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09.06 (토)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현대로템, 호주 전동차 공급 사업 수주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로템이 호주에서 전동차 공급 사업을 수주했다. 지난 2016년 시드니 사업 이후 지속해서 호주 시장에 힘써온 결과물로 생산 공장까지 설립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현대로템은 호주 퀸즐랜드 주(州)정부가 발표한 호주 QTMP(Queensland Train Manufacturing Program) 전동차 공급 사업’에서 현지 철도업체인 다우너(Downer) 측과 컨소시엄을 맺어 전동차 제작 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1조2164억원 규모다. QTMP는 퀸즐랜드 정부가 향후 10년간 브리즈번 지역을 중심으로 늘어날 철도 운송 수요를 대비하고 지역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시작한 대형 프로젝트다. 현지에서 전동차 제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퀸즐랜드 남동부에 있는 토반리에 공장을 설립하는 계획도 포함됐다. 현대로템은 이번 사업으로 차량 설계와 자재 구매부터 현지 생산을 위한 기술 이전, 품질, 보수에 이르는 전동차 납품에 필요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납품될 차량은 오는 2026년 말부터 퀸즐랜드 철도 노선에 편성될 예정이다. 최종 편성이 마무리될 2032년에는 브리즈번 올림픽이 진행돼 관광객들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 조재호 기자
    • 2023-06-30 16:37
  • NEV 앞세운 中 자동차 브랜드의 ‘서진’

    [더테크=문용필 기자]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불린다. 하지만 이제는 자국 마켓에서만 위용을 떨치는 것은 아닌 듯 하다. 전기차를 앞세운 중국의 자동차 브랜드들이 점점 ‘서진’(西晉)하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BEV(배터리 전기차)와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NEV(신 에너지 차량)가 올 1분기 중국 자동차 수출의 2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중국 자동차 브랜드들이 수 십년간 축적된 영향력과 전문성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 트렌드포스의 평가다. 아울러 서유럽 NEV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6%에서 올해까지 9%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본 것. 동남아시아의 경우 상대적으로 NEV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중국브랜드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려 63%의 시장 점유율이다. 중국의 NEV가 강세를 떨치고 있는 이유와 관련, 트렌드포스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공급망’과 ‘풍부한 생산 능력’의 결합을 언급했다. 여기에 산업 초기의 발전도 꼽았다. 트랜드포스는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는 효율적인 비용의 LFP(리튬, 인산, 철)기술을 활용하고 전세계적으로 리튬에

    • 문용필 기자
    • 2023-06-30 15:45
  • 220V 콘센트로 전기차 충전‧결제를 한번에

    [더테크=조명의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전기차 충전과 결제를 한번에 할 수 있는 과금형 콘센트 기술을 개발했다. 별도의 충전시설 없어 주차장이나 야외 캠핑장에 과금형 콘센트를 설치만 하면 되므로, 향후 전기차 보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이재조 박사팀이 개발한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기술(Mode 1/2-only CS)’이 세계 최초로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 2.0.1’ 인증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OCPP는 OCA(Open Charge Alliance)가 전기차 충전기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개발한 산업 표준이다. 일종의 통신 규격으로 충전 이용자를 위한 정보 안내, 사용자 인증, 충전 스테이션 상태 및 고장 관리 등에 적용된다. 전 세계 50개 이상의 국가가 OCPP를 활용 중이고, 우리나라도 지난해 환경부가 충전기 보급 사업에 OCPP 1.6 인증을 의무화했다. 이번에 OCPP 2.0.1 인증을 받은 과금형 콘센트 기술은 충전 이용자가 주차장 벽면에 설치된 220V 콘센트를 활용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결제까지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스마트 전력 분배 충전,

    • 조명의 기자
    • 2023-06-29 10:13
  • [포토] STK2023에서 만나는 폭스바겐 전기차

    [더테크=문용필 기자]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이하 STK2023)이 28일부터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 중이다. 올해로 1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AI)은 물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 로봇,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메타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테크 기업들이 참여했으며 많은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이 행사장을 찾았다. 다양한 부대행사와 컨퍼런스가 함께 마련된 이번 행사는 30일까지 진행된다. 사진은 폭스바겐 부스의 모습.

