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11.05 (수)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9월 IPO’ 유력한 Arm, 가치 어느정도 인정받을까

    [더테크=문용필 기자] 소프트뱅크의 글로벌 팹리스 기업 Arm이 뉴욕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600억 달러에서 700억 달러 사이의 가치로 기업공개(IPO)를 목표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팹리스 업계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업답게 테크 산업의 ‘기록에 남을 만한’ IPO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2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Arm이 오는 9월 첫째주에 IPO관련 로드쇼를 시작하고 그 다음주 IPO 가격이 책정될 예정이라며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아울러 “Arm의 평가 목표는 생성형 AI와 칩 관련 기술에 유리해진 시장 분위기의 변화를 강조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Arm의 경영진은 여전히 800억 달러에 달하는 가치 평가를 노리고 있을지 모르지만 그러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불확실하다고 한 소식통은 말했다”고 보도했다. 목표금액이 경영진의 목표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Arm의 IPO는 올해는 물론, 지난 2014년 이후 테크 관련 기업으로는 최대의 규모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블룸버그는 Arm이 IPO를 통해 100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참고로 메타(당시 페이스북은)가 2012

    • 문용필 기자
    • 2023-08-03 11:18
  • 로크웰, 포스코HY그린메탈에 분산제어시스템 구축

    [더테크=문용필 기자] 글로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이하 로크웰)이 배터리 리사이클 기업에 자사의 시스템을 구축했다. 로크웰은 포스코HY그린메탈과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의 분산제어시스템(DCS) 구축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포스코HY그린메탈은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을 추출하고 이를 양극재 원료로 공급하는 회사. 로크웰의 ‘PlantPAx 5.0’ 분산제어시스템을 이용한 국내 최초의 관련 공정 자동화라는 설명이다. 특히 설치면적의 감소와 프로젝트의 일관성 지원, 간소화된 작업 흐름, 확장 있는 분석 패키지를 통해 이차전지 원료 생산의 라이프 사이클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생산환경과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로크웰은 전했다. 양사는 이번 시스템이 안정적인 양극재 소재 공급을 위한 밸류체인 구축에 기여하는 한편, 지속 가능한 이차전지 생산을 위해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핵심 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용하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대표는 “포스코HY클린메탈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돼 기쁘다”며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이차전지 산업과 폐배터리 리사이

    • 문용필 기자
    • 2023-08-02 15:10
  • 한전-도미니카공화국, 배전변전소 건설 계약 체결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도미니카공화국 수도 지역 내 배전변전소를 신설 보강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한전은 3815만 달러 규모의 도미니카공화국 배전변전소 건설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도미니카공화국의 수도인 산토도밍고 내 배전변전소 3개소를 한전이 EPC 방식으로 신설·보강하는 내용이다. 한전은 본 사업의 계약자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에서 도미니카 현지와 스페인을 포함한 글로벌 5개 기업과 경쟁해 전체 변전소 4개소 중 3개 사업을 수주했다. 한전은 도미니카공화국의 전력설비 현대화에 총 5번 참여했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누적 수주액 2억 달러를 기록했다. 앞서 한국과 도미니카공화국은 전력기자재의 규격이 달라 국내 기자재 수출이 어려움에도 불구, 사업정보 입수 단계부터 기술규격 및 국내 조달 가능 여부를 분석하는 노력을 통해 국내 우수기자재 업체와 동반 진출해 누적 2070만 달러 규모 국내 기자재 수출을 달성했다. 한전은 국내 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도미니카공화국 진출을 지원하고, 인근 중남미 국가 등 해외시장 진출에서도 경쟁력을 높여갈 계획이다.

