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 본격화

연구개발특구 중심으로 인공지능 확산 가속

 

[더테크 이승수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정희권, 이하 특구재단)과 함께 25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연구개발특구 인공지능(AI) 확산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연구개발특구를 거점으로 AI 확산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과기정통부 이은영 연구성과혁신관 주재로 진행됐다. 자리에는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인과 연구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반도체 후공정 검사 솔루션 전문기업 ㈜블루타일랩 현장 방문으로 시작됐다. 블루타일랩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3차원(3D) 패키징 후공정 혁신을 위한 AI 융합 지능형 광학 검사·제어·상호작용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현장에서는 극초단파 레이저 및 광학현미경 시제품이 공개됐으며, 향후 5년간 AI 검사장비 매출 500억 원, 3년간 기업 투자 유치 3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창업 초기기업 지원 인프라와 ICT 융합 테스트베드, 기술 상담 프로그램 등을 소개했다.

 

간담회 자리에서는 과기정통부가 연구개발특구 내 AI 전략적 지원 방향과 기업 전주기 성장 지원 방안을 공유했다. 사업 정책지원형 주관기관인 글로벌오픈파트너스는 AI-X 핵심기술 확보부터 사업화까지 연결되는 AI 전문기업 육성 프로그램과 혁신 주체 간 교류 방안을 발표했다.

 

또한 경쟁형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R&BD) 주관기관의 사업계획도 소개됐다. ㈜나니아랩스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율 설계 플랫폼 개발을 통해 2027년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으며, ㈜바스젠바이오는 AI 기반 임상시험 모의시험 솔루션 사업화로 내년 기술특례 상장을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엠에스아이랩스, 제이엔이웍스, 케이쓰리아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AIST, ETRI 등 전문가들과 함께 AI 확산 및 기업 성장 지원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이은영 연구성과혁신관은 “인공지능은 단일 기술을 넘어 전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분야”라며, “연구개발특구의 역량을 결집해 인공지능 전환과 확산을 지속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