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고용AI·근로감독관 AI’ 서비스..."국민 일상 바꾼다"

 

[더테크 서명수 기자]  고용노동부가 오는 9월부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국민 취업·노동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고용AI’와 ‘근로감독관 AI 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향후 산재예방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까지 AI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고용AI’는 구직자의 적성, 경력, 직무 경험 등을 분석해 맞춤형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고, 취업 가능성이 높은 기업 채용 정보를 연결한다. 기업에는 적합한 인재를 추천해 구직자-기업 간 미스매칭을 최소화하고 채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근로감독관 AI 지원시스템’은 산재 이력과 위험설비 현황 등 데이터를 활용해 산재 위험이 높은 사업장을 선별, 근로감독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 대국민 24시간 노동법 상담과 사건 접수 지원, AI와 인간 협업 기반 수사로 임금체불 등 노동사건을 신속히 해결한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025년 과기정통부 ‘공공 AX 프로젝트 사업’에서 산재 예방 및 현장점검 지원 AI, 산재보상 심사 지원 AI, 중소기업 원격훈련 통합관리 AI 등 3개 과제(90억 원)를 선정했다.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공공 AI 3대 선도과제’에는 개인·기업 맞춤형 구인·구직 서비스(39억 원)가 포함되며, 공공부문 AI 혁신의 중심 부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AI 고용서비스 로드맵을 마련 중이며, 이를 통해 고용·노동 분야의 AI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9월 5일과 12일에는 ‘고용노동행정 인공지능 대전환 회의(AX Summit) 2025’를 개최하고, 6종의 AI 서비스를 공개하고 전문가들과 AI 전환 전략을 논의한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AX Summit에서 선보이는 AI 서비스는 국민 노동권익 보호를 더 빠르게, 일자리는 맞춤형으로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국민과 기업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고용노동 행정 혁신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