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T 뉴스
멀티미디어
독자 · 소통
[더테크 이지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이 단순한 신경세포 손상 때문만이 아니라, 특정 신경 신호 경로의 교란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KAIST는 생명과학과 허원도 석좌교수 연구팀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아주대학교의료원 병리과 김석휘 교수 연구팀과 함께 극단 선택을 한 환자의 뇌 조직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RNA 염기 분석과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통해 우울증의 분자 기전을 규명했으며,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동물모델에서 항우울 효과 회복 가능성도 입증했다. 연구는 특히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해마 중 ‘치아이랑’ 부위에 집중됐다.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유발한 우울증 마우스 모델에서 성장인자 수용체인 FGFR1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FGFR1을 제거한 조건부 녹아웃(cKO) 마우스에서는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고 우울 행동이 빠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FGFR1이 정상적인 신경 조절과 스트레스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어 연구팀은 FGFR1을 빛으로 활성화하는 ‘optoFGFR1 시스템’을 개발해 FGFR1이 부족한 우울증 마우스에서 이를 활성화했다. 그 결과 항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