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테크‧산업 전문 미디어 <더테크>가 다양한 테크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현재 주목되는 테크 영역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 현재의 흐름을 짚어보기 위함입니다.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진 독자 여러분에게 좋은 인사이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전문가 인터뷰 보기> [DX] 김형택 디지털이니셔티브그룹 대표 上 [DX] 김형택 디지털이니셔티브그룹 대표 下 [디지털헬스케어] 이병일 머스트 액셀러레이터 파트너 上 [디지털헬스케어] 이병일 머스트 액셀러레이터 파트너 下 [로봇] 고경철 전 카이스트 전자공학부 연구교수 上 [로봇] 고경철 전 카이스트 전자공학부 연구교수 下 [AI] 금득규 유한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 上 [AI] 금득규 유한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 下 [모빌리티]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上 [모빌리티]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下 [모빌리티]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上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고의 모빌리티 전문가 중 한 명인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모빌리티 기술 발전을 통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가 국내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도입 효과를 다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클라우드 도입률은 28%로 잠재력이 큰 시장이며 중소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혜택 강화를 위해 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AWS는 ‘한국의 클라우드 기반 경제 실현: 클라우드가 중소기업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창출하는 방법’을 주제로 26일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의 주제는 AWS가 컨설팅 전문 기업 액센츄어에 의뢰해 제작한 보고서를 토대로 진행됐는데, 국내 중소기업들의 클라우드 도입과 기대효과에 대한 내용이다. 보고서는 국내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이 2030년까지 연간 최대 7조5000억원의 생산성 향상 효과와 함께 의료와 교육, 농업 분야에서 국내 전체 일자리의 약 9%인 250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애런 힐(Aaron Hill) 액센츄어 전략 및 컨설팅 경제 인사이트 부문 매니징 디렉터는 국내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기반 잠재력을 설명했다. 힐 디렉터는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하드웨어와 유지 관
“기술보다 중요한 건 본질과 철학입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세계적인 로봇석학 데니스 홍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의 기조연설은 공학적이라기 보단 문학적이었다. 로봇에 대해 논하는 자리였지만 기술 그 자체 보다는 로봇을 활용해야만 하는 상황과 결과물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홍 교수는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퓨처 테크 컨퍼런스 2023’에 참석해 ‘인간을 위한 따뜻한 기술’이라는 주제로 연설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2023의 부대행사 중 하나로 진행됐다. 컨퍼런스의 시작을 알린 연설에서 홍 교수가 들고 나온 것은 의외의 것이었다. 휴머노이드 로봇 아르테미스(Artemis)와 함께 요리하는 로봇 'YORI'를 공개한 것. 홍 교수는 “연구에 있어 기술보다 본질이 중요하다”며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로봇을 제작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그래서일까. 홍 교수는 소개에 앞서 로봇의 본질과 철학을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기술의 응용보다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인 ‘맛있는 음식’ 그리고 먼 미래의 공상과학이 아닌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현실공학’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부분이 없
[더테크=조재호 기자] 세계적인 로봇분야 석학으로 불리는 데니스 홍 미국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가 국내업계 관계자들을 만났다. 한국계이기도 한 홍 교수는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퓨처 테크 컨퍼런스 2023’에 참석해 ‘인간을 위한 따뜻한 기술’이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해당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2023’의 행사 중 하나다. 사진은 강연을 하고 있는 데니스 홍 교수.
[더테크=조재호 기자] 세계적인 로봇분야 석학으로 불리는 데니스 홍 미국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가 국내업계 관계자들을 만났다. 한국계이기도 한 홍 교수는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퓨처 테크 컨퍼런스 2023’에 참석해 ‘인간을 위한 따뜻한 기술’이라는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해당 컨퍼런스는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2023’의 행사 중 하나다. 사진은 무대에 오른 데니스 홍 교수의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가 26일 서울 강남구 센터필드에서 ‘클라우드가 중소기업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창출하는 방법’을 주제로 미디어 브리핑을 개최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글로벌 컨설팅 전문기업 액센츄어에 의뢰해 제작한 보고서 ‘한국의 클라우드 기반 경제 실현’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들이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이점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사진은 이기혁 AWS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한국‧일본 총괄.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국의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에 국내 기업의 요구가 일부 반영돼 확정됐다. 반도체 업계에선 발등의 불은 껐지만, 세부 규정 확인과 함께 10월 종료 예정인 대중국 수출규제 유예 연장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미 상무부는 반도체법의 ‘가드레일 조항 세부 규정’의 최종안을 지난 22일 공고했다. 이번 최종안은 3월 미국 정부가 공개한 초안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최악은 면했다는 반응이다. 