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R&D·기술 개발에 950억, 장비 구축에 1000억 투자

 

[더테크 뉴스]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의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연대협력을 통한 연구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완결형 클러스터를 조성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전북 탄소소재 특화단지에서 ’제1회 소부장 특화단지 추진단 협의회‘를 개최했다. 

 

협의회는 입주기업, 연구기관 등 특화단지의 혁신주체 간 정례적인 소통 채널을 신설해 상호간 신뢰에 기반한 연대와 협력 체계를 수립하고 밸류체인 완결형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특화단지의 중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세부 추진과제로 금년부터 추진되는 협력 R&D, 테스트베드 구축방안과 재직자 교육 프로그램의 세부 기획 내용 등 특화단지 내 입주 기업들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 지원 방안을 공유했다. 

 

R&D 분야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 기술 초격차 유지 △이차전지 파우치 등 소부장 핵심품목 기술 자립화 △탄소섬유, 인공지능(AI) 기반 정밀기계 등 소부장 신시장 창출·선점을 위한 수요·공급 기업 간 협력 과제를 추진한다.

 

입주기업과 수요를 연계하고 단지별 밸류체인을 완결하기 위한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로드맵'을 바탕으로 향후 3년간 약 200종 연구개발 장비를 구축한다.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탄소 복합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신기술·공정을 현장에 적용한다. 단지 내 협력기업 현장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재직자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앵커기업이 기술나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돕기 위해 사업 취지, 내용, 기대효과도 공유했다. 앵커기업 우수 기술 이전으로 특화단지 내 협력기업 연구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사업화 기회 확대, 국가 연구개발 성과 사장 방지, 민간 활용 촉진 등 효과를 기대했다.
 

또한, 효율적인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공급망 정보화 시스템’의 도입(안)과 우수·유망 소부장 기술개발 성과물의 사업화 및 투자를 위한 ‘(가칭)공급망 안정화 펀드 조성(안)의 추진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경호 소재부품장비협력관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는 밸류체인 완결형 클러스터로, 우리나라 공급망 내재화의 중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며, “정부는 오늘 협의회에서 나온 의견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특화단지 관련 신규 정책 수립, 신규 사업 기획 등에 반영하겠으며, 향후 정례적인 협의를 통해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