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사진은 행사장에 마련된 채용박람회장의 모습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수원시의 XR버스 1795를 체험하기 위해 줄을 서있는 관람객들의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LG디스플레이가 스타벅스와의 협업을 통해 선보인 투명 OLED 패널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사진은 LG디스플레이의 부스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는 실험실 콘셉트로 꾸며졌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 ’슬라이더블‘(slidable) 디스플레이가 전시돼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K-디스플레이 2023)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K-디스플레이 2023은 디스플레이를 즐기자는 의미를 담은 ‘Let’s Play! Display!‘를 슬로건으로 170개사 580부스로 구성됐다. 참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모빌리티와 XR 등의 테마관도 운영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비즈니스 포럼을 비롯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진행된다. 사진은 K-디스플레이 2023 행사장 입구.
[더테크=조재호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라이너(LINER)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를 내놨다. 기존 챗봇에서 나오는 나열식 답변보다 복합적이고 능동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는 설명이다. 기존보다 고도화된 AI 비서에 다가선 것으로 보인다. 라이너는 국내 첫 자율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AI 워크스페이스’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자율 AI 에이전트(Autonomous AI Agent)’는 사람의 개입 없이 문제를 해결하는 AI를 뜻한다. 명령을 내리면 AI가 스스로 문제를 분석해 해결이 가능한 작은 단위로 나눠 각각의 답을 내놓고 그 결과를 종합해 답을 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챗GPT에게 “국내 거대 언어 모델의 사례와 발전 동향을 조사하고, 스타트업이 어떤 전략을 구상하면 좋을지 설명해줘”라고 질문하면 구체적인 케이스나 흐름, 제언을 종합한 답변이 불가능하고 일반적인 사실 중심으로 대답한다. 그러나 AI 에이전트는 같은 질문을 사례와 동향, 전략 3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정보를 취합하고 검증한다. 그리고 해당 답변의 논리 구조를 종합해 답변하는 방식이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이번 AI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한층 진일보한 자율 AI 에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이 네트워크 지능화 기술 확산과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커톤 대회를 개최한다. ETRI와 KT는 ‘제2회 통신망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인공지능 해커톤’ 행사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통신망 안정화를 위한 AI 모델 개발 경연을 통해 국내 네트워크 지능화 기술과 활용도를 제고하고 우수 인재를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대학(원)생 및 취업준비생이라면 누구든지 접수를 통해 경연에 참여할 수 있다. 지난 2일부터 진행된 온라인 예선전은 18일까지 참가자 신청을 받고 23일까지 온라인 예선전을 진행한다. 내달 15일 열릴 오프라인 본선과 시상식이 진행된다. 참여자들은 KT의 실제 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 무선 기지국 장비의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인구 밀집도 예측 △ 유선 네트워크 장비의 신속한 조치를 위한 경보 유형 분류와 관련한 문제에 할당된 데이터셋을 활용해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주제로 한다. 온라인 경연을 통해 최종 선정된 상위 6개 팀은 본선에서 오프라인 발표 및 심사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총 1000만원 규모의 상금과 함께 채용과 연계해 가산점을 부여한다. 아울러 최종
[더테크=조재호 기자] LG CNS가 클라우드 기반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LG CNS는 교육출판 전문기업 미래엔과 ‘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AI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종이 교과서를 디지털화하고 AI로 학생들의 학업 수준을 파악해 맞춤 학습을 제공하겠다는 교육부 디지털 교육혁신의 일환이다. 이번 협약에서 미래엔은 영어·수학·정보(코딩) 등 교과목 콘텐츠를 개발해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LG CNS는 학생과 교사들이 교육 콘텐츠와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 LG CNS 관계자는 더테크에 “미래엔의 AI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사업을 위해 자사의 DX 역량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종이 교과서를 디지털화하고 학생 개개인의 맞춤 학습을 위한 시스템 구축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G CNS는 AI 영어회화 학습 플랫폼인 스피킹클래스를 12개 시도교육청에 서비스 중이며, 일본의 어학업체 이온(AEON)에 외국어 학습 앱 AI튜터를 제공하는 등 교육 관련 전문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운영 역량을 보유했다. 이번 플랫폼엔 LG CNS가
‘더테크 View’는 더테크 기자들의 시각이 반영된 칼럼입니다. 각종 테크 이슈, 그리고 취재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생각들을 '색깔있는 관점'으로 풀어냅니다. [더테크 뉴스] 엔비디아가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을 선보이면서 AMD와 인텔을 다시 한번 따돌렸다. 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2024년도 엔비디아의 위치는 탄탄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일 엔비디아는 차세대 AI 칩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을 선보였다. 앞선 6월 AMD는 차세대 AI 칩인 MI300X를 공개하며 엔비디아의 H100을 능가하는 성능을 강조했다. 하지만 두 달이 지난 시점에서 엔비디아는 다시 한번 AMD를 앞질렀다. (관련기사: 엔비디아, 신규 칩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 공개) (관련기사: AMD, MI300X GPU 공개… AI용 칩셋 경쟁 시작) 두 회사의 경쟁은 하드웨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겐 익숙하다. 1위 엔비디아와 그 뒤를 쫓는 2등 AMD, 이 광경은 연례행사나 다름 없다. 최근 그 격차가 벌어졌지만, 과거에는 AMD가 엔비디아에게 멋지게 한 방을 먹이던 시절도 있었다. 이마저도 10년이 다 돼가고 가성비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국내외 AI(인공지능) 관련 기업과 투자 및 협력 관계 구축에 적극적이다. 올해 2월 국내 AI기업과 ‘K-AI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7월에는 글로벌 통신사들과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결성한 데 이어, 생성형 AI ‘클로드’를 개발한 앤트로픽에 투자를 진행했다. SKT는 올해를 ‘AI 컴퍼니’ 전환을 위한 도약과 전환의 한해로 삼았다. 이를 위해 기존 사업에 AI를 접목하고 기술 투자와 동시에 신규 사업의 AI 전환을 추진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AI 챗봇과 쇼핑, 헬스케어 등을 비롯해 로봇과 UAM 등이 있다. 올해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3에선 국내 스타트업을 결집한 K-AI 얼라이언스를 출범했다. 7개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동맹은 지난 6월 ‘이루다’로 유명한 스캐터랩을 포함한 4개 기업이 추가되면서 현재 11개 기업이 모여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관련 성과로는 A.(에이닷)의 고도화를 꼽을 수 있다. 이 달에는 SKT를 중심으로 결성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결성했다. 이 동맹은 유럽의 도이치텔레콤과 중동의 e&(이엔)그룹, 호주와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