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HD현대가 미국 AI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Anduril Industries, 이하 안두릴)와 손잡고 무인수상정(USV) 개발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HD현대는 최근 안두릴과 서울 계동 현대빌딩에서 ‘무인수상정 개발 및 시장 진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안두릴은 방산을 전문 영역으로 하는 미국의 AI 테크 기업이다. 첨단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임무 통제 체계, 감시 정찰 체계, 무인잠수정, 드론 등 다양한 제품을 미 해군과 국방부, 호주 국방부 등에 납품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HD현대가 보유하고 있는 자율운항 기술과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솔루션을 결합해 무인수상정(USV)을 개발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 진출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HD현대는 항해자동화, 기관자동화, 통합안전관제 등 그동안 개발, 상용화 해온 AI 자율운항 선박 핵심 기술에 함정에 특화한 기능들을 결합해 AI 함정 자율화 기술을 개발한다. 안두릴은 전장(戰場)에서 무인수상정들의 군집제어 및 임무수행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자율 임무 수행 체계 개발을 담당한다. 함정 자율화 기술과 자율 임무 수행 체계의 결합은 무인수상정의 컨트롤 타워로 기능하며 원활한 작전 수행과 함께 안전한 운항까지 담보하게 된다.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대표는 “차세대 함정 시장의 핵심인 무인 함정 개발을 AI 방산 분야 혁신 기업 안두릴과 함께 할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첨단 AI기술로 승조원 절감형 함정과 무인함정 개발을 조속히 현실화해 해군의 유무인 복합전력 획득과 함정 수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두릴 브라이언 쉼프 공동설립자 겸 최고경영자는 “세계 1위의 조선 해양 기업과 협력해 무인함정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 무인함정 시장 진출에 HD현대와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HCL테크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프로그램 ‘SAFE™’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SP)로 선정되었다고 4일 발표했다. HCL테크와 삼성의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엔지니어링 및 R&D 서비스에 대한 HCL테크의 광범위한 전문성을 활용하여 반도체 혁신과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HCL테크는 SAFE™-DSP 반도체 설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삼성의 최첨단 공정 기술을 활용하는 반도체 고객들이 더 쉽고 효율적으로 맞춤형 반도체를 설계할 수 있도록 ASIC(특정 용도에 맞춰 설계된 주문형 반도체)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삼성은 HCL테크 직원들에게 첨단 기술을 교육하고 턴키 프로젝트에 대한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MPW(Multi-Project Wafer, 하나의 웨이퍼에서 여러 시제품 생산)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웨이퍼 접근성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프로토타이핑 및 생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송태중 삼성전자 Technology Planning팀 상무는 “HCL테크의 인도 내 강력한 입지와 SoC 플랫폼 및 IP 파트너십 분야에서의 글로벌 전문성과 역량은 차세대 실리콘 솔루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CL테크와 삼성의 이번 파트너십은 혁신과 기술 우수성에 대한 공동의 의지를 강조하며, 새로운 실리콘 기술의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산제이 굽타 HCL테크의 북아시아 담당 부사장은 “반도체 산업은 지속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삼성 Foundry와의 파트너십은 혁신과 최첨단 맞춤형 실리콘 솔루션 개발에 대한 자사의 헌신을 보여준다. HCL테크와 삼성 Foundry의 강점을 결합하여 반도체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에 쓰이는 탄소나노튜브로 햇빛만 쬐어도 99.8%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1만 번 이상 접었다 펴도 사용 가능한 친환경 마스크를 개발해 의료 및 산업 분야에 혁신적인 방역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이형우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학교 및 고려대학교와 협력해, 롤투롤(Roll-to-Roll) 공정으로 제작된 탄소나노튜브(CNT) 기반의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마스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됐지만, 기존 일회용 마스크는 플라스틱 폐기물과 같은 환경문제와 1회 사용 이후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고효율 마스크 필터 개발이 요구돼 왔다. 이번에 국내 연구팀이 개발한 신형 마스크는 건식 방사가 가능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 롤투롤 공정 적용이 가능해 대면적 생산이 가능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탄소나노튜브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결합할 수 있어 기존 제조 방식 대비 높은 산업적 활용성을 갖췄다. 