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슈나이더 일렉트릭]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50731/art_1753748277544_9ddc72.jpg?iqs=0.37236032000756936)
[더테크 이지영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공급망 탈탄소화 위해 공급업체의 규모나 지속가능성 수준과는 무관하게 누구나 쉽게 참여 가능한 직관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29일 기업의 공급망 전반에 걸친 탄소 배출 감축을 지원하는 디지털 플랫폼 ‘자이고 허브(Zeigo™ Hub)’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 세계 공급망은 고객, 규제기관, 이해관계자 등으로부터 지속가능성 관련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배출량 측정과 공시, 감축 활동에 대한 투명성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새롭게 선보인 자이고 허브는 기업들이 스코프3(Scope 3) 감축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글로벌 넷제로(Net-Zero) 이행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합 솔루션이다. 공급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듈형 플랫폼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한다.
자이고 허브는 공급업체의 규모나 지속가능성 수준과 무관하게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UI)과 맞춤형 온보딩 기능, 자체 교육 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공급업체들은 플랫폼 등록과 동시에 배출량 산정 및 관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정적인 데이터 수집을 넘어 학습 경로 제공, 감축 도구, 벤치마킹 기능 등을 통해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스폰서 기업은 플랫폼을 통해 공급망 전반의 감축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글로벌 공시 기준에 맞는 데이터 출력을 지원받을 수 있다.
참여하는 모든 공급업체는 감축 로드맵, 솔루션 공급사와의 연결 기회를 무상으로 제공받으며, 비용은 전액 발주처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중소 규모 공급업체도 비용 부담 없이 지속가능성 여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포용적인 참여 환경을 조성했다. 더불어, 자이고 허브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글로벌 전문가 네트워크 및 탈탄소 컨설팅 서비스와도 연계되어 실질적인 실행을 돕는다.
이번 플랫폼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지난 5월 선보인 AI 네이티브 생태계 기술이 처음으로 적용됐다. 웹 스크래핑 기반의 자동 데이터 수집, 초대 프로세스 자동화, 참여율 모니터링 등의 AI 기능을 활용해 공급업체의 참여 진입 장벽을 대폭 낮췄으며, 스폰서 조직 입장에서는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