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첨단 의료기기 R&D에 9,400억 투입…AI·로봇 기반 차세대 의료산업 육성

 

[더테크 이승수 기자]  정부가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R&D)에 향후 7년간 9,4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2026년부터 2032년까지 총 9,408억 원(국고 8,383억 원, 민자 1,025억 원)을 투입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AI, 로봇, 정밀의료기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의료기기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범부처 협력 프로젝트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의료기기 6건 개발, ▲필수 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초·원천연구부터 임상·인허가까지 전주기 R&D 지원체계를 마련해,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2기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R&D(1기)’의 성과를 기반으로 한다. 1기 사업에서는 총 467개 과제가 지원돼 최근 5년간 국내외 인허가 433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의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AI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의 세계 최초 개발,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 국산화 등은 국내 의료기기 기술 자립의 대표적 성과로 꼽힌다.

 

정부는 1기 사업의 성과가 단절되지 않도록 후속사업을 통해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연속성과 산업화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11월 5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R&D(2기)’ 설명회를 개최하고, 산·학·연·병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2026년도 신규 과제 참여 방법 및 일정 등을 안내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사업의 추진 방향과 세부 계획이 공개됐으며, 연구자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현장 질의응답도 진행됐다.


정부 관계자는 “첨단 의료기기 산업은 고령화, AI 헬스케어, 정밀진단 등 미래 의료환경을 주도할 핵심 산업”이라며, “연구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범부처 협업을 통한 국가 의료기기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