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공지능(AI) 세대를 조명한 보고서가 발간됐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생성형 AI 업무 활용 현황과 시사점’을 다룬 리포트를 공개했다. 이번 리포트는 올해 2월에서 3월까지 대한민국과 중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대만 등 13개 국가에서 대학생 2903명과 직장인 904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젊은 AI 세대와 개발도상국이 아태 지역의 생성형 AI 혁명을 주도했다. 앞으로 5년 후에는 사람들의 32%가 매일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보이며 근로 중 110억 시간이 생성형 AI의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도 75%의 기업이 생성형 AI 도입과 활용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리포트를 살펴보면 아태 지역의 직장인 43%는 업무에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학생 60%는 생성형 AI가 커리어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또한 기업들의 AI 투자액이 2022년 250억달러(34.4조억원)에서 2030년 1170억달러(161.3조원)까지 올라 약4.7배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태 지역에서 생성형 AI 혁명을 주도하는 것은 학생과 젊은 직장인이다. 대
[더테크=조재호 기자] IBM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2%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경쟁사보다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IBM 기업가치연구소(IBV)는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와 협력해 ‘2024 CEO 연구(2024 CEO Study)’ 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3년 12월부터 2024년 4월까지 26개 산업 분야, 30여 국가의 걸친 2500명의 CEO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보고서에서 CEO를 인터뷰할 때 △비즈니스 우선순위 △리더십 △기술 △인재 △파트너십 △규제 △업계 혁신 및 기업 혁신 등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아울러 보고서에서는 11개국 550명 이상의 CEO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관련 질문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펄스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IBM의 조사에 따르면 CEO의 72%는 업계 변화를 기회라기보다는 위험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62%는 미래 성공을 위해 기존의 강점을 살리기보다는 새로운 사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의 이유로 꼽힌 것은 생성형 AI다. 한때 상상에 불과했던 기회를 현실화할 기회라는 것
[더테크=조재호 기자] 글로벌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 앱 중 챗봇 비중이 지난해 5월 대비 46%까지 늘었다고 밝혔다. 스노우플레이크는 16일 9천여 고객사를 대상으로 데이터 및 AI 도입 패턴과 트렌드를 조사한 ‘데이터 동향 2024 보고서(Data Trend 2024)’를 발간했다.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기업들이 AI 기술과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다룬 보고서는 텍스트 입력 방식의 LLM 앱의 비중이 지난해 82%에서 54%로 줄어들고 대화형 챗봇이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스트림릿(Streamlit) 개발자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약 65%가 업무용으로 LLM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기업 고객들은 생성형 AI 기반 기술을 업무의 생산성, 효율성, 분석력을 높이는데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제니퍼 벨리센트 스노우플레이크 데이터 전략 수석은 “대화형 앱은 사람과 대화하듯 LLM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며 “데이터 거버넌스와 보안이 보장된다면 기업과 사용자 모두의 기대치를 충족하며 활용도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노우플레이크 커뮤니티에 속한 2만여명의 개발자들은 지난 9개
[더테크=전수연 기자]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와 링크드인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부터 업무에 AI를 활용하는 조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S와 링크드인은 연례 보고서 ‘Work Trend Index 2024(업무동향지표)’를 발표하고 전 세계 업무 동향과 채용 방식에 대한 주요 인사이트를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MS는 업무동향지표 2024를 통해 AI가 업무, 노동 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 관련 시각을 담은 주요 트렌드 세 가지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31개국 31000명이 참여했으며 MS 365에서 수집된 수 조개의 생산성 신호, 링크드인의 노동·채용 트렌드, 포춘 500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된 연구 결과가 반영됐다. MS는 AI가 일자리 전반에 걸쳐 전문 지식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업무동향지표 2024 보고서는 모든 조직이 AI 기술을 활용해 더 나은 의사 결정과 협업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비즈니스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이라고 나타냈다. 우선 AI 시대가 열리면서 조직들은 기술 혁신의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특히 새로운 기
