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5일 SK하이닉스 주요 경영진과 함께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HBM 생산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SK]](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50936/art_17570300242207_3ded5f.jpg?iqs=0.2922117845165002)
[더테크 서명수 기자]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선두 자리를 지켰다.
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39.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지난 분기(36.9%)보다 상승한 실적을 올렸다. 이는 2분기 연속 삼성전자를 넘어선 성과다. 반면 삼성전자는 33.3%로 하락세를 보였다.
D램 업계 전체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7.3% 늘어난 309억1천6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매출 증가 배경에는 D램 계약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출하 확대가 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 절대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AI 등 고성능 컴퓨팅에 필수적인 HBM은 SK하이닉스가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고객으로 꼽힌다.
올해 2분기 SK하이닉스의 매출은 122억2천600만 달러로, 삼성전자의 103억 달러보다 19억 달러 이상 많았다. 트렌드포스 조사에서도 SK하이닉스 점유율이 1분기 36%에서 38.7%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HBM 수요 확대에 따라 SK하이닉스가 내년 계약 물량 협상까지 앞서가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와 통신 기술 발전이 맞물리면서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