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3173287746_8b6a2e.jpg?iqs=0.11476940279514314)
[더테크 서명수 기자]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상근 부위원장 임문영)가 8일 서울스퀘어에서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정부와 민간의 집단지성을 모아 대한민국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전략적 목표를 제시했다.
출범식과 함께 열린 제1차 전체회의에서는 민간위원 위촉식이 진행됐으며, 기술혁신·인프라, 산업AX·생태계, 공공AX, 데이터, 사회, 글로벌 협력, 과학·인재, 국방·안보 등 8개 분과위원회의 위원장이 위촉장을 받았다. 총 34명의 민간위원이 배정됐으며 향후 추가 위원들과 함께 각 소관 분야의 정책 기획과 심의, 연계 조정을 담당한다.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대한민국 AI액션플랜 추진 방향, 국가 AI컴퓨팅 센터(일명 ‘AI 고속도로’) 구축 방안,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방향 등 핵심 의제를 논의했다. AI액션플랜은 새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인프라·기술·인재 확보를 토대로 산업·공공·지역의 전면적 전환을 추진하고 문화·국방 분야의 전략적 AI 결합을 통해 수출 성장을 견인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세부 실행계획은 오는 11월 발표된다.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추친 방향. [자료=국가인공지능전략위] ](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3160041997_f109ba.jpg?iqs=0.8256046839436236)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은 2028년까지 첨단 GPU 1.5만 장, 2030년까지 5만 장 이상을 확보해 국내 AI 생태계에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마중물 투자를 하고 민간과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공동으로 투자·운영하는 민관 협력 모델을 채택했다. 아울러 민간의 우려를 반영해 지분 구조와 의무 사항을 조정해 경영 자율성을 높이고 투자 리스크를 완화하기로 했다.
내년 1월 시행을 앞둔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방향도 논의됐다. 데이터 구축과 AI 도입 기준, 안전·신뢰 확보 의무 등을 구체화해 기업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가이드라인을 통해 고영향 AI 판단 기준과 사례를 제공해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시행 초기에는 계도기간을 두고 컨설팅과 비용 지원도 병행한다.
임문영 부위원장은 “국가 AI 최상위 전략기구로서 속도와 성과를 최우선으로 두고, 공공의 가치와 민간의 효율을 결합해 미래지향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하겠다”며 “AI 액션플랜 등 주요 정책을 분과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통해 소관 부처와 긴밀히 소통하고 현장을 직접 점검하며 AI 3대 강국 목표를 차질 없이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