[더테크=전수연 기자]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 이하 델)가 국내 79%, 전 세계 81%에 달하는 상당수의 기업·기관에서 생성형 AI의 혁신 촉진을 기대한다는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델이 독립 연구 기관 밴슨 본에 의뢰해 실시한 이노베이션 카탈리스트에 대한 연구로 글로벌 40개국 6600여명 국내 300여명의 IT 리더·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들이 참여했다.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기업·기관에서 AI·생성형 AI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한편 변화의 속도를 인식하고 혁신을 가속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72%, 글로벌 평균 82%가 현재 업계에서 경쟁 우위를 위해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탄탄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국내 기업의 63%, 글로벌 평균 48%는 향후 3~5년 후 업계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불확실하다고 답했으며 국내 기업의 77%, 글로벌 평균 10명 중 6명은 변화에 발 맞추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적합한 인재 부족(국내 39%, 전 세계 35%), 예산 부족(국내 35%, 전 세계 29%),
[더테크 뉴스]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2024년 1~2월 배터리 사용량이 집계됐다. 업계 전반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3사의 점유율은 1.2%p 하락한 23.8%를 기록했다. 시장 수요 성장세 둔화가 본격화 됨에 따라 일부 업체는 역성장을 보였다. SNE리서치는 8일 2024년 1~2월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을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은 약 92.4Gwh로 전년 동기 대비 27% 성장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보다 1.2%p 하락한 23.8%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4.8% 성장한 12.7GWh의 사용량으로 점유율 2위를, 삼성SDI는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47.4% 성장률을 보이며 5.2GWh로 5위를 차지했다. 반면 SK on은 –7.3% 하락한 4.2GWh로 역성장을 보였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포드, GM 등 유럽과 북미에서 인기 차종의 판매량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향후 GM 신차 출시로 IRA를 충족하는 삼원계 배터리를 통해 북미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다만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에 따른 불확실성과 최근 CATL이 GM과 기술 라
[더테크=전수연 기자] 인텔이 작년에 공개된 자사 제품 취약점 94%에 대해 선제 투자를 진행했다. 이는 지난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로 이 때문에 다양한 보안 보증을 실천하고 있다. 인텔은 2023 제품 보안 보고서(2023 Product Security Report)의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인텔은 지난해 총 256명의 연구원이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에 참여해 총 353개 취약점을 해결했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서킷 브레이커를 통한 윤리적 앨리트 해커 커뮤니티도 여기에 포함된다. 보안에 앞장서는 기업들은 최신 사이버 위협에 대항해 전체 생태계를 개선하고 사용자를 위한 1차 방어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고서는 2023년 AMD에서 보고된 플랫폼 펌웨어 취약점이 인텔보다 3배 더 많았다는 관련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는 △인텔이 2023년에 하드웨어, 펌웨어 취약점을 전년 대비 39%까지 낮춤 △전년 대비 펌웨어 취약점과 하드웨어 취약점이 줄어든 반면 소프트웨어 취약점은 증가 △2023년 해결된 취약점 353가지 중 256가지가 소프트웨어에서 비롯된 취약점 △2023년 AMD는 인텔과 비교해 Chain of Trust/Secure Boot
[더테크=전수연 기자] IBM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19년부터 AI 도입을 검토, 활용 중인 기업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 약 81%에 달했지만 2023년 조사 결과 40%는 여전히 AI를 배포하지 못한 채 검토하는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IBM은 ‘IBM 글로벌 AI 도입 지수 2023(IBM Global AI Adoption Index 2023)’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IBM이 모닝컨설트(Morning Consult)와 함께 2023년 11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20개국의 2342명의 IT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직원 1000명 이상 기업 50%, 5000명 이상 기업 50%로 구성된 엔터프라이즈 기업 기준이며 모두 관리자 이상의 직급, 회사 IT 관련 의사 결정에 참여하거나 가시성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실제 AI 도입 비율을 살펴봤을 때 지난 수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약 42%의 기업은 이미 비즈니스에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40%는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활용, 검토 중인 기업의 비율은 2019~2022년 동안 평균 81%를 기록해