기존 일회용 마스크의 환경문제와 기능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이 마스크는 초소수성(超疏水性)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접촉각 175.53도)를 마스크에 적용해 탄소나노튜브가 갖는 우수한 특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마스크는 수직 배열 탄소나노튜브의 정렬 구조를 통해 뛰어난 통기성을 가져 마스크 내부의 습기 관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가 갖는 특성에 의해 태양광 또는 전기적 가열(Joule heating)을 통한 바이러스 비활성화 효과(99.8% 바이러스 제거)도 확인했다. 또한, 마스크 착용 후 호흡 시 탄소나노튜브의 저항 변화를 통해 스마트 기능(호흡 센서, 습기 감지 기능) 제공이 가능하며, 1만 회 이상의 굽힘 시험 후에도 특성이 변하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갖추고 있어 기존 마스크의 단점을 보완해 차세대 의료 및 산업용 방역 마스크로의 적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이형우 부산대 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환경친화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고성능 마스크를 개발했으며, 향후 실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AI기반을 활용한 차세대 미디어 핵심기술을 미국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전시회에서 일반에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5일부터 나흘간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인 ‘NAB 2025’에서 연구진이 개발한 방송 미디어 관련 최신기술을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다시점 자유도를 제공하는 인터넷 동영상서비스(OTT) 플레이어 지능화 기술,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타버스 트러스트 레이어 기술, 사용자 주도 초실감 볼류메트릭 에셋 생성 및 거래기술, 초실감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실사 기반 입체영상 공간컴퓨팅 기술 , 사용자 선택형 UHD 입체미디어 서비스 기술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ETRI가 공개하는 다시점 자유도를 제공하는 OTT 플레이어 지능화 기술은 시청자의 관심 객체를 AI 기술로 실시간 검출하고 분석한다. 분석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시청자가 객체를 터치하면 좌우 회전된 다시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해 쇼핑, 링크 등 다양한 부가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시청 이력 기반 추천에서 벗어나 객체 기반 콘텐츠 추천 기술을 적용해 개인화와 몰입도를 높였다. 메타버스 트러스트 레이어 기술은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가 유출되거나 탈취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메타버스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신체 정보, 질병 이력 등 민감한 데이터를 차등 프라이버시 기술로 처리해 외부 노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네트워크상에서 참여자의 활동 내역이 추론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어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사용자 주도 초실감 볼류메트릭 에셋 생성 및 거래 기술은 초고화질 볼류메트릭 영상을 디지털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현실의 사물을 직접 3D 에셋으로 변환하고 이를 거래할 수 있다. 핵심 기술로는 객체 분해, 포인트 클라우드 보완, 자동 메타데이터 생성, 마켓플레이스 연동 기술 등이 있다. 초실감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실사 기반 입체영상 공간컴퓨팅 기술은 실제와 유사한 3D 공간을 디지털로 구현한다. 이 기술ㅇ은 공연이나 스포츠 장면을 실감형 입체공간으로 재현하며, 실사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국제방송장비전시회(NAB)의 커티스 레게이트 회장은 “ETRI가 NAB 2025에서 선보인 인공지능(AI) 기반 미디어 기술은 방송·미디어 산업의 미래에 있어 중대한 기술적 혁신이다”라고 평가했다. 이태진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은 “이번 NAB 2025를 통해 ETRI의 첨단 미디어 기술 역량을 널리 알리는 한편, 국내 미디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AWS 마켓플레이스의 한국 확장을 3일 발표했다. 이번 확장을 통해 국내 독립 소프트웨어 벤더(ISV)와 리셀러 및 시스템 통합업체(SI)를 포함한 채널 파트너는 AWS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전 세계 고객에게 자사 솔루션을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확장을 통해 국내 기술 기업들은 자사의 한국 법인을 통해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제공하며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소프트웨어, 데이터,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은 결제 시 한국 원화와 미국 달러 중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확장을 통해 네오사피엔스, 솔트룩스, 슈퍼브에이아이 등 국내 주요 ISV의 솔루션이 AWS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됐다. LG CNS, 메가존클라우드, SK C&C 등 채널 파트너도 자사 한국 법인을 기반으로 AWS 마켓플레이스의 채널 파트너 프라이빗 오퍼(CPPO) 프로그램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한국 확장은 AWS 마켓플레이스의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기술 제공업체가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AWS 마켓플레이스에는 5,000개 이상의 판매자가 등록한 2만 개 이상의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다. 