    • 문용필 기자
    • 2023-06-29 09:30
  • 현대차그룹, 보스반도체에 추가 투자…파트너십 강화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반도체 스타트업과 전략적 협업을 강화했다. 전기차를 비롯해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인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28일 차량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보스반도체에 20억원 규모의 후속투자를 진행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 2호 펀드를 통해 보스반도체에 투자한 바 있다. 보스반도체는 차량용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개발하는 팹리스(Fabless, 반도체 설계 및 개발 전문) 스타트업이다. 차량용 반도체에 필수적인 △고성능 저전력 반도체 설계 기술 △안전·신뢰성 관련 기술 △자율주행 AI 기술 등에서 잠재력을 지닌 기업이다. 이번 투자는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스타트업에 투자금을 우선 제공하고 후속 투자 유치 시 산정된 기업가치를 기준으로 투자자의 지분을 결정하는 ‘조건부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SAFE)’ 방식을 취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급변하는 자동차 및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고성능 반도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맞춤형 차량용 반도체 개발을 위해 보스반도체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 조재호 기자
    • 2023-06-28 09:48
  • 카카오 T, 국내 기차 서비스 통합…공항 정보도 추가 예정

    [더테크 뉴스] 카카오모빌리티가 SRT 예매 및 발권 서비스를 시작한다. 국내 모든 열차 정보 제공과 동시에 예매까지 가능한 통합 철도 정보 서비스로 한층 더 진화한 셈이다. 더불어 자동차 점검과 인천공항 이용시간 예측 서비스도 추가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에서 SRT 승차권 예매, 자동차 검사 예약, 인천공항 내 소요시간 예측서비스 등 공공 플랫폼에서 가능했던 서비스를 추가한다고 26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디지털서비스 개방 선도서비스’의 일환이다. 디지털서비스 개방 선도 서비스는 행정안전부가 민관 협력 기반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진행 중인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의 핵심 과제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민간에 개방되는 공공서비스 4종 중 모빌리티 관련 분야에 참여해 이용자 편의성 증대에 기여한다는 포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는 27일부터 ‘카카오 T’에서 SRT 기차 예매 및 발권 서비스를 시작한다. 해당 앱의 기차 서비스는 지난 21년부터 코레일이 운영하는 열차에 대한 예매를 지원했다. SRT에 대해서는 운행 정보만 제공했으나 이번 협력으로 서비스 범위가 확대됐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더테크>와의 통화

    • 조재호 기자
    • 2023-06-26 11:26
  • 오비고, 렉서스 전기차 ‘RZ’에 스마트카 SW 플랫폼 탑재

    [더테크=조명의 기자] 오비고는 LG유플러스와 함께 렉서스 첫 전용 전기차 모델 ‘RZ’와 완전 변경 모델인 5세대 ‘RX’에 U+드라이브 기반 ‘렉서스 커넥트’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탑재했다고 22일 밝혔다. 오비고에 따르면, 이번에 출시한 렉서스 RZ, RX에는 차량용 앱스토어를 통해 U+모바일TV 등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한 음악, 라디오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렉서스 커넥트가 적용됐다. 오비고는 최근 공개한 토요타 ‘크라운 크로스오버’ 모델에도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탑재하는 등 기술력을 바탕으로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오비고는 지난해 렉서스의 완전 변경 모델 ‘제네레이션 NX’에 LG유플러스와 협력해 자사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렉서스 커넥트를 결합, 탑재한 바 있다. 또한 LG유플러스와 업무협약을 통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역량 고도화와 함께 차량용 통신 서비스 사업, 콘텐츠 사업 등에서 협력하고 있다. 황도연 오비고 대표는 “국내 출시 차량에 자사 통합 인포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플랫폼 탑재가 크게 확대되어 로열티 매출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예상된다”며 “앞으로 안정적인 로열티 매출 기반 위에

    • 조명의 기자
    • 2023-06-22 15:50
  • 현대차의 미래 모빌리티, 수소·자율주행·로보틱스·AAM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전동화 전환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구현에 박차를 가한다. 이를 위해 중장기 전동화 전략 ‘현대 모터 웨이(Hyundai Motor Way)’를 실행한다. 나아가 수소·자율주행·로보틱스·AAM(Advanced Air Mobility)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도 추진한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3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개최하고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현대차는 미래 전기차 주도권을 두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연하고 신속하게 전동화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2023년부터 2032년까지 향후 10년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재무 계획 중 33%에 해당하는 35조8000억원을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했다. 현대 모터 웨이의 상세 전략으로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으로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를 위한 내연기관 공장 전환 및 신규 EV 공장 건설 △배터리 개발 역량 확보 및 소재 수급 안정화를 통한 성능 향상·가격 경쟁력 강화 △차세

    • 조재호 기자
    • 2023-06-20 18:20
  • 자동차 OEM사의 투자우선 순위는 'UI·UX 개발'

    [더테크=조재호 기자] 자동차 OEM 업체들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인 Qt그룹이 자체 진행한 ‘UX·UI 메가트렌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영국의 시장조사업체 켄서스와이드(Censuswide)가 Qt그룹의 의뢰로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전역에서 자동차, 의료, 소비자 가전, 산업 자동화 분야의 250개 내장형 장치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자동차 OEM 업체의 36%는 수익이 감소했다. 이 때문에 43%는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다. 이런 상황에서 다수의 업체가 UX·UI 혁신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응답 기업의 52%가 향후 12개월 동안 제품 개발 예산의 30% 이상을 UX·UI 개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23%의 기업은 향후 12개월 동안 제품 개발 예산의 40~49%를 UX·UI 개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즉, 75%의 응답기업들은 UX·U

