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블록체인 개발기업 블룸테크놀로지는 21일 이상윤 대표가 제60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취임식 참석은 블룸테크놀로지의 파트너사 미국 로이드 캐피탈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이상윤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을 포함해 전야제, ‘크립토 볼(Crypto Ball)’ 등 다양한 관련 행사에 참여하며 트럼프 2기 정부 관계자 및 미국 가상자산 주요 인사들과 미팅을 진행했다. 이상윤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AI 및 암호화폐 총책임자로 새롭게 선임된 데이비드 올리버 삭스와 만남을 가지며 AI 산업이 직면한 여러 문제를 논의했다. 특히 그는 블룸테크놀로지의 핵심 기술인 로커스체인을 통해 AI 기술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했다. 또한, 이상윤 대표는 이더리움 기반 암호화폐 지갑인 메타마스크로 널리 알려진 컨센시스(Consensys)의 창업자 조셉 루빈(Joseph Lubin)과 만나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두 사람은 로커스체인과 크레타(Creta) 게임 플랫폼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블록체인과 게임 산업을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상윤 대표는 "트럼프
[더테크 뉴스] 네이버페이가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칠리즈와 제휴를 맺고 웹 3.0을 기반을 핀테크와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연계를 위한 사업 협력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칠리즈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칠리즈 체인’에서 발행한 팬 토큰을 기반으로 스포츠 팀·선수와 팬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팬덤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칠리즈는 토트넘 홋스퍼, 파리 생제르맹, FC 바르셀로나 등 70여 스포츠팀을 위한 팬 토큰을 발행 중이다. 특히 지난 2월에는 K리그와도 제휴를 맺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K리그 팬들이 참여할 수 있는 팬덤 활동을 지원한 바있다. 네이버페이와 칠리즈는 팬 토큰 생태계를 활용해 국내 스포츠 팬들을 위한 티켓팅, 팬 이벤트 등 핀테크와 스포츠·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는 “이번 제휴로 칠리즈와 함께 국내 스포츠 팬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 칠리즈 대표는 “네이버페이와의 협력을 통해 칠리즈가 한국의 스포츠 팬들에게 새로운 스포츠・엔터테인먼트 경험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 글로벌 AI 기술을 공유하고 다양한 기업의 부스를 경험하는 테크 서밋을 개최한다. SK텔레콤은 11월 16일부터 1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SK그룹의 종합 기술전 ‘SK 테크 서밋 2023’ 참가 등록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관련기사: ‘출근하자’ 명령어에 AI가 에어콘 조절까지) SK 테크 서밋은 SK의 기술 역량을 결집해 기술 생태계 조성을 도모하는 취지의 컨퍼런스다. 이번 행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어디에나 존재하는 AI’를 주제로 개최된다. 테크 서밋은 17개사가 준비한 AI, AR/VR, 빅데이터, 블록체인, 클라우드, ICT융합 등 6개 기술 영역의 190개 기술 발표와 전시 및 체험으로 구성된다. 특히 전시와 발표 기술의 60% 이상이 AI로 이뤄졌다. SK는 글로벌 AI 생태계 중심의 성장 전략을 대내외에 공표하기 위해 앤트로픽(Anthropic),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등 글로벌 파트너사와 사피온, 코난테크놀로지, 몰로코 등 K-AI Alliance 참여사가 함께 한다. 테크 서밋은 유영상 SK ICT위원회 위원장의 생성형 AI가 촉발한 변화와 기회, 이에 대응하는 SK의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과 손잡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Web3 지갑 분산형 앱 개발에 나선다. SKT는 폴리곤랩스(Polygon Labs)와 서울 SK-T타워에서 Web3 생태계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Web3는 블록체인 등 분산화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가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개인정보와 데이터 등을 소유, 보호하는 탈중앙화 웹(decentralized Web)이다. 사용자는 Web3에서 개인 데이터를 중앙 집중형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개인 온라인 데이터 저장소 등에서 관리할 수 있다. 폴리곤랩스는 블록체인 폴리곤 네트워크 운영사다. 폴리곤은 블록체인 성능과 확장성, 이더리움과의 호환성으로 ‘블록체인의 인터넷’이라고 불린다. 폴리곤랩스는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Web3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양사는 MOU에서 △SKT의 NFT(대체 불가능 토큰, 블록체인 상 유통되는 토큰의 한 종류) 마켓플레이스 탑포트(TopPort)와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Web3 지갑의 폴리곤 블록체인 네트워크 지원 △SKT의 Web3 서비스와 폴리곤 글로벌 생태계 결합 등을 협업하도록
[더테크=조명의 기자] DGIST가 지역 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산업 분야 인재 양성에 나선다. DGIST가 DGIST AI·SW 교육연구센터(이하 센터)를 개소, 운영을 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센터는 대구시가 집중 육성하고 있는 ABB(AI·빅데이터·블록체인) 산업분야 우수 인재 양성과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 연구개발, 학생창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됐다. 지난 2월 대구시와 DGIST는 DGIST AI·SW 교육연구센터 구축 및 운영에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대구 수성알파시티 대구스마트시티센터 3층에 구축된 센터는 200평 규모의 실시간 양방향 강의실, 연구실, 공유오피스, 회의실 및 세미나실 등을 갖추고 있다. 향후 센터는 학생과 산업체 재직자, 기관·기업체 R&D인력 등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특화교육(AI핵심교육 기반 AI+제조, AI+스마트시티 등)과 반도체 교육(설계, 시스템, SW)을 개설‧운영한다. 수성알파시티 입주 기관·기업과의 산·학·연 연계 수요기술공동 R&D와 AI·SW·반도체 관련 분야 학생(동아리) 창업 및 기업 기술 지원도 추진한다. DGIST 국양 총장은 “ABB 기반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