전 세계 수백만 명의 고객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포레스터 컨설팅의 조사에 따르면, AWS 마켓플레이스 판매자는 거래 규모가 평균 80% 증가하고, 성사된 거래 건수는 27% 늘었으며, 영업 사이클은 평균 5개월에서 3개월로 40%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 판매 프로그램(ISV Accelerate Program) 등 AWS의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 영업 파이프라인의 최대 20%가 생성되고 있다. 맷 얀치신 AWS 마켓플레이스 및 파트너 서비스 부사장은 "AWS 마켓플레이스는 글로벌 확장을 거듭하며, 기술 기업들이 전 세계 고객과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한국에서의 확장을 통해 국내 ISV와 채널 파트너들이 자사 솔루션을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하며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염동훈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AWS 마켓플레이스의 한국 확장은 당사 비즈니스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CPPO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엔터프라이즈 고객에게 AWS 마켓플레이스가 자랑하는 강력한 보안성과 효율성을 기반으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AWS의 공동 영업 기회와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활용하고, 유연한 라이선스 옵션과 표준화된 계약을 통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고 밝혔다. 김태수 네오사피엔스 대표는 "2024년 AWS 글로벌 생성형 AI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선정 이후, AI 기반 음성 및 영상 합성 서비스인 타입캐스트(Typecast)의 글로벌 진출에 주력하고 있다"며, "AWS 마켓플레이스의 한국 확장은 전 세계 고객에 접근할 수 있는 폭을 대폭 넓혀, 네오사피엔스의 미래 성장을 이끄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AWS 마켓플레이스의 한국 확장은 솔트룩스의 거대언어모델(LLM)을 전 세계 고객이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이제 고객들은 AWS의 간소화된 구매 프로세스를 통해 당사의 언어 모델인 루시아(LUXIA)를 더욱 신속하게 탐색하고, 구매 및 배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는 지난 3월 31일부터 이달 4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산업 박람회 ‘하노버 메세(Hannover Messe)’에 참가해 포뮬러원(F1) 공장을 재현하고, 넥서스의 글로벌 성과를 공개한다고 3일 발표했다. '품질 속도전(Quality at Speed)' 컨셉의 포뮬러원 공장에서 관람객들은 헥사곤의 공식 혁신 파트너인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Oracle Red Bull Racing)의 실제 F1 차량과 차량 제작에 활용된 디자인&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측정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프로덕션 소프트웨어, 넥서스 플랫폼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넥서스는 F1 차량 제작과 같이 고도의 정밀성과 신속한 협업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엔지니어링 팀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넥서스는 헥사곤의 기술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클라우드 및 AI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으로, 헥사곤 및 제3자 플랫폼 데이터와의 강력한 연동성을 통해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간단한 파일 공유부터 마이크로소프트의 플루이드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교환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 프로그램들과 연결된다. 하노버 메세에서 공개된 성과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2월 출시 이후 넥서스는 3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를 확보했다. 또한 전 세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50만 명의 사용자들이 기술 스택의 일부로 헥사곤의 기술을 매일 활용하고 있다. 넥서스는 전통적으로 생산 시스템, 공장 IoT 및 품질 데이터 소스와 분리되어 운영되던 CAE 도구, 시뮬레이션 및 프로세스 데이터 관리(SPDM), PDM/PLM 시스템을 연결해 제조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헥사곤은 넥서스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으며, 이번 하노버 메세 전시장에서는 워크플로우 전 단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스티븐 그레이엄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부사장 겸 넥서스 총괄은 "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은 구성원과 그들의 목표에서 시작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제조 프로세스 전반에서 모든 구성원이 효율적인 협업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넥서스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헥사곤이 워크플로우 자동화와 AI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면서, 기업들의 생산성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진화 현대자동차 차량SW개발지원팀 파트장은 "현대자동차는 헥사곤의 검증된 CAE 제품군과 넥서스를 활용하여 개발 사이클을 가속화하고, 엔지니어링 성능을 최적화하며, 보다 민첩하고 데이터 기반의 차량 개발 접근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며, "클라우드 기반 차량 개발 플랫폼 