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팀 네이버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함께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 네이버는 21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 NHC(National Housing Company)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의 본격 착수를 위한 선언식을 가졌다고 22일 밝혔다. 팀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사우디아라비아 자치행정주택부로부터 디지털 트윈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팀 네이버는 프로젝트를 착수함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도시들의 매핑 및 정밀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수자원공사, LX와 함께 도시계획 및 홍수 시뮬레이션 등과 같은 핵심 서비스 개발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네이버는 항공사진과 AI를 활용해 10cm 내외의 오차 범위로 도시 전체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축하는 ALIKE 솔루션과 매우 높은 확장성을 갖춘 실내 공간 매핑 기술 등 실내·외 공간을 매우 정밀하게 구현·복제할 수 있는 원천 기술과 이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클라우드 기술까지 자체 보유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빌딩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글로벌 유수 기업들의 기술 평가에서 가장 빠르면서도 확장성 높은 디지털 트윈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는 파트너로 네이버를 선택했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 22년 ‘원팀코리아’ 일원으로 참여하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마제드 알 호가일 자치행정주택부 장관, 압둘라 알스와하 통신정보기술부 장관 등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주요관계자들이 네이버 1784를 직접 방문하는 등 교류를 지속하며 이듬해 3월 자치행정주택부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디지털 전환(DX)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더테크 전수연 기자] 오라클 클라우드 VM웨어 솔루션을 사용해온 글로벌 기업들이 기존의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 운영을 종료하고 비즈니스 주요 애플리케이션을 OCI로 이전한다. 오라클은 아홀드 델레이즈(Ahold Delhaize), 히타치 건설 기계(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렘트랜스(Lemtrans), 마츠다 모터스 로지스틱스 유럽 N.V.(Mazda Motors Logistics Europe N.V., MLE)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이 오라클 클라우드 VM웨어 솔루션을 사용해 기존의 온프레미스(사내구축형) 데이터센터 운영을 종료하고 비즈니스 주요 애플리케이션을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로 이전한다고 22일 밝혔다. 오라클은 이 서비스에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기 위해 오라클 클라우드 VM웨어 솔루션용 엔비디아 A10 텐서 코어(NVIDIA A10 Tensor Core) GPU와 인텔 제온 플래티넘 8358 프로세서(Intel® Xeon® Platinum 8358 Processor)를 갖춘 새로운 OCI 컴퓨트 구성을 발표했다. 또한 AMD EPYC™ 9J14 프로세서 기반의 또 다른 추가 구성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라클은 고객들에게 광범위한 워크로드 전반에서 추가 컴퓨트 옵션과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오라클의 마헤쉬 티아가라얀(Mahesh Thiagarajan)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총괄 부사장은 "VM웨어 자산을 클라우드로 옮겨 운영하기를 원하는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운영방식으로 인해 IT 기술을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며 “오라클 클라우드 VM웨어 솔루션은 기존의 도구, 기술, 프로세스를 유지하고 재교육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원해 온프레미스 VM웨어 클러스터와 동일한 운영 모델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테크 조재호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주) 한울원자력본부는 한울5호기가 19일 오전 10시 발전을 정지하고 약 70일간의 일정으로 제14차 계획예방정비에 착수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울5호기는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 연료 인출 및 재장전, 원자력안전법과 전기사업법에 따른 법정검사, 발전설비 점검 등의 작업을 수행 예정이다. 각종 법정검사와 규제기관의 적합성 확인 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가동 승인을 받아 9월 중 발전을 재개한다.
