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11.05 (수)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아트라스콥코, 산업용공구 사업부문서 40대 젊은 리더 맞아

    [더테크=문용필 기자] 산업용 공구‧장비 분야의 글로벌 기업인 아트라스콥코가 산업용 공구 사업부문에서 40대의 젊은 리더를 맞이했다. (관련기사: 아트라스콥코, 韓-日 이동식 발전 사업 부문 신임사장에 박진우 사장 선임) 아트라스콥코는 내부승진을 통해 강현찬 사장을 산업용 공구 사업부문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강 사장은 해당 부문 내의 자동차 산업부와 일반 산업부, 산업용 조립 솔루션 사업부, 서비스 사업부, 시카고뉴매틱 사업부 등 총 5개의 비즈니스 라인을 총괄하게 됐다. 본격적인 업무는 9월 1일부터 시작한다. 아트라스콥코의 산업용 공구 사업부문은 자동차와 항공, 전기, 전자, 반도체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부분에 체결 보증 공구, 조립 시스템, 이력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컨트롤 소프트웨어, 머신 비전 시스템 및 조립 자동화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강 사장은 40대의 젊은 리더다. 지난 2003년 아트라스콥코의 자동차 사업부에 세일즈 엔지니어로 입사한 이래 마케팅과 제품기술 담당 매니저 등을 두루 거치며 다양한 업무 경험을 쌓았다. 아울러 2014년부터 9년간 자동차 산업부의 비즈니스 라인 매니저로 활동하며 국내 자동차

    • 문용필 기자
    • 2023-08-30 09:39
  • [현장] 스웨덴 반도체 산업의 강점 ‘친환경과 혁신’

    [더테크=조재호 기자] 스웨덴의 첨단 반도체 기술을 확인하고 비즈니스 방안을 살펴볼 수 있는 세미나가 열렸다. 소재와 부품, 장비 등 반도체 공정과 통신 기술을 소개하고 비즈니스 연계와 연구개발 협력 등 신성장 동력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공유할 수 있었다. 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는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스웨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술 세미나 2023’을 29일 진행했다. 라스 함마르스트룀(Lars Hammarström) 주한 스웨덴대사관 과학혁신참사관은 인삿말을 통해 “한국과 스웨덴은 농업국에서 최첨단 기술을 지닌 나라로 도약한 공통점을 지녔다면서 두 나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함마르스트룀 참사관은 스웨덴이 반도체 산업을 비롯한 기술 개발에 있어 지속가능한 혁신을 중시하는 국가라며 우수한 기초과학 역량을 바탕으로 산·학·연 협력해 친환경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근 EU 반도체법이 발의됨에 따라 스웨덴은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 △연구개발 지원 및 보조금 제공 △자동차와 ICT 생명과학 역량 △다수의 엔드 유저 산업을 보유한 안정적인 생태계를 보유한 시장이라는 설명이다. '한국 반도체 산업 현황 및 정책 동향'에

    • 조재호 기자
    • 2023-08-29 19:12
  • 산업부 내년 예산 키워드는 ‘첨단산업, 원전, 공급망’

    [더테크=문용필 기자]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첨단산업과 원전, 그리고 공급망에 중점을 둔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전체적인 예산은 올해 본 예산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연구개발(R&D)예산은 다소 축소됐다. 산업부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육성, 원전생태계 복원 조기 완성, 공급망 안정화 등 국정과제 및 핵심 정책과제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2024년도 예산안을 11조 2214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예산규모는 올해 본예산(11조737억원) 대비 1477억원(1.3%) 증가했다. 첨단산업 육성 및 수출 총력 증대, 에너자 복지 등 꼭 필요한 분야에 투자를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산업부는 정부의 건전재정 기초에 발맞춰 관행적 지원 사업, 유사·중복이나 집행부진 사업, 신재생에너지 등 부적정하게 집행된 보조금, 나눠먹기식 연구개발 등은 과감히 구조조정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산업부가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은 4조 6838억원으로 올해(5조 4324억원)보다 7000억원 이상 삭감됐다. 반면, 비(非)R&D 예산의 경우 올해 5조 6413억원에서 약 9000억원 가까이 증액됐다. 구체적인 내용을 들여다보면

    • 문용필 기자
    • 2023-08-29 15:50
  • [포토] 스웨덴의 ‘친환경 소부장’을 만나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탄소 배출 감소와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스웨덴의 반도체 소부장 산업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국내에서 마련됐다. 주한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는 29일 오전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서울에서 ‘스웨던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 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스웨덴의 주요 소부장 4개사가 참가해 반도체 공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들을 소개했다. 아울러 스웨덴 대사관과 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스웨덴과 대한민국의 반도체 산업 동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은 세미나장의 모습.