구축이 핵심 전략 목표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넥서스가 제공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개방형 통합 기능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KAIST는 대전 본원에서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AI 미래세대와의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재계 · 학계 리더와 KAIST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 및 청년 연구자들이 모여 AI가 연구 생태계와 산업 구조에 가져온 빠른 변화와 그 미래 방향성에 대해 자유롭게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광형 KAIST 총장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의 인사로 막을 열었으며, 정송 KAIST 김재철 AI대학원장이 좌장을 맡아 KAIST 출신 대표 AI 분야 창업자 및 청년 연구자 4인의 열띤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현장에는 KAIST 구성원 200여 명이 참석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하였다. AI 운영을 간소화할 수 있는 ML옵스 플랫폼과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업, 베슬AI 안재만 대표는 미국 시장에서의 AI 기술을 활용한 창업 경험을 공유하며,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요인으로 네트워킹과 세일즈 역량을 강조했다. 플로틱 이찬 대표는 창업과 물류로봇 솔루션을 개발하여 고객 중심의 최적화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소개하며, “AI는 이미 스스로 질문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기술 발전을 넘어 철학적 방향성과 책임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플랜바이테크놀로지스 노현섭 대표는 재학생 창업자로서 건축 디자인 시안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솔루션 개발 경험을 이야기하며, AI 도입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스티헤르츠 김종규 대표는 기후 위기 해결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구독 서비스 ‘월간햇빛바람’을 런칭한 배경을 설명하며, 기후위기 대응의 시급함을 강조하며 지속 가능한 AI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KAIST 구성원들과의 자유로운 소통이 이어졌다. 최태원 회장과 이광형 총장은 대한민국이 AI 시대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했으며, 창업자들은 KAIST에서의 교육과 연구 경험이 창업으로 이어진 과정에 대해 답했다. 최태원 회장은 ”AI가 산업과 사회 전반을 변화시키는 거대한 전환점인 지금, 기업과 학계, 그리고 창업가들이 긴밀히 협력하여 실질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고 말했다. 이어서 “ 빠른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존에 통상적으로 해오던 업무의 방식이 아닌, 문제를 본인의 방식으로 정의하고 해결하는 디자인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AI를 통해 달성한 효율을 개인의 고차원적, 창의적 고민을 확장하고 계발하는 데 이용해 보라“고 당부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우리 학생들이 ‘경영 사상가’인 최태원 회장님과의 대화를 통해, AI 시대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해 고민하는 ‘신(新)기업가정신’을 배울 수 있었던 것은 매우 뜻깊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대학은 앞으로도 AI와 관련된 끊임없는 최신 교육과정 개발과 혁신적인 창업 제도를 통해 세계 무대를 기반으로 한 창업자 육성과 창업기업 양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두산퓨얼셀은 ㈜삼천리와 ‘발전용 중저온형 국산 SOFC 보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국내 도시가스 및 발전 사업을 영위하며 다양한 권역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삼천리는 이번 협약에 따라 권역 내 사업부지 확보 및 사업개발을 수행한다. 두산퓨얼셀은 발전용 중저온형 SOFC 사업 추진 및 공급, 시범사업 출자,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운영 및 관리 등을 담당하기로 했다. 두산퓨얼셀이 올해 하반기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중저온형 SOFC는 전력효율이 높고, 기존에 상용화된 SOFC 제품들보다 약 200℃ 낮은 620℃에서 작동해 상대적으로 기대 수명이 긴 제품이다. 두산퓨얼셀은 새만금 산업단지 내 군산공장에 50MW 규모의 중저온형 SOFC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연내 본격적인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두산퓨얼셀 관계자는 “발전소 사업개발 경험이 풍부한 ㈜삼천리와의 협업으로, 일반수소 입찰시장에서 추가로 수주풀(Pool)을 확보할 계획”이라면서 “매년 일반수소 입찰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해 온 만큼, 올해도 발전 사업자들과의 협업 강화, 수소연료전지 제품라인업 확대 등을 통해 수주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세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두산퓨얼셀은 지난해 3월, 선박용 SOFC의 핵심부품 셀스택(Cell Stack)이 세계 3대 선급협회 중 하나인 노르웨이 선급협회(DNV)의 환경테스트 기준을 통과했다. 올해 상반기 내 SOFC 시스템 전반에 대한 테스트와 인증을 완료하고, 300kW 선박용 SOFC를 납품할 예정이다. 납품 이후에는 선박용 SOFC를 보조동력장치(APU)로 활용해 1년 동안 실제 운항항로에서 실증선을 운행하면서 선박용 SOFC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현대위아가 모든 주행환경에 최적화한 4륜구동(4WD) 부품 국산화에 성공했다. 