[더테크 조재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국제교통포럼에 참여해 기업협력이사회의 회원으로서의 활동을 이어간다. 19일 카카오모빌리티는 경기 용인시 소재 카카오 AI캠퍼스에서 기업협력이사회 멤버십 연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TF는 교통정책 관련 국제협력을 주도하고 자율주행·친환경교통·공유경제 등 미래교통 관련 논의를 선도하는 OECD 소속 국제기구로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하에 CPB를 운영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에어버스, 우버, 지멘스, 토요타 등 34개 글로벌 기업이 CPB로 활동 중이며 카카오모빌리티와 현대자동차, 아우토크립트 국내 3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018년 국내 민간기업 중 최초로 CPB 회원사로 초청받은 뒤 매년 국제회의와 컨퍼런스에 참석하며 활동을 해왔다. 코로나 종료 이후 작년부터 정상화된 ITF 교통장관회의와 CPB Week에 직접 참석하면서 세계 주요국가와 2024 파리 올림픽 교통 현안 등 글로벌 모빌리티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약으로 CPB 멤버십을 연장하면서 2027년까지 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향후 3년간 교통장관회의, CPB Week 등 ITF가 주최하는 글로벌 행사에 참가해 교통 정책 및 미래교통 관련 국제 논의와 연구활동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김영태 ITF 사무총장은 '국제사회에서 모빌리티 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탈탄소와 기후변화, 개발도상국 지원 등 교통 분야에서의 주요 과제들을 소개하며 카카오모빌리티의 리더들이 국제사회의 교통 현안에도 폭넓은 관심을 갖도록 독려했다. 특히 “개발도상국은 한국 정부의 성공적인 교통정책과 인프라에 관심이 많다”면서, “국내 기업들도 자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국제 교류에 나서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으로도 ITF 회원국 및 글로벌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국제 사회가 당면한 여러 문제에 모빌리티 기업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면서 “세계 시민을 대상으로 안전하고 책임감있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더테크 전수연 기자] 국내 이용자들은 가장 많이 쓰는 1순위 플랫폼으로 메신저에서 카카오톡, 택시 호출에서 카카오T,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인스타그램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상거래의 경우 지난 3개월간 이용한 플랫폼 서비스가 2개 이상인 비율이 모두 대체로 높은 편인 반면 앱시장은 멀티호밍률과 전환율 모두 가장 낮아 고착화 현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성인남여 2500명 대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부가통신사업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플랫폼 이용자들은 SNS로 인스타그램(36.3%)을, 메신저로 카카오톡(93.5%), 검색 네이버(52.7%), 택시 호출 플랫폼 카카오T(86.6%)를 사용 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1순위 이용을 의미하는 주 이용 플랫폼은 카카오가 운영하는 메신저 카카오톡이 93.5%를, 카카오모빌리티가 운영하는 택시 호출 플랫폼 카카오T가 86.6%로 이용률이 높았다. 플랫폼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앱마켓, SNS, 검색 포털, 음식 배달 플랫폼 등 대부분의 유형에서 '계속 사용하던 서비스라 친숙해서'라는 응답의 '습관적 사용'이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앱시장 이용자의 59%가 앱결제 방식에 따른 가격 차이를 알고 있었다. 아웃링크 방식 허용 시 전체 응답자의 44.3%, 앱 내 결제방식 안내 허용 시 응답자의 46.1%가 외부결제를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앱스토어 이용자의 과반 이상이 사이드로딩 허용 시 타 앱시장사 및 웹사이트를 통해서 앱을 내려받아 이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플랫폼 시장에 대한 실태조사는 올바른 온라인 정책 추진을 위한 출발점”이라며 “국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플랫폼의 세부 시장별 특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특성에 맞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업 딥브레인AI는 18일 KB손해보험에 AI 영상 합성 플랫폼 ‘AI 스튜디오스(AI Studios)’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KB손해보험은 지난 3월부터 약 3개월간 딥브레인AI의 개인화 AI 맞춤 영상 제작 솔루션 ‘드림아바타(Dream Avatar)’ 기반의 AI 명함 서비스와 AI 스튜디오스를 시범 도입해 업무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마케팅기획 등 18개 부서에서 10분 분량의 영상을 180개가량 제작하며 생성형 AI 기술을 업무에 적극 활용했다. KB손해보험은 고객 혁신과 업무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이번 AI 스튜디오스의 공식 도입을 결정했다. AI 스튜디오스를 기존보다 다양한 부서에 확대 도입해 고객에게 제공하는 AI 안내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계획이다. 아울러 딥브레인AI는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KB손해보험 내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AI 스튜디오스의 신규 기능을 소개하는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도입을 통해 KB손해보험은 생성형AI 기술 활용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재 딥브레인AI의 AI 스튜디오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국내 기업 중 KB손해보험이 가장 많은 부서와 담당자들이 이용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등 금융권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AI 스튜디오스는 ‘텍스트 투 비디오(Text-to-Video)’ 기술을 기반으로 가상인간을 활용한 영상 제작 및 편집을 지원하는 생성형 비디오 솔루션이다.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URL, 문서 등을 업로드하면, 메시지와 적합한 가상인간과 배경, 음악 등 요소들을 자동으로 구성해 맞춤형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전문 장비 없이도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와 닮은 커스텀 아바타 제작을 지원한다. 