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문용필 기자/사진=한국로봇산업협회 제공] 한국로봇산업협회가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독일 뮌헨 자동화전시회 2023’(AUTOMATICA 2023)에 한국관을 구성해 참가했다. 유럽 최대 규모 로봇‧자동화 관련 전시회인 AUTOMATICA는 지난 2004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는데 스마트 자동화 및 로봇공학 트렌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로봇 기업들이 다수 참가한다. 올해 행사는 ‘디지털화&인공지능’ ‘지속가능한 생산’ ‘업무의 미래’를 주요 토픽으로, 스마트 팩토리 및 제조 공정화에 활용되는 로봇 기술이 다수 소개됐다. 협회는 AUTOMATICA 2023의 한국관 수행기관으로 선정돼 코트라 한국관 및 부천 공동관의 총 17부스를 구성, 운영했다. 산업용‧자율주행 로봇, 센서, 감속기, 엔코더 등 국내 로봇 분야를 대표하는 16개 기업이 여기에 참여했다. 협회 관계자는 “4일간 많은 바이어가 방문해 2638만불 규모의 상담이 진행됐다”며 “협회 회원사 등 국내 주요 로봇ㆍ자동화 관련 기업의 니즈를 적극 반영해 앞으로도 유럽ㆍ북미 대표 로봇ㆍ자동화 전시회 참가 확대 및 해외 사절단 파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을
[더테크=문용필 기자] 유머러스한 ‘미국식 디스’일까, 아니면 라이벌을 향한 ‘발칙한 도발’일까.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6일(한국시간) 트위터에 게시물을 올렸다. 텍스트 없이 그림이 한 장 게재됐다. 두 명의 스파이더맨이 서로를 바라보면서 삿대질을 하고있는 내용이다. 저커버그의 트위터 계정을 보면 지난 2009년 2월에 가입한 것으로 돼 있다. 해당 트윗 이전 마지막 게시물은 지난 2012년 1월 19일, 무려 11년 만에 트윗인 셈이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라는 글로벌 소셜 플랫폼을 보유한 메타의 CEO라는 점에서 보면 ‘그럴 수 있지’ 싶은 대목이다. 문제는 시점이다. 메타의 인스타그램이 ‘트위터 대항마’로 불리는 새로운 SNS ‘스레드’(Threads)를 출시한 것과 맞물리기 때문. 스레드는 한 게시물당 500자를 지원하고 외부 웹사이트 연결 링크와 최대 5분 길이의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기능 등을 탑재해 여러모로 트위터와 닮아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인스타그램,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 공개) 이에 저커버그의 11년 만의 트윗 게시물을 보고 두 스파이더맨이 트위터와 스레드를 빗댄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 해석이 맞다면
[더테크=문용필 기자] 올 1월부터 5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총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무서운 성장세를 가늠할 수 있는 데이터다. (관련기사: 1~5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해당 기간 등록 전기차 수가 약 484만 6000대(BEV+PHEV)라고 6일 밝혔다. 지난해 총 등록 대수가 약 1087만 7000대임을 감안하면 채 5개월만에 지난해 절반에 육박하는 수치를 기록한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역시 ‘세계 최대의 시장’답게 중국이 57.8%의 압도적인 인도량 점유율을 기록했다. 1월부터 5월까지 인도된 차량 대수가 총 280만1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90만1000대)의 인도량을 40% 이상 뛰어넘었다. 이와 관련, SNE리서치는 “지난해 12월 중국 정보 보조금 중단으로 인해 몰린 수요량으로 올해 초 잠시 주춤했던 중국 전기차 시장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2027년까지 전기차 신차 구매 세제 혜택을 연장하기로 한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급 의지에 따라 중국 시장은 BYD(비야디), 테슬라 등 주요 업체들
[더테크=문용필 기자] 삼성전자의 첫 ‘서울 갤럭시 언팩’이 그 윤곽을 드러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하반기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Z폴드와 Z플립의 5번째 제품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6일 오전 국‧내외 미디어와 파트너들을 대상으로 ‘삼성 갤럭시 언팩 2023’ 행사 초대장을 발송했다. 이번 언팩은 오는 26일 오후 8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언팩 신제품의 특징을 ‘살짝’ 엿볼 수 있는 초대장 이미지를 보면 Z플립으로 보이는 디바이스가 ‘ㅅ’자로 펼쳐져 있다. Z플립5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는 ‘물방울 힌지’와 서울의 앞 자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Z플립 신제품이 이번 행사의 ‘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바이스 아래에는 ‘언팩’이라는 한글과 ‘join the flip side’라는 영문 문구가 담겨있다. 특히 언팩은 서울타워와 궁궐, 혹은 숭례문을 형상화한 듯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0년 갤럭시S 시리즈의 첫 모델을 공개한 이래 그간 갤럭시 언팩을 26번 진행해왔는데 서울에서 언팩을 개최하는 것은 ‘의외로’ 이번이 처음이다. 