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대동이 한국경제TV와 사업 협력을 강화했다. 양 사가 목표한 미래농업 사업이 한층 더 강한 추진력을 발휘할 전망이다. 대동그룹의 미래농업 플랫폼 기업 대동은 한국경제TV와 미래농업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지분 제휴를 추진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미래농업 협력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 애그테크 밸리 구축, 스타트업 투자 및 육성 등의 중장기 관점의 전략적 사업에 대한 추진력을 확보하고자 39억 규모의 지분을 양수도 및 매입했다. 대동은 한경미디어그룹 산하 한국경제TV의 자사주 69만주(3% 지분)를 확보했고 한국경제TV는 39억 규모의 대동 무보증 전환사채를 매입하면서 지분 1%를 보유하게 됐다. 권기재 대동 그룹전략실장은 “한경미디어그룹과 ‘농업의 디지털 전환’이라는 공동 목표하에 스마트농업 사업협력을 가시화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분 제휴로 파트너십을 한층 더 공고히 하고 미래농업 사업 협력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동은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팜 △로보틱스 △GME(농업·조경용 장비)을 중심으로 농작물 재배와 수확, 유통 등 농업 전주기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래농업 플랫폼 기업으로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그룹이 그리는 미래 항공 모빌리티는 어떤 모습일까? CES 2024 현장에서 슈퍼널의 차세대 AAM 실물 기체 공개와 함께 관련 생태계 전략을 살펴보자. 현대차그룹의 AAM(Advanced Air Mobility) 독립법인인 슈퍼널은 CES 2024에 처음 참가해 차세대 기체 ‘S-A2’의 실물 모형을 최초 공개하고 미래 AAM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S-A2는 현대차그룹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중인 eVTOL(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로 지난 2020년 CES에서 첫 콘셉트 S-A1을 제시한지 4년만에 새로 공개한 모델이다. 슈퍼널은 CES 2024에서 실제 크기의 버티포트(Vertiport, 수직 이착륙 비행장) 콘셉트의 전시장을 마련해 관람객들에게 AAM 탑승 과정 전반을 경험을 선사한다. 신재원 현대차·기아 AAM본부장 겸 슈퍼널 CEO는 “S-A2 공개는 미래 모빌리티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겠다는 그룹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최적의 시점에 최고의 기체를 선보인다는 전략을 이어가며 관련 업계와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AAM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슈퍼널이 공개한 S-A2는 전장 10m, 전
[더테크=조재호 기자] HL만도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에 나선다. 양사의 협력은 미래 모빌리티 핵심 개념 중 하나인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의 시대를 함께 연다는 관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HL만도는 9일(현지시각) 미국에서 열리는 CES 2024 전시회의 자사 부스에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관련 협약식을 진행했다. 협약식에는 조성현 HL만도 부회장과 야세르 알사이드 AWS IoT 부문 부사장이 참석했다. 조성현 HL만도 부회장은 “양사 협력은 SDV 시대를 정면 돌파하는 혁신적 파트너쉽이 될 것”이라며 “AWS와 함께 첨단 소프트웨어 개발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HL만도는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마이코사(MiCOSA)’를 처음으로 대중에 선보이며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HL만도는 차량 통합 제어 솔루션(HVDC)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 솔루션(Data-driven feature),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Cloud Service Platform)까지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 역량을 키워왔다. 이번 솔루션 공개로 미래 모빌리티 커넥티드 솔루션 개발에도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신경세포 간의 신호를 통해 생물의 인지, 감정, 기억 등의 뇌 기능을 조절하는 ‘시냅스 실시간 관찰’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9일 허원도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권형배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 이상규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박사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시냅스의 형성과 소멸 및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허 교수팀은 형광 단백질을 시냅스에 결합해 신경세포 간의 연결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시냅스와 스냅샷을 조합한 시냅샷(SynapShot)이라고 이름 붙였다. 허 교수팀은 이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초록과 빨간색을 띠는 시냅샷을 디자인해 서로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된 시냅스를 구별해 관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빛으로 분자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광유전학 기술과 융합해 신경세포의 특정 기능을 빛으로 조절하면서 시냅스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허 교수팀이 개발한 시냅샷을 미국의 권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생쥐를 대상으로 여러 상황을 유도하고 각 과정의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가 현대차그룹의 밸류 체인을 기반으로 수소 에너지 생태계와 소프트웨어·인공지능(AI) 기반의 대전환이 불러올 ‘인간 중심적인 삶의 혁신’ 가치와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대차는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된 미디어 데이에서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 : Ease every way’을 주제로 미래 비전을 밝혔다. 현대차는 모빌리티 측면의 ‘이동’을 넘어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혁신으로 일상 전반을 바꿀 현대차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했다. 현대차의 미래 청사진은 △종합 수소 솔루션 △사람과 모빌리티·데이터·도시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혁신 등으로 구체화했다. 수소 부문에서는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하며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HTWO Grid 솔루션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인 HTWO는 그룹내 계열사의 역량을 결합해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의 모든 단계에서 고객의 환경적 특성과 니즈에 맞춰 단위 솔루션(Grid)을 결합해 최적화된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메가와트급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2022년 4분기 실적 대비 개선된 성과를 보였지만, 지난해 분기 당 실적 중 가장 아쉬운 성적표는 받아들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실적으로 매출 8조14억원, 영업이익 3382억원을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액 공제에 따른 혜택은 2501억원으로 이를 제외한 영업이익은 881억원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인 3분기 대비 매출액은 2.7%, 영업이익은 53.7% 하락한 것은 리튬을 비롯한 주요 소재 하락과 제품 가격의 연동의 영향으로 보인다. 아울러 배터리 수요 둔화와 함께 중국산 LFP 배터리의 약진도 무시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LG엔솔은 지난 2023년 연간매출 33조7455억원과 영업이익 2조163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2년 대비 매출은 31.8%, 영업이익은 78.2% 증가했다. 지난 2022년 12월 출범한 LG엔솔은 2021년 매출 17조8519억원, 영업이익 7685억원을 기록하고 2022년 매출 25조5986억원, 영업이익 1조2137억원을 달성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중국산 배터리의 약진과 함께 IRA 정
