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에이펙스에이아이는 소비자 가전과 차량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기술 혁신 기업인 LG전자가 자사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시리즈 B 펀딩 라운드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 LG전자는 에이펙스에이아이의 한국 내 첫 번째 전략적 투자자(SI)가 됐다. 에이펙스 대표 제품인 Apex.Grace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및 개발 키트와 기타 관련 제품들은 검증된 자동차 하드웨어와 차세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간의 원활한 통합을 지원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의 개발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얀 베커 에이펙스에이아이 공동 창업자 겸 CEO는 “이번 투자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기술이 미래 모빌리티에서 차지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동시에, 에이펙스에이아이가 확장 가능하고 양산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접근 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이고, 이번 투자를 계기로 앞으로도 LG전자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혁신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투자는 2024년 말 에이펙스에이아이와 LG전자의 기술 협력 발표 이후 이뤄졌다.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더테크=조명의 기자]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는 승차공유 서비스 기업 모이아(MOIA)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해 자사 소프트웨어 기술을 채택했다고 26일 발표했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인 모이아는 자율주행 차량인 ‘아이디 버즈 AD(ID.Buzz AD)’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운영체제(OS)를 이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이아는 탑승객과의 상호 작용 대부분을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을 구축할 계획이다. 모이아는 2021년부터 폭스바겐 상용차(VWCV)와 협력해 자율 승차공유 서비스를 일반에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및 테스트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25년에 독일 함부르크에서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모이아의 독자적인 탑승객 관리 시스템은 자율 모빌리티 서비스의 보조 운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차량에 긴밀히 통합돼 차량 내부의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를 대신하거나 필요한 경우 차량 내부의 다양한 보조 기능들을 제어한다. 사샤 마이어 모이아 CEO는 “고성능 탑승객 관리 시스템은 자율 승차공유 서비스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지능형 자율주행차 기
[더테크=조명의 기자] 모빌리티‧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에이펙스에이아이는 전기차‧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보유, 도요타 벤처스, 볼보 그룹 벤처 캐피털, 재규어 랜드로버의 인모션 벤처스, 에어버스 벤처스, 콘티넨탈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주목받아 왔다.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자동차산업의 전략적 요충지인 독일 베를린‧뮌헨‧슈투트가르트, 스웨덴 예테보리, 일본 도쿄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에이펙스에이아이는 한국지사 설립과 함께 초대 지사장으로 12년간 자동차 업계에 몸담아 온 노성범 지사장을 선임했다. 에이펙스에이아이의 CEO 얀 베커 박사는 “한국은 연간 자동차 생산량 기준 세계 3위의 글로벌 자동차 OEM 의 본사가 있는 곳으로서 우리가 이 OEM을 비롯해 부품 공급사, 관련 생태계와 협력하기 위해서는 한국 시장 진출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성범 한국지사장은 “한국에서 사업 기반을 탄탄히 다지는 작업부터 시작해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솔루션이 핵심 역할을 지원할 수 있는 영역들, 즉 자율 로봇, MaaS, 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