최근 중국 화웨이의 신형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제품이 사용되면서 미국의 수출통제 규정 위반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올해 10월 만료 예정인 중국 공장의 반도체 장비 반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0월 중국 반도체 생산 시설에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막는 수출통제 조치를 진행하면서 우리 반도체 기업들에게 1년간 한시적으로 수출통제를 유예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공장에서 전체 낸드플래시의 40%를,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공장과 다롄공장에서 전체 D램의 40%와 낸드 20%를 각각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더테크=조재호 기자] 오라클과 레드햇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에서 협업을 확대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번 협업 확대로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OCI에서 지원한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온 OCI(Red Hat OpenShift on OCI)는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인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오라클과 레드햇이 함께 테스트, 인증, 지원하는 서비스다. 아울러 온프레미스(사내구축형) 데이터센터에서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사용하는 고객은 기존 오픈시프트 환경을 OCI로 보다 쉽게 이전할 수 있다. 이번 협력으로 고객사는 레드햇과 오라클 지원팀 모두에게 지원받을 수 있다. 카란 바타(Karan Batta) OCI 수석 부사장은 "많은 고객사가 OCI로 마이그레이션해 보다 고성능이고 안전하며 합리적인 비용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며 ”레드햇과 협력을 통해 레드햇 오픈시프트 고객들이 전 세계 어디서든 OCI의 분산현 클라우드에서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OCI의 분산형 클라우드는 미국과 영국, 호주의 정부용 오라클 클라우드 리전과 고객이 직접 관리하는 OCI 전용 리전, 파트너사가 제공하는 오라클 알로이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미국의 오픈AI와 함께 개최한 글로벌 AI 해커톤 ‘프롬프터 데이 서울 2023(Prompter Day Seoul 2023)’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5일 밝혔다. 프롬프터 데이 서울 2023은 ‘AI를 통해 휴머니티(인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주제로 건강한 AI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글로벌 인재들을 발굴하기 위해 진행됐다. (관련기사: ‘AI 영역’ 확장 SKT, 오픈AI와 협력관계 구축할까) 해커톤은 총 226팀이 참여할 만큼 높은 관심을 받았다. 참가자들은 오픈AI의 생성형 AI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만들었다. 온라인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20팀이 9월 23일부터 24일까지 양일간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각자 제작한 AI 서비스를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SKT 관계자는 더테크에 “이번 해커톤으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AI 서비스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며 “향후 오픈AI 뿐만 아니라 SKT와 협력하고 있는 다양한 글로벌 AI 기업들과 협업해 대회를 진행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해커톤의 대상은 자폐증 등으로 인해 문해력이 낮은 사용자를 위하여 어려운 문장을 쉬운 문장으로
스마트 테크‧산업 전문 미디어 <더테크>가 다양한 테크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현재 주목되는 테크 영역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 현재의 흐름을 짚어보기 위함입니다.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진 독자 여러분에게 좋은 인사이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지난 전문가 인터뷰 보기> [DX] 김형택 디지털이니셔티브그룹 대표 上 [DX] 김형택 디지털이니셔티브그룹 대표 下 [디지털헬스케어] 이병일 머스트 액셀러레이터 파트너 上 [디지털헬스케어] 이병일 머스트 액셀러레이터 파트너 下 [로봇] 고경철 전 카이스트 전자공학부 연구교수 上 [로봇] 고경철 전 카이스트 전자공학부 연구교수 下 [AI] 금득규 유한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 上 [AI] 금득규 유한대학교 인공지능학과 교수 下 [모빌리티]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上 [모빌리티]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下 [더테크=조재호 기자] 자동차를 비롯한 모빌리티 업계의 전동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테크의 발전에 기반한 것이지만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기도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 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9월 3주차, 네이버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인 ‘Cue(큐):’부터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네이버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검색에 AI 기술을 접목했다는 점부터 눈길을 끕니다. 큐:는 네이버가 개발한 LLM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AI 검색 서비스입니다. 지난 20일부터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돌입했습니다. 큐:는 쇼핑, 페이, 플레이스 등 네이버 서비스 연계를 통해 이용자의 검색을 돕는데 네이버가 축적한 데이터베이스 파워를 십분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기사: 네이버의 AI 검색 ‘Cue:’, 베타서비스 '큐') (관련기사: 네이버 'Cue:'에게 AG야구 일정을 물어봤다) 큐:는 일일 최대 ‘100회’의 대화 검색이 가능하고 연속된 대화는 ‘15회’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의 검색 편의를 위해 큐:는 생성형 AI가 검색을 진행한 ‘답변 과정’을 시각화해 살펴볼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양자 인재 양성과 생태계 확산을 위해 산학연 컨소시엄과 손을 잡았다. 양자기술은 국가 미래 전략기술 중 하나로 꼽히며, SKT가 오랜 기간 공을 들여온 분야다. (관련기사: SKT, 양자컴퓨터 공격 막는 암호기술 개발) (관련기사: SKT, 보안성 대폭 강화한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 선보여) SKT는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와 양자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및 교류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SKT와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자통신과 양자암호,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양자 기반의 AI 등 양자기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공동 연구 등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SKT 관계자는 더테크에 “양자과학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공동 연구 등에 협력해 양자 생태계를 넓혀갈 것”이라며 “AI와 6G 등의 발달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해당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는 2022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산학연 컨소시엄이다. 양자기술 시대를 선도할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현대자동차와 삼성SDS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