웹캠을 이용하거나 이미지, 녹음파일만으로도 커스텀 아바타를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와 닮은 아바타를 활용해 고객 개인별 맞춤형 메시지를 제작하고, 녹음한 언어 외 다양한 언어를 구사할 수도 있어 그 활용도가 높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지난 3개월간 진행한 시범 도입 성과를 인정받아 KB손해보험과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만족스럽다”며, “다양한 기업들이 AI 스튜디오스를 도입해 고객경험 혁신 및 업무 효율성을 개선하는 성과를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더테크 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 원자력발전소 공항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위협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시스템을 위한 통신·AI 통합 모듈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단일 장비로 LTE 통신·AI 영상분석·임무 컴퓨터 통합 제공하는 국내 첫 사례다. 현재 세계적으로 불법 드론에 대응하기 위한 안티드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추세로, 국내에서도 민·관이 협업해 불법 드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SKT는 2021년부터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드론 비행과 임무수행에 필요한 LTE통신 및 AI 영상 분석을 위한 모듈을 개발해 왔다. 이번에 개발한 모듈은 드론과 지상 제어 시스템을 PS-LTE나 상용 LTE망으로 연결, 상태·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동시에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 후 불법 드론 여부를 판단하는 AI 컴퓨팅을 제공한다. 서버와의 연동이 필요 없기 때문에 AI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분석할 수 있고, 불법 드론에 대응하는 기체에 장착해 강력한 컴퓨팅을 바탕으로 드론 임무 컴퓨터 역할을 수행한다. 모듈이 적용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 시스템은 신원 미상의 드론이 국가 중요중요시설 인근에 출현했을 때 순찰 드론이 장착된 레이더, RF 스니퍼(Sniffer), 전자광학(EO) 및 적외선(IR) 촬영장비를 활용해 불법드론을 탐지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출격한 대응 드론이 위성측위시스템 스푸핑(GNSS Spoofing), 재밍(Jamming), 넷건(net gun)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불법 드론을 무력화시키게 된다. SKT는 드론에 장착하는 단일 장비로 LTE 통신, AI 영상분석, 임무 컴퓨터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모듈의 국내 최초 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과정을 거쳤다. 모듈이 장치의 냉각팬을 활용해 열을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먼지나 물방울 같은 외부환경에 버틸 수 있도록 IP43 수준의 방진·방수 규격을 만족하는 디자인을 채택했다. 또한 드론에 장착되는 임무장비들과 연동하기 위해 USB와 이더넷 등 폭넓은 인터페이스를 적용했고, 연결된 장비들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자파 적합성 테스트도 마쳤다. 가장 중요한 드론의 체공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 설계를 수차례 최적화했고, 128 X 83 X 45mm, 351g 수준의 소형화·경량화에 성공했다. SKT는 시제품 제작 및 검증을 끝내고 체계 종합 실증을 위한 연동시험을 진행 중이며 오는 19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 2024’의 다부처지원 R&D성과 전시관에서 시제품 모듈을 전시할 예정이다. SKT는 내년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력해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체계의 통합 시험 및 실증을 지원하고, 실증 이후에는 원자력발전소 등 국가중요시설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하철세 SK텔레콤 Infra Biz담당은 “불법 드론이 핵심 시설이나 민간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통신과 AI 기술 기반의 효과적인 대응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다쏘시스템의 아웃스케일(OUTSCALE)이 24시간 관리 전문성을 제공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 개발 및 운영 전문 기업 새틀라이즈(Satelliz)를 인수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전략적 인수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분야에서 새로운 역량을 갖춰 클라우드 기술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전망이다. 아웃스케일은 새틀라이즈와 함께 가용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쿠버네티스 솔루션을 통합해 확장된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 계속해서 증가하는 현대 기업의 유연성, 효율성 및 보안에 대한 요구를 직접적으로 충족한다. 새틀라이즈의 기술을 통합하며 아웃스케일은 24시간 매니지드 쿠버네티스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새틀라이즈 인수를 통해 아웃스케일은 고객이 기존처럼 복잡하게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민첩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아웃스케일의 전문성과 결합한 새틀라이즈의 매니지드 솔루션을 사용하면 동적인 시장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6년까지 컨테이너 인스턴스의 75%가 공공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3년의 5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쿠버네티스가 필수가 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장은 IT 인프라를 현대화하고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적응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번 인수에 따라 고객은 완전 관리형 쿠버네티스 인프라를 이용해 현재의 확장성과 고가용성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워크로드에도 대비할 수 있다. 필립 마틴(Philippe Miltin)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 CEO는 "아웃스케일의 쿠버네티스 최적화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벤더의 컨테이너화된 제품을 지원할 필요성을 충족해 새로운 통합과 협업 가능성에 대한 유연성과 개방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접근 방식은 최적의 성능과 전례 없는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유럽의 데이터 주권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한다"라고 말했다.