    • 조재호 기자
    • 2023-08-29 14:13
  • LG엔솔, DX 사례 공유회 'DX 페어' 개최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DX(디지털 전환) 확대 및 전사적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성과 공유회를 열었다. 빅데이터 활용, 디지털 트윈 등 최신 DX 기술 사례를 통한 발전 방향이 논의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여의도 파크원 본사에서 DX 우수 성과 및 최신 DX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DX 페어(Fair)’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DX 페어에는 변경석 전무와 지난해 6월 구성된 인공지능(AI) 자문단의 박종우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 이재욱 산업공학과 교수와 신진우 KAIST AI 대학원 교수 등 DX 분야 전문가들이 모였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 DX과제 리더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설비 데이터 분석 및 예지 보전 알고리즘 개발 △디지털 트윈(현실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을 활용한 설비 및 공정 사전 검증 기술 개발 △이미지 불량 검출 기술 개발 등 최신 DX 기술을 활용해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인 사례를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 AI 자문단은 △원자재 가격 예측을 위한 AI 예측 모델링과 분석 △데이터 기반 공정 모델링 및 운전 최적화 기법 등 주제발표를 통해 DX 산업의 기

    • 전수연 기자
    • 2023-08-29 11:06
  • 한국IBM, 롯데바이오 기업자산 플랫폼 혁신 지원

    [더테크=문용필 기자] 한국IBM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최근 인수한 미국 공장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한국IBM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IBM 맥시모 애플리케이션 스위트(이하 MAS)를 이용해 시라큐스 공장의 자산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공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세계적인 제약회사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으로부터 인수한 곳이다. IBM의 자산관리 및 워크플로우 지원 솔루션인 MAS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및 분석 기술을 활용해 기업 전반에 설치된 다양한 설비의 성능을 단일 통합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한국 IBM 관계자는 더테크에 “MAS는 제약업계에서 워낙 알려진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IBM과 함께 내년까지 시라큐스 공장에 대한 이관 작업을 진행하는데 MAS를 통해 프로세스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제조 설비들을 모니터링, 점검하고 작업 프로세스가 잘 지켜지고 있는지 관리할 계획이다. 제약 산업은 제조 설비 및 제조 공정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의약품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품질 보증을 위해 각국 정부에서 요구하는

    • 문용필 기자
    • 2023-08-29 09:53
  • [현장] SK이노베이션이 분석한 'R&D 전략의 성과'

    [더테크=전수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40년간의 기업 성과를 발표하는 컨퍼런스를 열었다. 배터리, 에너지, 화학 등 다방면으로 확대하고 있는 사업 영역의 미래 비전 및 전략을 엿볼 수 있는 자리였다. SK이노베이션은 서울 SK서린빌딩에서 ‘SK이노베이션의 40년 R&D 경영’ 성과 분석 컨퍼런스를 28일 진행했다. 발표자로 단상에 오른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학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의 주요 성과부터 언급했다. 이는 △SK이노베이션 계열 전 제품 품질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 △공정 운영 개선 및 최적화 등 추구 △촉매, 공정, 합성 등 공통 역량 축적 등이다. 또 SK이노베이션의 신규 사업 기반 기술 신성장동력 발굴 부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 △배터리 분리막(LiBS) △윤활기유 △신약 개발 등을 꼽았다. 송재용 교수는 “ESC 및 사회적 가치 선도 기업으로 요구되는 역량에는 Double Bottom Line에 기반한 ‘All-time Net Zero’ 경영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이 있다”며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 재생에너지 저장, 폐배터리 재활용(BMR) 등이 있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만의 경영 모델로는 ‘4E’를 예로 들었다. 4E

    • 전수연 기자
    • 2023-08-28 19:21
  • 네이버, SME 위한 ‘네이버 브랜드 부스터’ 프로그램 신설

    [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가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 중소기업) 사업자들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했다. 사회공헌 기능 강조와 동시에 쇼핑 플랫폼의 생태계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읽힌다. 네이버는 자신만의 개성있는 브랜드를 갖춘 SME 사업자들이 온라인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일궈낼 수 있도록 ‘네이버 브랜드 부스터’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8일 밝혔다. 네이버 브랜드 부스터 프로그램은 온라인에서 브랜드 사업을 키우고자 하는 단계의 SME에게 필요한 지원과 교육을 제공해 맞춤형 브랜딩을 돕는 것이 핵심이다. 네이버가 축적한 데이터와 프로젝트 꽃 앰비서더 활동에서 들은 SME의 의견을 바탕으로 사업 성장 단계를 세분화해 성장 로드맵을 구축했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6월과 7월 ‘SME 브랜드 런처’ 프로그램을 진행해 온라인 창업 단계를 지나 브랜드 자산 구축을 희망하는 SME를 지원해왔다. 이번 부스터 프로그램은 나만의 고유 브랜드를 바탕으로 인지도를 높여 고객을 유치하고 사업 운영의 효율을 높혀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플랫폼 활용 역량을 키우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더테크에 “이번 브랜드 부스

