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네이버, 네이버파이낸, 두나무가 전날 각 이사회를 통해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의결하고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하는 ‘기업융합’을 27일 공식 발표했다. 이어 27일 성남 1784 네이버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AI와 웹3 중심의 글로벌 진출 비전을 제시했다.
행사에는 네이버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두나무 송치형 회장·김형년 부회장, 네이버 최수연 대표, 두나무 오경석 대표, 네이버파이낸셜 박상진 대표 등 3사 최고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국내 플랫폼·핀테크·블록체인 산업을 대표하는 경영진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 전략이 단순한 지분 교환을 넘어 본격적인 ‘글로벌 공략 시그널’임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최수연 대표는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과 AI가 스스로 판단해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 단계로의 진입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며 “이 기술적 모멘텀을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네이버와 두나무는 뜻을 함께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AI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제시했다. 그는 “3사가 힘을 합쳐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과 생활 서비스 영역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플랫폼을 새롭게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보다 공격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네이버의 AI 역량은 웹3와 시너지를 발휘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미래를 선점할 수 있다”며 “세계 기업들이 아직 시도하지 않은 영역을 빠르게 추진해야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나무 김형년 부회장은 자산 토큰화 시대의 도래를 언급하며 “향후 대부분의 자산이 블록체인 위에서 유통될 것이며, 이번 기업융합은 국경 없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한국이 선도할 기회를 만드는 결정”이라고 말했다. 오경석 대표 역시 “기술 변곡점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기 위해 양사의 역량을 결합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기업융합의 핵심은 세 기업이 가진 기술·서비스·사용자 기반을 통합해 글로벌 시장에서 기존에 없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점이다. 네이버는 검색·AI·콘텐츠·커머스 역량을, 네이버파이낸셜은 3,400만 사용자 기반과 연간 80조 원 규모의 결제 인프라를, 두나무는 업비트의 글로벌 탑티어 디지털자산 거래량과 고도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세 회사가 결합할 경우 AI–웹3–핀테크–콘텐츠를 묶어낼 수 있는 유례없는 서비스 구조가 가능해진다.
최 대표는 “이번 딜이 완료되면 글로벌 시장을 최우선 목표로 삼은 협업 문화를 구축할 것”이라며 “사용자–데이터–기술–서비스–자본력으로 이어지는 풀라인업을 기반으로 웹3 시장에서 과감한 도전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3사는 기업융합 이후 국내 기술 생태계 활성화에도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 최 대표는 “AI와 웹3 분야에서 글로벌 플레이어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생태계 조성과 기술 투자 확대가 필수”라며 향후 5년간 총 10조 원을 투자해 기술·스타트업·서비스 생태계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두나무 오경석 대표는 “우선은 주식 교환을 통한 계열 편입과 기업융합 시너지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며 “지배구조 변화보다 글로벌 시장 진출과 자본시장 접근성 확대에 전략의 무게를 두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의 이번 결단은 한국 IT·핀테크·블록체인 산업의 힘을 묶어 세계 시장 경쟁에 나서는 첫 대규모 결합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