[더테크=조재호 기자] 딜로이트가 금융산업에 빠르게 확산 중인 생성형 인공지능(AI) 관련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 사용 관련 리스크 요소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 솔루션을 제시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7일 딜로이트 아시아태평양규제전략센터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생성형 AI 적용 및 규제’ 국문본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아태지역 기술 및 규제 관련 딜로이트 글로벌 전문가 12명과 인터뷰를 통해 정책 및 규제 당국이 기술 발전에 따라 기존 AI 프레임워크를 어ᄄᅠᇂ게 재평가하는지 분석하고 금융 기업들이 규제 변화에 따른 대비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규제 당국이 지적재산 침해, 잠재적 편향 등 AI로 인한 여러 위험 요소를 고려해 기술 혁신을 통한 이익과 소비자 안전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인정보의 유출과 재정적 위험 등 민감한 잠재 리스크를 가진 금융 서비스는 규제 당국의 관심과 압박이 가시화될 수 있어 생성형 AI 시대의 금융산업은 중대한 변화와 혼란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고 봤다. 보고서는 금융업계가 AI 관련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해 △규제 준수와 위험 관리 지원을 위한 AI 거버넌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SNE 리서치가 2023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현황을 집계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SNE 리서치는 지난해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705.5GWh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6% 성장했다고 집계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합산 점유율은 23.1%를 기록했다. 점유율 자체는 1.6%P 소폭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 자체는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95.8GWh(33.8%↑)로 연간 누적 3위를 기록했고 SK On은 34.4GWh(14.4%↑), 삼성SDI는 32.6GWh(36.1%↑) 늘어난 배터리 사용량과 함께 각각 5위와 7위에 자리했다. 국내 3사의 성장은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의 판매 호조와 함께 신차 출시 확대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와 Y, 폭스바겐 ID 시리즈, 포드의 머스탱 Mach-E 등 유럽과 북미에서 높은 인기를 지닌 차량의 판매 호조가 성장세를 견인했다. 테슬라, 포드, GM 등의 완성차 OEM들이 LFP 배터리 탑재 비중을 확대하고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라 불확실성 높아졌지만 고전압 미드 니켈 NCM, LFP 배터리 개발 가속
[더테크=이지영 기자] 딥엘이 글로벌 비즈니스 대상으로 AI 번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 중 77%는 AI 기반 작문 툴을 활용하고 98%는 구체적으로 기계 번역을 이용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98%가 향후 2~3년 안에 콘텐츠의 상당 부분이 AI로 생성될 것이라고 반응을 보였다. 글로벌 AI 번역 기업 딥엘(DeepL)이 글로벌 기업 마케터를 대상으로 AI 번역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비즈니스의 AI 번역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미국의 레지나 코르소 컨설팅(Regina Corso Consulting)에 의뢰해 진행한 것으로 미국과 일본, 독일, 프랑스 내 임직원 수 100명 이상의 글로벌 기업의 임원급 마케터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조사는 번역과 현지화(Localization)에 초점을 뒀다. 번역이 원본 텍스트의 의미를 보존해 하나의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작업이라면, 현지화는 현지 시장에 맞게 국가의 문화적 뉘앙스를 반영해 번안한다. 딥엘은 △번역과 현지화 작업이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팀의 AI 번역기 및 AI 기반 작문 툴 활용 방식 △AI 번역기에서 겪는 어려움 등을 확인하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1월 3주차 ‘주간 Tech Point’는 ‘갤럭시 언팩 2024(Galaxy Unpacked 2024)’ 행사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SAP센터에서 언팩 행사를 진행하고 ‘갤럭시 S24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갤럭시 S24 시리즈는 갤럭시 AI를 기반으로 소통하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했습니다. 특히 실시간 통역 기능으로 통화부터 메시지까지 새로워진 검색 경험을 제공하며 1월 31일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에 순차 출시됩니다. 갤럭시 S24 울트라 모델은 티타늄 블랙·티타늄 그레이·티타늄 바이올렛·엠버 옐로 4종의 색상으로 출시됩니다. 이번 갤럭시 S24의 특징 중 하나인 실시간 통역(Live Translate)은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 온디바이스 AI를 기반으로 이뤄지면서 별도의 앱 없이 기본 탑재됐습니다. 전화 통역을 비롯해 기본 문자 기능, 국내외 주요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