[더테크 조재호 기자]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가 지난달 미국 (Ghost Robotics Corp. 이하 ‘GRC’)에 사족 보행 로봇 Vision 60 핵심 주요부품 판매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공급 물량은 1분기 판매한 물량 대비 5배 이상 규모로 3분기 중에도 추가 공급이 예정돼 있다. 현재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는 코스닥 상장사 케이알엠의 최대주주(지분율 21.45%)로 Vision 60 핵심 주요부품을 케이알엠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케이알엠이 생산한 Vision 60 핵심 부품을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에 공급해 GRC에 판매하는 구조이다. GRC가 개발한 ‘Vision 60’은 현존하는 사족 보행 로봇 중에서 경쟁사 제품 대비 긴 배터리 지속시간, 부품 모듈화, 높은 IP 등급, 뛰어난 기동성 등의 장점을 보유해 야외 활용에 가장 부합하는 사족 보행 로봇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Vision 60은 각국 국방기관 등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 정부는 지난 5월 중국산 영구자석에 대해 2026년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가 있다. 이러한 정책하에 Vision 60에 들어가는 모터 등 핵심 부품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앞으로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의 GRC 향 부품 판매가 지속 확대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이유다.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 관계자는 "6월 중 판매한 핵심 부품은 1분기 판매 물량 대비 5배 이상 성장한 규모로 향후 판매 물량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국내 연구진이 LLM 기반 추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빠르게 상품 등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KAIST는 산업및시스템공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네이버와 공동 연구를 통해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기반 추천 모델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KAIST는 최근 소셜 미디어, 전자 상거래 플랫폼 등에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중에서도 상품의 제목, 설명과 같은 텍스트를 주입해 상품 추천을 제공하는 LLM 기반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모델은 사용자의 선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품 텍스트와 함께 LLM에 주입해 상품 추천의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LLM 기반 추천시스템 기술이다. KAIST는 기존 연구에 비해 이번 연구가 학습 속도에서 253% 향상, 추론 속도에서 171% 향상, 상품 추천에서 평균 12%의 성능 향상을 이뤄냈다고 밝혔다. 특히 사용자의 소비 이력이 제한된 퓨샷(Few-shot, 사용자의 소비 이력이 풍부하지 않은 상품) 추천에서 평균 20%의 성능 향상과 다중 도메인(Cross-domain, 타 도메인에서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추가학습없이 현재 도메인에서 추천을 수행) 상품 추천에서 42%의 성능 향상을 이뤄냈다. 기존 LLM을 활용한 추천 기술들은 사용자가 소비한 상품 이름들을 단순히 텍스트 형태로 나열해 LLM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추천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극한직업, 범죄도시1, 범죄도시2를 보았을 때 다음으로 시청할 영화는 무엇인가?”라고 LLM에 질문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연구팀이 착안한 점은 상품 제목, 설명과 같은 텍스트뿐 아니라 협업 필터링 지식 즉 사용자와 비슷한 상품을 소비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정확한 상품 추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미리 학습된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모델로부터 사용자의 선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LLM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경량화 된 신경망을 도입했다. 이번 기술의 특징은 LLM의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기존 연구들은 상품 추천을 목적으로 학습되지 않은 LLM이 상품 추천이 가능하게 하도록 LLM을 파인튜닝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다만 이는 학습, 추론에 드는 시간을 급격히 증가시키므로 실제 서비스에서 LLM을 추천에 활용하는 것에 걸림돌이 된다. 연구팀은 LLM의 직접적인 학습 대신 경량화된 신경망의 학습을 통해 LLM이 사용자의 선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고 이에 따라 기존 연구보다 빠른 학습, 추론 속도를 달성했다. 