글로벌 기업이 내놓는 글로벌 제품인 만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더테크=문용필 기자] 결국 정답은 ‘반도체’와 ‘배터리’인 듯하다. ‘한한령’(限韓令) 등 중국의 ‘대(對) 한국기업 압박’이 시작된 지난 2016년 이후 국내 주요 기업 중국법인의 매출 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배터리와 반도체 분야가 ‘낭중지추’(囊中之錐)같은 실적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가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LG엔솔)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이 기간 동안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우선 LG엔솔 중국법인의 경우 지난해 12조8458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 2016년(2조4167억원) 대비 431.6% 급증한 수치다. 삼성SDI의 경우에도 같은기간 9298억원에서 5조 4250억원으로 매출액이 뛰어올랐다. SK온은 이들 기업보다 다소 늦은 2019년 중국법인을 설립했지만 지난해 2조원대의 매출을 거두며 연착륙하는 모양새다. 이른바 K-배터리 3사의 호실적은 중국이 전세계 최고의 전기차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아보인다. 그러나 닝더스다이(CATL)나 비야디(BYD), CALB같은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이들의 ‘안방’
[더테크=문용필 기자] LS전선이 20%가량 두께를 줄인 초슬림 10기가급(CAT.6A) 랜케이블을 상용화했다. 해당 제품의 외경은 세계에서 가장 가는 6mm. 7.2mm의 기존 범용제품에 비해 1.2mm 가량을 줄였다. 회사 관계자는 <더테크>와의 통화에서 “지난해부터 개발돼 왔다”며 “이미 (10기가급 케이블) 사업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 신제품이 개발돼 사업(범위)을 확대하게 됐다”고 전했다. 케이블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의 시선으로 보면, 1.2mm의 차이가 그렇게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건물 벽이나 천장속에 수백 가닥씩 랜케이블이 설치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수를 20%이상 늘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당연히 데이터 전송량도 증가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 기준으로 보면 주택가의 경우 100메가급, 상용 건물의 경우 1기가급 가량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데이터 사용량이 워낙 늘어나다보니 (케이블) 용량을 증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그런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S전선은 데이터센터와 은행, 증권사, 반도체공장, 스마트빌딩 등 대용량 데이터 사용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마케팅에 나
[더테크=문용필 기자] 글로벌 전기차(EV) 시장의 성장으로 배터리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입증해주는 데이터가 나왔다. 올 1월부터 5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포함) 배터리 총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52.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는 5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해당 기간 총 사용량은 약 237.6GWh로 집계됐다. 업체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중국의 CATL(닝더스다이)가 36.3%로 1위를 차지했다. 해당기간 CATL 배터리의 사용량은 86.2GWh로 전년 동기(54GWh)에 비해 59.6%나 성장해쑈다. 2위 역시 중국업체인 BYD(비야디)가 차지했는데 성장세가 괄목할 만하다. 38.1GWh의 사용량을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18.4GWh)에 비해 무려 107.8%나 뛰어오른 것. 점유율 역시 지난해 11.8%에서 16.1%로 4%p이상 증가했다. 국내 기업들도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3위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은 지난해 같은기간 21.2GWh에서 33GWh로 사용량이 56% 늘어났으며 11.4GWh에서 12.4GWh로
[더테크=문용필 기자] ‘007 시리즈’의 아버지인 영국작가 이언 플레밍은 지난 1964년 흥미로운 내용의 책을 출간했다. 제목은 ‘치티치티 뱅뱅’(Chitty Chitty Bang Bang). 우리나라에서는 가수 이효리의 노래 제목으로 유명하지만 원래는 비행 자동차를 탄 가족들의 모험담을 다룬 어린이 소설이다. 그로부터 거의 50년이 다 된 현 시점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현실로 다가올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국내외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이 아닌 진짜 ‘비행차’ 이야기다. CNN의 3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항공국(FAA)은 캘리포니아 소재 기업 ‘알레프 에어로노틱스’(Alef Aeronautics, 이하 알레프)가 내놓은 비행 자동차의 테스트를 인증했다. 다만 전시와 연구 및 개발을 포함해 제한된 목적에만 허용하는 특별 감항(비행에 적합한 안전 보유) 인증이다. 회사 측은 이 차량에 대해 “일반 도로에서 운전할 수 있고 주차할 수 있는 최초의 비행차량”이라고 밝혔다.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이 차랑에는 1명 혹은 2명이 승차할 수 있으며 도로에서는 200마일(약 320km), 하늘에서는 110마일(약 177km