    • 조재호 기자
    • 2023-08-28 16:40
  • SAP, WTA의 데이터 전략 현대화 위해 협력

    [더테크=조재호 기자]여자 테니스 협회(Women Tennis Association, 이하 WTA)가 SAP 데이터 솔루션을 도입한다. 대회 개최를 비롯한 운영 전반에 있어 진일보한 관리 체계를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SAP는 WTA가 ‘SAP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SAP BTP)’을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회사는 선수와 관객 그리고 조직에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략 현대화를 위해 협력한다. 올해 설립 50주년을 맞이하는 WTA는 개최되는 경기에 SAP 기술을 활용한다. 오는 10월 9일부터 서울에서 하나은행 코리아오픈 테니스대회가 진행된다. WTA는 SAP BTP를 활용해 리그 데이터를 중앙에서 조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SAP는 플랫폼에 내장된 AI 기능을 통한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생성 기능으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시스템을 지원한다. 협회는 기존까지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27개의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왔다. 이와 관련 SAP 관계자는 더테크에 “WTA의 SAP 활용은 보다 효율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데이터 인사이트를 위한 미래 전략의 일환”이라며 “SAP의 인메모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는 실

    • 조재호 기자
    • 2023-08-28 15:51
  • 버추얼 구현된 상암에서 '자율주행' 대회 열린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차세대 성장 동력인 자율주행 버추얼 대회를 추진한다. 주행 및 돌발상황 대처 등 버추얼 환경에서의 다양한 자율주행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는 서울특별시,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업체 모라이(MORAI)와 함께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학생들의 자율주행 기술을 겨루는 ‘제1회 서울 버추얼 자율주행 챌린지(Seoul Virtual Autonomous Driving Challenge)’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자율주행 분야의 기술 기반을 확대하고 인재 육성과 자율주행 분야 경험 제공을 위해 기획됐다. 앞서 작년 6월 네이버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 모라이는 공공 분야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챌린지를 진행하게 됐다. 참가자는 모라이의 시뮬레이션 플랫폼 ‘모라이 심(MORAI SIM)’을 통해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알고리즘 역량을 겨룬다.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된 상암동 도심을 배경으로 고주로 주행, 지정 속도 준수, 돌발상황 대처 등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경험하며 자율주행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더

    • 전수연 기자
    • 2023-08-28 13:03
  •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가격, 장기적 하향 안정화 전망

    [더테크=문용필 기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리튬 가격이 장기적으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SNE리서치의 ‘배터리 리튬 메탈 리포트’에 따르면 리튬 공급과잉으로 인한 탄산리튬의 지속적인 가격 하락이 예상된다. 지난해 리튬 원재료의 공급부족으로 톤당 58만 위안, 한화로 약 1억1000만원으로 가격이 치솟았지만 5개월만에 톤당 16만 위안까지 하락했다고 리포트는 전했다. 이유는 중국의 전기차 정책과 무관치 않다. 지난해 말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이 종료되고 배터리 업체들의 제고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리포트는 탄산리튬의 가격이 오는 2028년까지는 지속적인 하락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신규 리튬 광산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인해 공급 물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수요와 공급 밸런스의 불균형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글로벌 광산 업체들의 리튬 생산량에 대해선 올해 95만톤에서 오는 2030년 333만 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리튬 수요의 경우엔 같은기간 연간 79만톤에서 253만톤으로 예상됐다. 리포트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표로 미국에서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세부 규정에는 ‘미국이나 미국과

    • 문용필 기자
    • 2023-08-28 10:26
  • 상반기 금형 수출, 미국‧멕시코‧인도 활약에 ‘청신호’

    [더테크=조명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금형 수출은 전년도 같은 기간의 부진을 딛고 11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하 금형조합)이 국제 산업분류 코드인 HS code를 통해 올 상반기 주요 국가들의 금형 수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미국, 멕시코, 인도로의 수출이 전년 동기보다 30~80%가량 상승하며 전체 수출 실적을 견인했다. 반면, 주요 수출 대상국인 일본은 1~2월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하락한 수치를 그렸으며, 중국 역시 지난해 상반기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하락세를 보였다. 금형 주요 수출국 순위변동…새로운 양극화 형성 그간 국내 금형산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과 중국이었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조금씩 양상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엔데믹이 시작된 이후로는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수출시장이 양극화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최대 금형 수출시장으로 손꼽혔던 일본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다는 점이다. 올 상반기 대일본 수출은 1억4013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상반기 전체 금형 수출액의 12.8%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1억6093만 달러에 비해 12.9%가량 하락한

    • 조명의 기자
    • 2023-08-25 12:58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네이버, 국내 최초 '디지털 소비자 후생 연구' 발표... 검색과 지도 가장 높아

  • 2

    SK하이닉스, ‘AI-NAND’ 공개… AI 추론 시장 공략 본격화

  • 3

    “3분기 중소기업 수출 305억 달러, 역대 최고치 경신…기업 경기 회복 신호?”

  • 4

    슈나이더 일렉트릭, ‘그린쉽 솔루션’으로 선박의 탄소 저감·에너지 효율 혁신

  • 5

    카카오T, 홈 화면 UI 개선…맞춤형 이동 경험 강화

  • 6

    [APEC] 최태원 회장 “AI 성장은 기술자립과 신뢰협력에 달렸다”

  • 7

    ‘영원한 화학물질’ PFAS 1000배 빠르게 제거하는 신소재 개발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언론윤리강령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광고문의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11월 04일 15시 08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