    • 전수연 기자
    • 2023-08-02 11:41
  • LG전자, 협력사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확대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해외진출 협력사들과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와 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제조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7일 베트남 하이퐁 법인에서 해외진출 협력사들과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 공유회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공유회는 협력사의 제조공정 개선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협력사 간 공유하며 제조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LG전자 베트남 하이퐁 법인은 전장부품, 세탁기,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복합 생산법인으로 협력사 7곳이 동반 진출한 상태다. 이번 공유회에서는 해외진출 협력사 6곳의 생산, 품질, ESG 등 다양한 영역의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DX) 추진사례가 공유됐다. 우수사례로 소개된 베트남 법인의 가전부품 협력사는 세탁 시, 인쇄회로기관(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품을 투입 후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불량검사과정에 비전검사 장비를 도입해 수율을 개선했다. LG전자 관계자는 더테크에 “협력사마다 라인이나 특정 공정 사례가 있다”며 “검사 장비를 도입해 자동화가 이뤄지고 전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부품 협력사는 진행해 온 부품도장 과정에 신

    • 전수연 기자
    • 2023-08-02 10:52
  • LG유플러스, 예스24와 '5G 스마트팩토리' 구축한다

    [더테크=문용필 기자]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차세대 먹거리’인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꾸준히 키워가는 모습이다. ‘본업’인 이동통신사의 강점을 살려 예스24의 ‘5G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에 참여하게 됐다. (관련기사: 스마트팩토리, LGU+의 미래 핵심 먹거리 될까) 유플러스는 예스24,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전문기업 큐비콤과 ‘5G 특화망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예스24와 큐비콤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으로부터 ‘이음 5G 실증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두 회사가 구축하는 이음5G 기반 스마트 물류센터에 유플러스가 참여하게 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유플러스 관계자는 더테크와의 통화에서 “큐비콤의 경우 네트워크를 설치하는 장비 업체다. 5G는 이통사가 잘하고 열심히 하는 부분이다 보니 (5G특화망) 구축이나 계획 설계에 유플러스가 지원하는 역할로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유플러스의 구체적인 역할을 살펴보면 먼저 현재 예스24가 운영 중인 경기도 파주 물류센터에 이음5G망을 구축하는 작업에 협력하고 자동화 로봇 솔루션을 도입할 예정이다. 5G기반의 통신망을 기반으로 자동화 로봇을 이용한 물류 자동화를 실증하고

    • 문용필 기자
    • 2023-08-02 10:38
  • 우리넷, 스마트팩토리 특화망 5G 미국 시장 진출

    [더테크=전수연 기자] 광통신망 및 셀룰러 디바이스 기업 우리넷이 특화망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이음 5G 사업에 진출한다. 우리넷은 국내 최초 KC 인증을 받은 특화망 5G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국내 대기업의 미국공장에 구축할 이음 5G 사업에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우리넷은 수백대의 특화망 단말을 공급하고, 5G코어 연동·전용 FOTA(Firmware Over The Air) 개발 등의 사업 협력·추가 공급을 준비하는 등 해외 프라이빗 5G 단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화망 5G 사업을 위해 우리넷은 전용 모듈의 국내 최초 3GPP 릴리즈16, NRDC(New Radio Dual Connect), 특화망 5G SA 지원 등 기술을 확보했다. 지난 5월에는 업계 최초로 KC 인증을 받은 디바이스를 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우리넷은 미국 통신사가 남미 지역에 우리넷 단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검증도 진행 중이다. 앞서 우리넷은 카가FEI와 ‘우리넷 5G솔루션의 일본 유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카가FEI는 무선모듈사업을 추진하며 네트워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개발, 전파법 인증 취득 등 IoT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전수연 기자
    • 2023-08-01 17:01
  • 저온에서 한 층씩 쌓아 이차원 반도체 만든다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를 원자층 수준에서 정밀하게 쌓을 수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낮은 온도에서도 나노 수준의 3차원 구조에 적용 가능해 다양한 전자 소자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및 신소재공학과 서준기 교수팀이 홍익대학교 송봉근 교수, UNIST 정후영 교수 연구팀과 함께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저온에서 텔레륨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박막 증착 공정법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원자층 증착법은 낮은 공정온도에서 삼차원 구조의 표면에 얇고 균일한 막 코팅과 정교한 두께 조절이 가능한 차세대 박막 공정법이다. 하지만 차세대 반도체인 원자층 반도체에 적용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250도 이상의 공정온도와 450도 이상의 추가 열처리 작업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단일 원소 원자층 반도체 텔레륨에 원자층 증착법을 적용해 열처리 공정 없이도 50도의 저온에서 고품질 박막 제조에 성공했다. 제조된 박막은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모든 표면 위에서 균일하