연구팀을 지도한 박찬영 교수는 “제안한 기술은 LLM을 추천 문제에 해결하려는 기존 연구들이 간과한 사용자-상품 상호작용 정보를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 모델에서 추출해 LLM에 전달하는 새로운 방법”이라며 “이는 대화형 추천 시스템, 개인화 상품 정보 생성 등 다양한 추천 서비스를 등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추천 도메인에 국한되지 않고 이미지, 텍스트, 사용자-상품 상호작용 정보를 모두 사용하는 진정한 멀티모달 추천 방법론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더테크 조재호 기자] 직장인 5명중 1명이 향후 유망할 것 같은 산업 분야로의 이직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조사한 최근 남녀 직장인 625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유망 산업 분야 및 이직 준비 현황'을 17일 발표했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향후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대표 산업군이 어디일지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했다. 그 결과 ‘바이오·제약·의료(45.3%)’ 분야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근소한 차이로 ‘IT·정보통신(41.9%)’ 분야가 뒤를 이었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향후 유망 산업 분야 3위는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하이테크(34.7%)’ 분야였다. 4위는 직장인들의 연령에 따라 선택이 달랐다. 20대와 30대 직장인들은 △자동차·모빌리티(20대-10.2%, 30대-9.8%)를 유망 산업 분야로 꼽았고, 40대 이상은 △여가·레저·관광(11.5%) 분야가 향후 유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외에도 직장인들은 △게임·웹툰(8.0%) △물류·운송·배송(6.9%) △방송·엔터테인먼트(6.6%) △농업·어업·임업(5.6%) 등 분야를 유망 업종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반면 △유통·판매(1.3%) △패션·화장품(2.6%) △식음료·외식(2.9%) △교육·학습(3.0%) 등의 분야를 꼽은 직장인들은 많지 않았다. 직장인들이 위의 분야를 유망 업종으로 꼽은 이유는 ‘이미 기술 적용 등 변화가 시작된 분야(39.7%)’이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 변화에 따른 영향 때문(21.6%) △언론을 통해 많이 언급되는 분야라서(16.5%) △기술 발전 및 활용이 덜 되어 발전 가능성이 커서(11.4%) △환경, 인권 등 세계적 관심 분야라서(8.6%) 등을 꼽았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의 설문 참여자 중 21%는 ‘유망 분야 산업군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38.2%는 ‘유망 분야에 관심은 있지만 무엇을 준비할지 몰라 이직을 준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고, 또 31.8%는 ‘전공 및 커리어가 유망 산업분야와 관계가 없어 이직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나머지 9%는 ‘현재 유망할 것으로 생각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전 세계 장애 청소년들의 AI 역량을 강화하며 이들의 적극적인 사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LG전자는 16~17일 양일간 ‘2024 글로벌장애청소년IT챌린지(이하 GITC)’ 예선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GITC는 장애 청소년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높여 사회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2011년부터 진행해 온 대회다. 올해는 LG, 보건복지부, 필리핀 정부가 주최하고 LG전자, GITC 조직위원회, 필리핀 국가장애위원회(CNDA)가 주관한다. 또한 현재까지 13년간 총 40개국에서 5천여 명의 장애 청소년이 참여했으며 한국,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를 넘어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참가국이 확대되며 글로벌 대회로 성장하고 있다. 올해는 총 16개 국가에서 600여 명이 넘는 장애 청소년들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특히 올해는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구글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기술 활용 능력이 새로운 평가 요소로 추가됐다. 최근 생성형 AI가 글로벌 IT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것에 따라 글로벌 디지털 인재로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번 예선을 통과한 장애 청소년들은 오는 11월 3일부터 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본선 대회에 참가한다. 대회 종합 1등과 종목별, 장애 유형별 성적 우수 참가자들에게는 상장, 상금이 수여된다. 이와 함께 한국 장애 청소년의 IT 활용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도 진행된다. LG전자는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협력해 교육에 참가한 장애 청소년들에게 다방면의 IT 역량 강화 활동을 제공한다. 또 기본, 실전, 심화 등 수준별 교육 커리큘럼으로 역량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서 진행된 GITC는 참가했던 장애 청소년들이 IT 관련 분야로 진학하거나 취업에 성공하며 이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발판 역할을 해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5년 GITC 글로벌 IT 리더로 선정된 파라무디타야는 참가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의 장학금 지원을 토대로 장기적인 IT 교육 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에서 IT 개발자로 근무하고 있다. 한편 LG전자는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이라는 ESG 경영 비전을 실천하기 위한 6대 전략 과제 중 하나로 ‘다양성과 포용성’을 선정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참여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 장애인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LG 컴포트 키트 △수어상담센터 △베스트 동행 케어 서비스 △점자 스티커 배포 등 서비스와 제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