현대위아는 주행 상황에 따라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후륜 기반 전자식 4WD 부품인 ‘2속 ATC(Active Transfer Case)’를 개발, 양산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2속 ATC는 후륜(뒷바퀴) 구동 자동차의 구동력을 주행 상황에 맞게 앞바퀴나 뒷바퀴로 분배해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부품이다. 2속 ATC를 개발해 양산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현대위아가 처음이다. 현대위아의 2속 ATC는 기아의 픽업 트럭인 타스만에 탑재된다. 현대위아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2속 ATC를 개발했다. 상황에 따라 네 가지 주행 모드(2 HIGH, 4 AUTO, 4 HIGH, 4LOW)를 운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고속도로나 도심 주행 등 일상적 운행에서는 후륜구동 차량과 동일하게 달리는 ‘2 HIGH’ 모드를 선택하는 식이다. 일상에서 4륜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후륜에 필요한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4 AUTO’ 모드를 선택해 주행하면 된다. 현대위아의 2속 ATC는 평소에 마주하기 어려운 험로 주파를 위한 주행모드도 제공한다. 자갈밭이나 빙판길 등에서는 ‘4 HIGH’ 모드로 네 바퀴에 안정적 구동력을 배분해 주행하도록 했다. 아울러 ‘4 LOW’ 모드는 2.7배 이상의 구동력을 분배해 모래나 바위로 이루어진 극한의 오프로드 상황이나 캠핑용 트레일러 등을 견인 할 때 강한 토크를 낼 수 있도록 했다. 현대위아는 2속 ATC가 주행 상황에 따라 필요한 구동력을 빠르게 판단해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운전자의 입력과 노면에 따라 0.01초 마다 판단해 필요한 구동력을 계산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차량을 사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내구 변화를 파악해 정밀하게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2속 ATC의 제어기와 본체를 일체화 해 정비성을 향상하고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편의성도 확보했다. 현대위아는 2속 ATC의 안정성 강화를 위해 세계 각지에서 극한 시험을 진행했다. 국내 산악도로는 물론 미국 캘리포니아와 아랍에미리트의 사막에서 고온과 모래지형 내구 테스트를 펼쳤다. 영하 30도에 이르는 스웨덴 북부에서도 빙판길 신뢰성을 검증했다. 특히 스웨덴에서는 눈으로 덮인 30도의 오르막길을 ‘4 LOW’ 모드로 주행하며 성능을 면밀히 확인했다. 2속 ATC 양산으로 4륜구동 풀 라인업을 갖춘 현대위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수주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누적 1000만대를 양산한 전륜 기반 4WD 부품인 PTU(Power Transfer Unit)와 좌우 바퀴에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배분하는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e-LSD)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공략한다는 생각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어떠한 길에서도 최적의 주행 성능을 제공하도록 2속 ATC를 개발했다”며 “더 적극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AI 기술 발전에 따른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 증가와 열 관리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쿨링 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 등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는 전례 없는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의 쿼리는 기존 인터넷 검색에 비해 최대 10배 이상의 전력을 소모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은 데이터 센터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위협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발맞춰, 지난해 액체 냉각 및 열 관리 솔루션 전문 기업인 모티브에어를 인수하여 액체 냉각을 포함한 첨단 쿨링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액체 냉각은 열 전도성이 뛰어나 기존 공랭 방식보다 뛰어난 냉각 효율을 제공하며, AI 및 고밀도 서버 운용 환경에서 필수적인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공기와 액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쿨링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쿨링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핫스팟을 예방하고, 냉각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데이터 센터의 전체적인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데이터 센터의 열을 지역 사회에 재활용하는 노력도 확대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폐열 활용 기술과 연계해 지속가능한 열 관리 방안을 모색하며, 전 세계 데이터 센터가 지역 난방, 스마트팜 등으로 연결되는 순환형 에너지 생태계로 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창호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시큐어파워 사업부 팀장은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 센터의 쿨링 시스템은 단순한 냉방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에너지 효율, 운영 안정성까지 포괄하는 전략적 요소가 되고 있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앞으로도 고성능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냉각 솔루션을 제공하고,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화를 아우르는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통해 지속가능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한화가 미래 전장의 ‘게임체인저’가 된 무인기 체계 사업에 진출한다. 