    • 조명의 기자
    • 2023-08-01 14:52
  • 폭스콘, 생산기지 다각화…印 신규 공장에 5억불 투자

    [더테크=조재호 기자] 폭스콘이 인도에 부품 공장을 신설할 예정이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폭스콘의 핵심 고객사인 애플은 인도를 소비‧생산을 늘릴 ‘기회의 땅’으로 보고 접촉면을 늘려왔다. 블룸버그는 31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의 폭스콘이 생산 다각화를 위해 인도에 2개의 부품 공장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계획을 위해 폭스콘이 5억달러(64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폭스콘이 빠르면 이번 주 내로 인도 공장 신설에 대한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폭스콘이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 주(州)에 지을 공장 중 적어도 하나는 아이폰을 포함한 애플 부품을 생산할 것으로 보이며,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부연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폭스콘이 카르나타카의 주도 뱅갈루루에 위치한 공항 인근 300에이커 부지에 7억달러(9000억)을 투자해 새로운 공장을 건설한다고 보도했다. 이번 소식은 앞선 보도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이번 계획으로 공장 건설이 진행되면 10만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인도의 남부 타밀 나두 주(州) 정부는

    • 조재호 기자
    • 2023-08-01 12:08
  • 코드스테이츠 데브옵스 부트캠프 2개 팀, AWS 특별상 수상

    [더테크=조명의 기자] 코드스테이츠가 데브옵스 부트캠프 4기를 수료한 2개팀이 ‘AWS 공공부문 특별상’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대학교 대상 해커톤 외에 AWS가 공공부문에 특별상을 시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드스테이츠는 2021년부터 데브옵스(DevOps)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데브옵스란 클라우드 서비스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조직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을 말한다. 해당 코스 수료생들이 참여한 실무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AWS 기반 아키텍쳐로 구축된다. AWS 공공부문은 기술적 완성도, AWS 활용 능력, 클라우드 자산 관리에 대한 전략적 이해 등 세분화된 기준을 토대로 프로젝트를 종합 평가한 결과, 코드스테이츠 수료생 출신 2개 팀에 특별상을 수여키로 했다. 수상 대상은 ‘빅헤드’와 ‘자동화 연금술사’팀이다. 빅헤드팀은 인프라 자동화의 중요성과 오픈소스 기반 모니터링 도구로 주목받는 오픈텔레멘트리(Open Telementry) 기술을 기반으로 자산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높은 AWS 활용 능력을 보였다. 자동화 연금술사 팀의 경우 AWS를 통한 자산 수명주기의 효과적인 관리 및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을 성공적으로 도출해냈다

    • 조명의 기자
    • 2023-08-01 11:47
  • TTA-와이즈스톤-CAS, ‘데이터 품질인증기관’ 지정

    [더테크=조재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씨에이에스와 와이즈스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 3개 기관을 데이터 품질인증기관으로 지정했다. 데이터 품질인증제도는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법’을 기반으로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내용 및 구조와 데이터 구축·보안 등의 관리체계를 심사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본격적인 인증에 앞서 3사는 인증 절차를 협의 후 빠르면 9월부터 정형 데이터부터 관리체계 인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과기부와 인증 기관 3사는 품질인증제도가 시행되면 기업이나 기관의 데이터 품질 수준 진단이 가능하고 양질의 데이터가 축적·관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데이터 품질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데이터 유통·거래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종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 AI융합시험연구소 데이터진흥단 수석은 더테크에 “이번 제도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취급하는 기업의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내용과 구조, 보안 등의 관리체계 전반을 심사할 예정”이라며 “데이터 유통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 수석은 “인증기관 3사가 8월 중 구체적인 서비스 절차를 협의해 9월부터 정형 데이터부터 인증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 조재호 기자
    • 2023-07-31 16:17
  • LG CNS, 엔터프라이즈형 애자일 확산 위한 MOU 체결

