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일본 의존도 감소...전기차용 배터리 파우치 국산화 성공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문승욱 산업부 장관이 경기도 안산 소재 율촌화학을 방문해 소부장 협력 모델의 성과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율촌화학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국내 이차전지 업체와 협력해 일본산에 의존하고 있는 전기차(EV)용 배터리 포장재(파우치)를 국산화했다. 연간 최대 1억 제곱미터(㎡)의 파우치 생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국내 및 해외시장 점유율을 상당부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그간 배터리 완제품 제조 경쟁력에 비해 부족하다고 평가받던 이차전지 관련 소부장 분야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협력모델과제는 지난 제4차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20.5월)에 협력모델로 선정되어 국비 73억원이 투입된 과제로서, 이차전지 파우치 관련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협력이 이뤄진 모범사례다.

 

생산장비 개발을 위해 국내 부품기업인 L사는 서보모터, 컨트롤러 등 핵심 부품을, 장비기업인 D사는 생산장비를 개발하였으며, 부품·장비 성능평가를 위해 기계연구원 및 국내 이차전지社가 참여하였다.

 

또한, 국내 이차전지社는 파우치 소재개발 및 파우치 생산을 위한 율촌화학의 파우치 수요 파트너로서도 참여하였다.

 

정부는 기술개발 정부출연, 정책금융지원, 세제지원, 인력지원, 행정절차 신속처리 등을 통해 협력모델의 성공적 달성을 뒷받침 했다. 

 

한편, 산업부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우리 소부장 산업이 100대 핵심품목에 대한 對日 의존도가 감소하고, 우리 소부장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성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일본수출규제 3대 품목의 수급차질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100대 핵심품목 등 소부장 전체 품목의 대일본 의존도도 크게 감소했다.

 

문승욱 장관은 이날 간담회를 통해 “지난 2년여 시간은 우리 소부장 산업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 공급망,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우리 산업경제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소부장 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