미래 방산기술에 선제적으로 집중 투자해 2040년 50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무인기 시장에 진출해 K-방산의 미래 먹거리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글로벌 무인기 전문기업인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과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 ‘Gray Eagle-STOL(GE-STOL)’의 공동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GA-ASI는 MQ-1 프레데터, MQ-9 리퍼 등 고성능 무인기 개발 및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영국, 일본, 호주 등 주요 우방국들에 무인기를 공급하고 있는 글로벌 선도 고정익 무인기 전문기업이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양사는 무인기의 기획·설계·개발부터 체계종합· 생산·운용·판매까지 전 주기에 걸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다. 양사가 공동 개발하는 ‘GE-STOL’은 이착륙 거리가 최대 수백 미터에 불과해 단거리 활주로, 비행갑판을 갖춘 대형 함정 및 활주로가 없는 야지 등 제한적인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다. ‘탑재 가능 중량(payload)’은 1.6톤(t)으로 장비에 따라 정찰, 공격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앞서 지난해 11월 해군은 대형수송함인 독도함에서 이 무인기를 이륙시키는 전투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양사는 2027년 초도 비행을 목표로 미국·중동·아시아·유럽 등 글로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무인기 플랫폼 공유를 통해 한미 군사동맹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GE-STOL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해 국내에 연구개발 및 생산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관련 분야의 인력을 확보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내 부품, 소재 협력업체들도 발굴해 국내 무인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GA-ASI에 따르면 GA-ASI 무인기 제품을 운용 중인 국가들의 수요를 조사한 결과 향후 10년 간 600대 이상 GE-STOL의 구매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15조원 규모의 수출물량에 해당한다(단순 구매만 포함).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무인기 체계 및 엔진 개발, 시설 구축 등에 75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 중 3000억원을 무인기 관련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 GE-STOL 공동 개발이 한화-GA 양대 그룹 차원의 파트너십 확장으로 이어질 경우 투자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양사는 방산·에너지 분야 계열사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R&D, 기술 융합, 복수 플랫폼 공동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협력이 가능하다. 이 같은 규모의 투자와 협력을 전제로 할 때 대규모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무인기 역량 확보는 자주국방과 K-방산의 미래 먹거리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첨단 방산 기술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라이노스는 우미건설과의 계약을 통해 동탄에 소재한 ‘레이크꼬모’ 복합쇼핑센터에 AI 청소 로봇 ‘휠리 J40’을 성공적으로 납품,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청결 유지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일 밝혔다. 레이크꼬모는 다층 구조와 광대한 면적을 가진 대규모 복합상업공간으로, 지속적인 청결 상태 유지가 고객 만족의 핵심 요소로 평가받는다. ‘휠리 J40’은 자율적으로 넓은 공간을 관리하며, 기존 미화원은 화장실, 계단 등 디테일한 관리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역할이 재배치됐다.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휠리 J40은 엘리베이터 자율탑승 기술과 실시간 바닥 오염도 감지 기능을 탑재해 층간 이동 및 청소 강도 조절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라이노스의 독자적 기술인 엘리베이터 동기화 솔루션 ‘rEMS’와 운영 솔루션이 이를 지원하며 운영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청소 로봇은 물 교환 및 배수 작업, 물걸레 청소와 건조 등 모든 청소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며, 연간 약 1억 원의 관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라이노스는 우미건설과의 계약은 대형쇼핑센터에 로봇 기술을 활용한 청소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사례라며, 레이크꼬모를 시작으로 기술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상업공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이크꼬모는 이번 ‘휠리 J40’ 도입을 통해 쇼핑몰 전역에서 일관된 청결 상태를 유지하며, 방문객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사례는 쇼핑공간 관리에 첨단 기술을 적용해 긍정적인 변화를 실현한 사례로, 업계 전반에 새로운 관리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