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전 세계 AI 도입 성과 공개…“AI 퍼스트 전략 혁신 가속화”

 

[더테크 이승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전 세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사 AI 비즈니스 솔루션과 클라우드,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성과를 창출한 고객 사례를 19일 공개했다.

 

IDC가 발표한 ‘2025 CEO 우선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6%는 생성형 AI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 개선 등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이 AI에 1달러를 투자할 때, 전 세계 경제에는 평균 4.9달러의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들이 ‘AI 퍼스트(AI-first)’ 전략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재편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직원 경험 강화, 고객 경험 혁신,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 혁신 가속화 등 네 가지 분야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85% 이상이 마이크로소프트 AI 솔루션을 도입한 상태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과 팀즈, 인튠 등을 차량 운영체제에 통합해 자동차를 ‘이동형 생산성 공간’으로 전환했다. 아르헨티나 방코 시우다드는 코파일럿과 애저(Azure)를 통해 연간 약 2,400시간의 업무 시간을 절감했으며, 호주 커먼웰스은행은 A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원 효율성과 고객 경험을 개선했다.

 

또한 멕시코 뷰티 기업 셸로 나벨은 다이나믹스 365와 코파일럿으로 매출 17% 증가, 사우디 유니포닉은 보안·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강화해 연간 25만 달러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다. 그리스 피플서트 헬라스는 AI 챗봇 ‘서티팰(CertyPal)’로 고객 만족도를 142% 높였다.

 

AI 혁신은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 기반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프리미어리그는 애저 오픈AI와 AI 파운드리를 기반으로 팬 경험을 혁신했으며, 스탠포드대학병원은 의료 AI 에이전트 관리 솔루션을 도입해 임상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미국 법률 기업 어셈블리 소프트웨어, 스웨덴 허스크바나 그룹, 일본 NTT데이터 등도 애저를 활용해 생산성과 데이터 활용 역량을 강화했다.

 

보안 분야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엘랑코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E5와 시큐리티 코파일럿을 통합해 90개국 IT 운영 보안성을 높였으며, 미국 캘리포니아 컨군은 퍼뷰(Purview)를 활용해 연간 약 100만 달러의 규제 위반 리스크를 줄였다. 체코 뮤즈와 미국 퓨리턴 생명보험사 역시 AI 기반 보안·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해 대응 속도와 수익성을 높였다.

 

저드슨 알소프 마이크로소프트 수석부사장 겸 CCO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은 지금이야말로 기업이 리더가 될 기회”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가 AI를 통해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단순한 도입을 넘어 혁신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