    • 조재호 기자
    • 2023-06-20 12:39
  • 기아, 플래그십 SUV EV9 출시

    [더테크=조재호 기자] 기아자동차가 ‘The Kia EV9(더 기아 이 브이 나인, 이하 EV9)’ 기본 모델을 19일 출시했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기반한 두 번째 모델이다. 기아의 전동화 대전환을 이끌 플래그십 차량으로 국내 최초의 3열 대형 전동화 SUV다. EV9은 다양한 2열 시트 구성을 시작으로 99.8k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으로 501km를 운행할 수 있다. 이는 기아 전기차 중 가장 긴 거리다. 기아는 EV9 기본모델의 트림을 에어와 어스 두 가지로 운영한다. 각 트림은 2WD와 4WD의 구동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스포티한 스타일을 강조한 EV9 GT-line은 주요 정부 부처 인증 절차를 거쳐 오는 3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에어 트림은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2)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 △클러스터·공조·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은 와이드 디스플레이 △윈드쉴드·1열·2열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 △10 에어백 등 첨단 주행 보조 기능과 핵심 편의 및 안전 사양을 갖췄다. 어스 트림은 △1열 릴렉션 컴포트 시트 △운전석 에르고 모션 시트 △스티어링 휠 엠블럼 라이트 △듀얼 칼라

    • 조재호 기자
    • 2023-06-19 13:49
  • 메디콕스,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사업 진출

    [더테크=조명의 기자] 메디콕스가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및 에너지 유통 사업에 진출한다. 메디콕스는 에너지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에너지 전문기업 고미에너지딜러버리와 공동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메디콕스는 충전소 및 에너지 특화 통합 관리형 플랫폼 구축을 통해 에너지 에코시스템을 갖추고,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사업은 단순한 충전기 설치에서 나아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충전소 운영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 중이다. 메디콕스 이런 추세에 따라 충전소 운영자에게는 충전기를 원격 관리하고 기계 결함을 파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소비자에게는 실시간으로 충전소 위치를 확인한 후 예약·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통해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미에너지딜리버리는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기업 고미코퍼레이션의 자회사로, 국내 4대 정유사 및 공급처에서 석유 등 전통 에너지와 각종 친환경 에너지 제품을 공급받아 전국에 유통하고 있다. 고미에너지딜리버리 관계자는 “기존 사업과 더불어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

    • 조명의 기자
    • 2023-06-16 10:36
  • 재료연,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 대응 방안 모색하는 장 마련

    [더테크=조명의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이하 재료연)이 미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실질적인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장을 마련한다. 재료연은 오는 20일 한국재료연구원 연구1동 세미나실에서 ‘미래 e모빌리티 전동화 부품산업 교류회’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경남 창원은 기계산업 중심의 자동차 부품 산업을 주력으로 해왔다. 하지만 현재는 자동차 산업의 전동화의 영향으로, 3만여 개의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 수가 2만 개 이하로 약 37% 정도 감소하는 변화를 맞고있는 중이다. 재료연은 이번 교류회를 통해 자동차를 바라보는 오래된 관점을 새롭게 전환할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자동차 산업을 기계산업으로, 관련 부품을 기계 부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면, 다가오는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기계 중심의 사고를 탈피해야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이번 교류회에서는 자동차융합기술원 이항구 원장이 ‘전기동력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과 경량 소재 연계 방향’을, 현대자동차 전 부사장인 김세훈 기술자문이 ‘미래 e모빌리티 전동화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정환 재료연 원장은 “미래 e모빌리티 산업에서 지역기업이

    • 조명의 기자
    • 2023-06-15 14:39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카카오, ‘if 카카오(if(kakao)25)’ 개최… “AI 대중화 성과와 미래 비전 공개”

  • 2

    IBM·AMD, 차세대 ‘양자 중심 슈퍼컴퓨팅’ 공동 개발

  • 3

    K-바이오, AI디지털 고성장국 태국 시장 공략 나선다

  • 4

    현대차 켄 라미레즈 부사장, "경쟁력 있는 수소는 인프라·투자·정책 함께 구축해야"

  • 5

    벡터코리아, ‘TechDay Korea 2025’ 개최… SDV 통합 개발 전략 공개

  • 6

    네이버클라우드-씽크풀, 금융 AI 챗봇 선보인다

  • 7

    美 자동차 산업, ‘희토류 자석’ 공급난에 생산 차질 직면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언론윤리강령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광고문의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09월 05일 16시 12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