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429개 해외전시회 6300여개사 참가 지원

 

 

[더테크 뉴스]  정부가 올해 682억원을 투입해 중소 수출기업 6300여개사의 해외전시회 참가를 지원하고 24개 전시회에서 통합한국관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관계부처, 지자체, 수출지원 유관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제1차 ’해외마케팅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2022년도 범부처 해외전시회 지원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해외전시회(CES, MWC 등)는 현지 방역규정 엄수하에 오프라인 또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전시회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중소 수출기업들의 오프라인 전시회 참가지원 확대를 요청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참석기관들은 금년도 해외전시회 지원계획을 통해 온․오프라인 전시회 참가지원을 확대하고 수출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외바이어 매칭, 상담 등을 최대한 지원하기로 했다.

 

관련부처와 지자체는 총 682억원을 투입, 수출 파급효과가 큰 전시회를 대상으로 6,300여개사(429개 단체관 구성) 확대 참가 지원 계획이다.

 

온라인 마케팅이 용이한 소비재 품목이 강세인 가운데 기계․전자 등 소부장 품목의 참가지원 비중이 확대 지난해 대비 38% 확대 될 전망이다.

 

중소기업 단독으로는 전시회 참가 및 수출 마케팅에 애로가 많은 점을 고려, 현지 코로나 상황에 따라 개별참가 지원을 차별화한다. 또한 코로나 상황이 진정될 경우 오프라인 전시회 참가, 확산시에는 디지털컨텐츠 제작, 온라인 전시회 입점 등을 중심으로 지원한다. 

 

코로나 상황 악화로 전시회 취소․연기가 이어질 경우에는 국내외 수출 지원역량을 결집한 대규모 온라인 수출전시회 개최 등을 추진한다.

 

전시회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해외전시회 수출성과 제고한다. 개최전에는 해외무역관을 통해 사전 상품홍보를 실시, 해외바이어 매칭 최적화를 위한 빅데이터가 제공된다.

 

오프라인 전시회는 참가 및 현장상담, 온라인․O2O전시회 개최시 현장 대리상담, 화상상담, 제품시연,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 지원한다. 개최후에는 온라인 추가상담, 무역관의 해외지사 대행, 코로나로 해외출장이 어려운 기업의 시장조사․샘플발송 등 현지 애로해소 추진한다.

 

해외전시회 통합한국관을 24회로 확대하여 범부처 수출마케팅 역량을 결집한다.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 “대한민국 브랜드” 위상을 수출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참가기업들이 수출성과 창출 등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체관을 통합 추진한다.

 

온라인 상설전시관(16개 업종)과 국내전시회를 입점 확대, O2O전시회 개최 확산 등을 통해 해외 바이어 유치 허브로 지속 육성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문동민 무역투자실장은 “우리 수출이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하고 두 자릿수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으나, 오미크론 상황 지속, 원자재 가격 상승에 우크라이나 사태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문실장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외 요인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출 증가세가 흔들림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반기에 수출지원 역량을 총 집중”해 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상반기에 무역보험 100조원, 수출마케팅 1,100억원을 투입, 수출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 해외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하고, 글로벌 물류난이 안정화될 때까지 선복 공급과 물류비 지원 확대, 현지 물류·항만시설 확충 등 민관합동으로 총력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