의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않다고 볼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회의에서 제프리 드 로렌티스 UN주재 미국 차석대사는 “어떠한 회원국도 AI를 이용해 사람들을 검열, 제한, 억압, 또는 무력화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평화와 안보를 훼손할 수 있는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AI를 비롯한 신기술에 대해 국가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로렌티스 대사의 의견이었다.

 

장준 중국대사도 발언에 나섰다. AI를 ‘양날의 검’이라고 표현한 장 대사는 AI 관련 원칙 수립에 있어 UN이 중앙 조정자 역할을 맡는 것에 대한 ‘베이징’의 지지의사를 전달했다. 장 대사는 “(AI가)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선한 것인지 사악한 것인지는 인류의 활용‧규제방안, 과학발전‧보안의 균형에 달려있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러시아의 입장은 조금 달랐다. 국제평화와 안보 유지를 담당하는 안보리가 AI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의문을 표시한 것. 드미트리 폴리안스키 차석대사는 “필요한 것은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에 기반한 토론이다. 몇 년이 걸릴 수 있다”며 “이미 전문적인 플랫폼에서 진행중인 토론”이라고 봤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브리핑에 나선 안토니오 구테흐스 UN사무총장은 “AI의 군사적, 비군사적 적용 모두 세계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같은 모델로 AI를 관리하는 새로운 UN기구의 창설 주장에 대해 지지 입장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