[더테크=문용필 기자] 지난 3월 구현모 대표이사의 퇴임 이후 3개월 이상 공백 상태인 ‘KT호 선장’의 윤곽이 조만간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KT가 현재 추진하는 사업들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KT가 차기 대표이사 선임 프로세스를 개시했다. 지난 3일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된 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에서 대표이사 후보군 구성 방안을 의결한 것. KT는 앞서 지난달 말 제 1차 임시주총을 통해 사외이사 산임 및 정관개정을 마친 바 있다. 방안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추천위는 외부 전문기관 추천과 함께 공개모집과 주주추천 방식을 포함해 후보군을 구성하기로 했다. 공개모집 지원자 자격은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풍부한 기업경영 경험과 전문지식 △대내외 이해관계자의 신뢰 확보와 협력적인 경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역량 △글로벌 시각을 바탕으로 기업의 사업 비전을 수립하고 임직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리더십 △산업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관련 산업·시장·기술에 대한 전문성이다. 추천위는 관련 규정에 따라 KT그룹 재직 2년 이상의 부사장 이상 임원 가운데 경영 전문성과 회사 사업 이해도를 갖춘 이
[더테크=문용필 기자] SK스퀘어와 SK하이닉스 등 SK그룹 반도체 관계사들이 해외에 투자법인을 만들었다. 반도체 밸류체인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신규법인은 해외 반도체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기업들을 발굴하고 적극 투자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SK스퀘어는 투자법인 ‘TGC스퀘어’를 설립했다고 4일 밝혔다.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반도체 소부장 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반도체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SK스퀘어 관계자는 <더테크>와의 통화에서 “해외 투자회사이기 때문에 당연히 해외에 엔터티(entity, 독립체)를 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며 “딜소싱(deal sourcing)이나 원래 (SK그룹이) 투자하던 법인과 공동 투자를 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지는 등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립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관련 법인임에도 SK하이닉스보다 SK스퀘어가 전면에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관계자는 “SK스퀘어는 투자회사를 표방하고 있다. 해외투자 네트워크 구조도 그렇고 딜소싱 투자, 밸류업, M&A 등의 전문인력이 있다”며 “기술 검증이나 인사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흔히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자동화시스템이 잘 갖춰진 공장, 혹은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솔루션으로 일하는 ‘화이트칼라’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DX는 이들에게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소상공인들에게도 매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넥스트페이먼츠는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지난 2019년에 창립했으니 업력이 이제 막 4년째에 접어드는 스타트업이다. IoT(사물인터넷) 솔루션과 온‧오프 통합결제 시스템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젊은 기업이어서일까.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 전시장에 마련된 넥스트페이먼츠의 부스는 활력이 넘쳐보였다. 노란색 회사 티셔츠를 입은 직원들이 열심히 회사를 홍보하고 있었다. 키오스크, 로봇 등 다양한 제품들을 들고 나왔다. 미리 약속을 잡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바퀴 달린 운반 로봇들이 수많은 ‘큐브’ 속을 분주히 오가고 있었다. 테크 전문 매체 기자이기 때문일까. 규칙적이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로봇들의 모습을 보노라니 묘한 ‘힐링’마저 느껴지는 기분이었다. 아, 그보다 더 중요한건 누가 굳이 설명해주지 않아도 자동화된 물류시스템 솔루션임을 직관적으로 알수 있었다는 점이다. 노르웨이에서 창립돼 글로벌기업으로 거듭난 오토스토어(AutoStore)의 부스 모습이었다.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오토스토어의 부스는 행사가 열리는 코엑스 A홀에 입장하자마자 눈에 띄었다. 로봇이 쉴 새 없이 움직이는 ‘강렬한 풍경’ 탓인지 부스에는 기자 외에도 여러사람들이 큐브 주위를 주시하고 있었다. 회사와 솔루션에 대한 호기심이 급발동한 기자는 현장에 있던 한국지사 관계자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 오토스토어의 역사는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