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로 안정성 우려가 커진 가운데 LG전자가 완속 전기차(EV) 충전기 화재 예방 기술을 개발했다. LG전자는 국내 출시하는 7kW 완속 충전기(EVW007SM-SK)에 ‘스마트 제어’ 뿐 아니라 추가로 ‘충전 완료 이후 전력 차단’ 기술을 적용해 충전 중 화재 예방을 위한 이중 안전망을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 제어’는 충전기가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받아 관제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충전 제어 명령을 받으면 즉시 충전중지 등을 통해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충전기에 탑재한 전력선 통신 (PLC) 모뎀과 전기차의 통신 컨트롤러(EVCC)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해 정확한 충전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기술이다. LG전자의 ‘스마트 제어’ 기술은 전기차와 충전기 간 표준 통신 규약인 ‘ISO15118 VAS’와 충전기와 관제 시스템 간 표준 통신 규약인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을 통해 LG전자는 환경부의 ‘완속 충전기 설치 보조 사업’ 요건도 충족했다. 두 통신 규약은 모두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해 추후 해외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건설이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견인하기 위해 스마트 솔루션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16일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용 전력 인프라를 자유롭게 확충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구성해 현장 적용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기차와 충전기 보급 확대 기조에 따라 공동주택 준공·입주 후에도 충전기 증설에 어려움이 없도록 선제적인 대응안을 마련해 설계에 반영하고 시공키로 했다. 국내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3년말 기준 약 55만대에 이르며 2030년까지 420만대를 목표로 충전기 123만기 이상을 설치하는 등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전기차 대중화 시대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현대건설은 전기차 확대를 대비해 ‘전기차 충전 전력 확충을 위한 사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공동주택 주차장에 △광폭 케이블 덕트 △스마트 배전반 설치 △단지 내 충전기 위치 찾기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이는 2025년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를 시작으로 적용 현장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광폭 케이블 덕트’는 주차장 상부 조명용 덕트를 개선할 설비로 조명용 전선과 전기차 충전기용 케이블을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기존보다 2배 이상 커
[더테크=전수연 기자] KT그룹의 종합지급결제 전문기업 스마트로가 전기차 충전플랫폼 전문기업 타디스테크놀로지와 전기차 충전기의 민감한 신용정보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다. 스마트로와 타디스테크놀로지는 여신협회 인증 등록을 마친 오픈형 스마트 전기차 충전기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전기차 완속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저렵해 설치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신용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장치를 장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대다수가 회원카드 인증을 통한 충전서비스를 채택하고 있다. 충전사업자는 회원을 모집하고 전기차 운전자는 충전사업자별로 가입을 해 여러 장의 플라스틱 회원카드를 발급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해왔다. 이러한 회원카드는 대부분 ISO 14443 규격을 따라 제작된 RF카드를 사용하고 있어 카드에 기록된 16자리 번호로만 사용자 인증을 하며 보안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사용내역 실시간 문자메시지 서비스, 24시간 분실신고와 거래중지 접수 기능, 부정사용분 카드사 보상 등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도 사용자의 불안을 가중시켰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국내 판매 중인 전기차 충전기 전체 라인업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LG전자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EV트렌드코리아’에 참가해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다양한 쓰임새에 최적화한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7kW 완속 충전기와 100kW·200kW 급속 충전기 등 국내에 판매 중인 전기차 충전기 전체 라인업을 전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180㎡ 규모 전시관을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여러 콘셉트로 꾸몄다. 관람객은 충전기 제품뿐만 아니라 전력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솔루션인 ‘이센트릭(e-Centric)’ 또한 체험할 수 있다. 서흥규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은 “LG전자가 쌓아온 제조 역량과 다양한 공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맞춤 전기자 충전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전시된 전기차 충전기 중 주택용 7kW 완속 충전기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사용이 편리하고 벽부형·스탠드형 2가지 타입이 있어 공간 맞춤 설치가 가능하다. 100kW 급속 충전기는 상업용 주차장으로 꾸민 공간에서 선보인다. 차량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자사 전기차 충전기의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통해 안정성과 제조 기술력을 입증했다. LG전자는 최근 서울 마곡 사이언스파크에서 UL 측으로부터 인증서를 수여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UL은 미국의 대표 안전(시험) 인증 기관으로 전기·전자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해 국가별 규격을 만족한 제품에 인증을 부여한다. 이번에 인증받은 제품은 내년 상반기 내 미국 시장에 출시 예정인 완속 충전기(11kW AC EV Charer, 벽에 부착하는 유형)다. LG전자는 ‘안전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에 대한 UL 표준(UL 2594)’을 비롯해 전기차 충전 표준과 안전 관련 항목에서 인증을 획득했다. LG전자는 UL 인증이 엄격한 요구사항과 인증 절차로 유명하며 인증 후 철저한 사후관리를 진행해 미국 내 소비자로부터 신뢰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인증을 통해 안전성이 요구되는 전기차 충전기 이용자에게 자사 만의 제품 안전성과 품질을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내년 초까지 175kW 급속 충전기의 UL 인증도 추가 완료하면서 미국 시장 내 전기차 충전기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