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국내외 AI(인공지능) 관련 기업과 투자 및 협력 관계 구축에 적극적이다. 올해 2월 국내 AI기업과 ‘K-AI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7월에는 글로벌 통신사들과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결성한 데 이어, 생성형 AI ‘클로드’를 개발한 앤트로픽에…
[더테크=전수연 기자] '6G 시대'에는 UAM(도심항공교통)이 하늘을 날아다니고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활보하며, 확장현실(XR)을 통해 업무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까. 이에 대한 해답을 엿볼 수 있는 백서를 SK텔레콤(이하 SKT)이 10일 공개했다. 6G 표준화와 기술, 서비스 성공을 위한 핵심 요구…
[더테크=조재호 기자] 이동통신 3사의 합산 영업이익이 6개 분기 연속 1조원을 넘어섰다. 전 국민의 필수 소비재 중 하나인 유·무선 사업을 기반인 만큼 예견된 결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시선은 본업인 통신이 아닌 ‘탈통신’으로 향했다. 그리고 올해를 기점으로 신사업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더테크=문용필 기자] SK텔레콤(이하 SKT)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업 등 엔터프라이즈 부문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SKT가 8일 공개한 2분기 실적(연결 재무제표 기준)에 따르면 매출은 총 4조3064억원, 영업이익은 463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통해 교통신호 조절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동 차량의 거리와 속도를 분석해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는 기술을 보급한다. (관련기사: 차량 위치데이터 활용해 '교통 체증' 해소한다) SKT는 자사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글로벌 통신사들과 함께 인공지능(AI)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한 사업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논의를 통해 이른바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발족하고 협력을 강화한다. SKT는 27일 서울 워커일 호텔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 유영상 SK텔…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통해 정체 구간 교통신호 조절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시험 결과, 통행시간 단축과 탄소배출량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KT는 자사 AI 기반 위치 데이터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에서 추출된 교통 데이터 분석…
[더테크=문용필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국내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 분야의 톱3 사업자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나타냈다. 자사가 구축한 다양한 AI 기술을 클라우드에 접목하겠다는 구상이다. SKT는 25일 배포한 자료를 통해 퍼블릭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프라이빗 영역으로…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비전AI에 통합관제센터 전문업체인 이노뎁의 기술을 결합한 영상 관제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노뎁은 국내 VMS(Video Management Solution)시장의 선두업체. SKT는 이노뎁과의 협력을 통해 공공 부분 및 지자체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비즈…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기존 기지국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광통신망의 전송 속도는 확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SKT는 프론트홀(Fronthaul, 5G 기지국의 중앙 장치와 분산된 무선 장치를 연결하는 유선망)의 고속 전송에 필요한 파장 확대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