    [더테크=조재호 기자] LG CNS가 국내 시장에서 엔터프라이즈형 애자일(Agile) 본격화를 위한 ‘3각 동맹’을 맺었다. LG CNS는 ‘오픈소스컨설팅’,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애자일 프레임워크 기업 ‘스케일드애자일’과 업무협약(MOU)을 28일 체결했다. 3사는 엔터프라이즈형 애자일 기반으로 AM( Application Modernization, 앱 현대화) 사업 기회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추진한다. 애자일은 IT업계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를 높이는 방법론 중 하나로 유연하고 신속하게 일하는 문화를 말한다. 일반적인 애자일은 50명 이하의 인원의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따라서 대형 조직에 적용하기 힘들었다. 이점에 착안해 수백명 이상이 참여하는 대형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이 엔터프라이즈형 애자일이다. LG CNS는 SAFe(Scaled Agile Framework)를 기반으로 AM사업 강화에 나선다. AM 사업을 위해 LG CNS는 빌드센터 내 ‘애자일개발팀’을 지난 2020년 신설했다. 현재 애자일개발팀을 포함해 전사적으로 애자일 전문가 100여명이 포진했다. 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국내에서 AM를 가장 많이 수행한 기업

    • 조재호 기자
    • 2023-07-31 11:03
  • (주)두산, 자회사 호성적에 전년比 매출-영업익 상승

    [더테크=조재호기자] ㈜두산이 올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두산밥캣이 실적견인의 원동력이 됐으며 두산에너빌리티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두산이 28일 공시한 올 2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은 4조9683억원, 영업이익은 512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대비 각각 14%, 39.1% 성장한 수치다. 전분기 대비로도 14.2%, 51.4% 늘어났다. ㈜두산의 자체사업을 보면 매출 2952억원, 영업이익은 230억을 기록했다. 반도체 시장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도 전자BG는 하이엔드 제품 매출 확대 및 수익성 강화로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하반기는 메모리 반도체 및 AI 가속기용 전자소재 등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결재무제표기준으로 4조5394억원의 매출액과 494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수주 증가에 기반한 실적 성장과 밥캣 등 자회사 호실적의 영향으로 작년 동기 대비 매출 18.1%, 영업이익은 50.5% 성장했다. 두산밥캣은 연결기준으로 2조6721억원의 매출액과 466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대비 각각 20.5%, 50.7% 상승한 결과다. 두산퓨얼셀은 2분기 매출 492억원,

    • 조재호 기자
    • 2023-07-28 17:54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네이버, 국내 최초 '디지털 소비자 후생 연구' 발표... 검색과 지도 가장 높아

  • 2

    SK하이닉스, ‘AI-NAND’ 공개… AI 추론 시장 공략 본격화

  • 3

    “3분기 중소기업 수출 305억 달러, 역대 최고치 경신…기업 경기 회복 신호?”

  • 4

    슈나이더 일렉트릭, ‘그린쉽 솔루션’으로 선박의 탄소 저감·에너지 효율 혁신

  • 5

    카카오T, 홈 화면 UI 개선…맞춤형 이동 경험 강화

  • 6

    [APEC] 최태원 회장 “AI 성장은 기술자립과 신뢰협력에 달렸다”

  • 7

    ‘영원한 화학물질’ PFAS 1000배 빠르게 제거하는 신소재 개발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언론윤리강령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광고문의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11월 04일 15시 08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