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국가대표 AI 기업 도약 선언

연내 오픈소스 SOTA급 성능 개발 목표

 

[더테크 이승수 기자]  SK텔레콤이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통해 대한민국 AI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을 열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SKT는 지난 9일 오후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열린 착수식에는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5개 정예팀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며, “제한된 시간과 자원 속에서도 SOTA급 AI 모델을 구현하는 것은 기술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안에 오픈소스 SOTA급에 근접한 모델을 구현해 1차 단계평가에 도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1차 단계평가는 올해 말 잠정 예정돼 있으며, 국민·전문가 평가, AI 안전성 연계 검증,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 다각적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 SKT는 벤치마크 성능뿐만 아니라 실사용자 체감 성능,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 접근성과 활용성 등을 고려해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이미 2019년부터 한국형 AI 모델을 자체 개발해온 경험이 있으며, 1천만 명이 사용하는 AI 에이전트 ‘에이닷(A.)’ 상용화를 통해 축적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실질적 편의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모델을 선보인다는 각오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42dot),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 5개 기업이 정예팀으로 참여한다. 이들은 반도체,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최적화, 멀티모달 등 AI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풀스택 역량을 결집해 협력한다. 서울대와 KAIST,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의 석학 연구진도 원천기술 연구를 맡아 지원한다.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한국어 처리 능력 세계 최고 수준 달성과 동시에 다국어 지원 및 멀티모달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AI 모델 개발이다. 특히 한국의 문화적 맥락과 정서를 깊이 이해하는 AI를 구현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영상 CEO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 전체의 혁신적 도약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