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BMW코리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비대면 방식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공식 유튜브 채널을 새롭게 오픈한다. BMW 코리아는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BMW 관련 소식을 가장 신속하고 깊이 있게 전달, 브랜드 핵심 가치인 즐거움(JOY)을 다양한 방법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BMW 코리아 유튜브 채널은 크게 3가지 메인 콘텐츠로 운영된다. 먼저 ‘BMW 얼리뷰’라는 코너를 통해 국내에서 가장 먼저 BMW 신차를 리뷰한다. BMW 얼리뷰는 가장 빠르게 정보를 전달한다는 ‘Early View’ 또는 모든 것을 리뷰한다는 ‘All Review’의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담고 있으며, BMW 코리아에서 직접 진행하는 리뷰로 정확하고 전문적인 상품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BMW코리아 상품기획자가 직접 출연해 차량의 외관, 인테리어, 옵션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며, 댓글에 질문을 남기면 이에 답하는 방식으로 시청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이와 함께 전문 인스트럭터가 드라이빙 센터 트랙에서 랩타임을 측정에 나서는 등 차량의 주행 성능을 리뷰한다. 전 세계에서 3번째로 건립된 영종도 소재의 BMW 드라이빙 센터를 활용한 콘텐츠도 선보인다. BMW 드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지친 고객들을 위로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힐링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충전포차’를 11일 개장했다. 현대 모터스튜디오 충전포차는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외부 활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됐다.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언택트 방식으로 운영된다. 고객들은 온라인 충전포차 이벤트인 ‘충전지수 테스트’, ‘충전포차 AR필터 ’ 등을 통해, 현재 자신의 몸과 마음의 상태를 확인하는 힐링 콘텐츠를 체험해 볼 수 있다. ‘충전지수 테스트’는 몸과 마음의 충전지수를 측정하는 테스트를 통해 충전이 필요한 나에게 필요한 ‘현대 차[茶]’를 추천받는 프로그램이다. 테스트 결과에 따라 ‘집중한잔(focus)’, ‘생기한잔(vitality)’, ‘여유한잔(relax)’, ‘휴식한잔(rest)’ 등 본인에게 맞는 현대 차[茶]를 추천받은 후 이를 SNS에 공유하면 선착순 1,000명에게 현대 차[茶] 4종이 포함된 ‘충전포차 홈키트’를 전달할 예정이다. ‘충전포차 AR필터’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AR필터가 참가자의 얼
[더테크 뉴스] 쌍용자동차 올 뉴 렉스턴(All New Rexton)이 업계 최초로 ‘올 뉴 렉스턴 랜선 쇼케이스X임영웅’를 통해 정식으로 시장에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공개 후 호평이 이어진 내외관 디자인은 물론 신규 파워트레인과 첨단 주행안전 보조시스템, 국내 최고 수준의 커넥티드카 서비스까지 완전히 새롭게 거듭난 올 뉴 렉스턴은 더블 캐스팅 모델 기용으로 론칭부터 홍보까지 달라진 면모를 선보이며 SUV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와 승부볼 듯 보인다. ◇Design & Practicality 올 뉴 렉스턴은 사전계약과 함께 공개된 디자인에 대한 호평에서 시작된다. 정통 SUV의 당당한 존재감과 도시적 세련미를 더해 완전히 새로운 면모를 보여 주는 디자인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듀얼 프로젝션 타입의 Full LED 헤드램프를 비롯한 각 요소들이 레이어드 구조를 이루며 입체감이 연출 적용 되었다. 웅장한 사이즈와 견고한 이미지의 다이아몬드 셰이프 라디에이터 그릴이 변화의 시작을 알리고, T 형상의 LED 리어램프와 듀얼 테일파이프 가니시가 세련된 멋을 더하는 후면부까지 일체감 있는 디자인 테마를 완성한다. 측면 디자인에는 ‘더 블랙’ 모델을 위한 전용 휠아치&
전기차 미래 고객경험 'Style Set Free' 미래 전기차는 이동 수단을 넘어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로서 고객이 차량 안에서 보내는 시간 뿐 아니라 차량 밖에서 일상까지 가치 있게 보낼 수 있는 미래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료제공 : 현대자동차그룹
[더테크 뉴스] 포스텍과 지스트 공동연구팀이 수전해 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소를 얻을 수 있는 안정적이고 대량생산 가능한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3년 1월 뒷표지(back cover) 논문으로 게재됐다. 수전해 과정에서는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발생반응과 수소발생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데 전체 반응이 속도가 비교적 느린 산소발생반응에 맞춰 진행된다. 산소발생반응이 느려질수록 수소 생산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산소반응발생의 속도를 올려주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백금이나 이리듐 등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는데 가격이 비싸 상용화를 제한한다는 단점이 있다. 저가 금속 기반의 촉매들이 개발됐지만 귀금속 촉매보다 반응이 느리다는 한계가 있었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조강우 교수 연구팀은 지스트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연구팀과 함께 니켈-철 스피넬 산화물에 소량의 이리듐 도핑을 통해 이리듐 산화물보다 높은 활성과 기존 니켈-철 산화물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 산소발생반응용 촉매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이번
[더테크 뉴스] 카이스트는 의과학대학원 이지민 교수 연구팀이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 미하일 사비스키 교수, 서울대학교 백성희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질환의 억제와 촉진의 실마리가 되는 단백질 수명을 결정하는 단백질 번역 후 조절(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이하 PTM) 코드를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번역 후 조절(PTM)은 DNA가 mRNA가는 전사 과정을 거쳐 최종 단백질로 번역까지 일어난 이후에 추가적으로 생기는 현상으로, 단백질의 구조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기존에 단백질의 운명 조절과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됐던 PTM 신호를 ‘PTM-활성화(PTM-activated) 데그론’과 ‘PTM-불활성화(PTM-inactivated) 데그론’으로 구분해 단백질 수명 조절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 여기서 데그론 코드란 단백질 수준을 조절 가능한 아미노산 서열의 조합 개념으로 질병의 진행이나 억제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수명 조절 코드를 말한다. 연구팀은 이를 규명한 결과 기존 치료제가 접근할 수 없는 ‘기존에 약으로 만들지 못했던(Undruggable)’ 신규 타깃의 정확도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