[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이 CES 2024 현장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래를 위한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두산그룹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 개막에 앞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전세계 미디어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두산 임원진이 연사로 나서 무인자동화를 적용한 소형 중장비와 무탄소 토털 에너지솔루션, AI 로봇 등 두산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소개했다. 두산밥캣은 AI 기술을 적용한 업계 최초의 무인·전기 굴절식 트랙터 ‘AT450X’를 처음 공개했다. 이 트랙터는 실리콘밸리 농업 신기술 소프트웨어 회사인 애그토노미(Agtonomy)와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이와 함께 CES 혁신상 2관왕에 오른 완전 전동식 스키드 로더 ‘S7X’, 조종석 없앤 무인 콘셉트 로더 ‘로그X2’, 무인 잔디깎이 등을 선보이며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면모를 보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수소터빈, SMR(소형모듈원전), 풍력발전 등 무탄소 토털에너지 솔루션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수소혼소, 수소전소터빈용 연소기를 개발 중인 회사는 오는 2027년까지 세계 최초의 400MW급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CES 2024에서 일상을 바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SKT를 비롯한 SK그룹은 ‘행복(Inspire Happiness)’을 주제로 그룹 차원의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SKT는 9일(현지시각)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SK그룹의 넷제로와 ICT 패밀리사들의 AI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린다. SK그룹의 전시관은 ‘원더랜드(Wonderland)’라는 테마파크 콘셉트로 꾸려졌다. SKT는 도심항공교통(UAM)과 AI 반도체 ‘사피온’,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및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신재생 에너지 가상 발전소(Virtual Power Plant) 기술을 통해 매직카펫을 타고 미래 교통체계를 체험하는 새로운 경험을 관람객들에게 선사한다. 매직카펫은 실제로 SKT가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UAM 기체를 토대로 원더랜드 콘셉트에 맞춰 새롭게 디자인됐다. 데모룸에서는 △미디어 가공·콘텐츠 품질향상 플랫폼 ‘AI 미디어 스튜디오’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전자가 2023년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실적은 15년 전 금융위기 시절 이후 가장 적은 기록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한 해 매출 258.1조원, 영업이익 6.5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4.58%, 영업이익은 84.92% 감소했다. 삼성전자의 연간 영업이익이 10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6.3조원 이후 15년만이다. 반도체 불황의 여파로 해석된다. 삼성전자의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작년 3분기까지 누적 적자액이 12조원을 기록했다. 긍정적인 부분은 4분기 실적 개선 흐름이 보다 뚜렷해졌다. 매출은 67조원으로 전기 대비 0.5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8조원으로 15.23% 증가했다.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2023년 1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실적 개선이 진행된 것이다. 하지만 당초 시장이 전망한 영업이익 4조원을 크게 밑돈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최근 업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충족하기엔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초 증권가에선 모바일과 가전 부문의 디바이스 경험(DX)에서 2조원, 삼성디스플레이(SDC) 2조원 전후, 하만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하이닉스가 CES 2024에 앞서 진행된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AI 시대를 맞이해 메모리반도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회사의 미래 비전을 밝혔다. 회사는 기존 AI 메모리 공급과 동시에 고객에게 특화된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사장)은 8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24 개막에 앞서 진행된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AI의 원동력 메모리반도체(Memory, The Power of AI)’를 주제로 회사의 미래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곽 사장은 “앞으로 생성형 AI가 보편화되면서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회사는 세계 최고 기술력에 기반한 제품들을 ICT 산업에 공급하면서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Memory Centric AI Everywhere)'를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곽 사장은 “고객에게 특화된 AI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맞춤형 메모리 플랫폼(Custom Memory Platform)’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SK 하이닉스는 ICT 산업이 PC와 모바일을 넘어 클라우드 기반 AI 시대로
[더테크=조재호 기자] HL만도와 HL클레무브가 CES 2024에 공동 참가한다. 만도는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를, HL클레무브는 휴대용 센서 ‘비틀’을 중심으로 일상 속 자율주행 주제로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HL그룹은 8일 EV 솔루션 전문기업 HL만도와 자율주행 전문기업 HL클레무브가 세계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 공동참가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CES 주제인 ‘이동하는 모든 것에 대한 상상력(Imagine Every Move)’을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함께 일상 속 자율주행 기술을 통해 펼쳐낼 예정이다. HL만도는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파키(Parkie)’를 선보인다. 완전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주차 로봇 파키는 장애물과 주행로, 번호판 인식을 시작으로 주차 차량의 크기, 무게,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최첨단 발렛 주차 로봇이다. 파키는 기계식 주차 대비 최대 30% 주차 면적 축소와 함께 20%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HL만도는 ‘일상 속 자율주행’을 위해 파키 시연 공간을 부스 내에 마련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 기반 차량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마이코사(MiCOSA)를 처음으로 대중에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유럽 전기 상용차 배터리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전기 상용차는 버스나 트럭 등의 대형 차량으로 일반 전기차 대비 배터리 탑재량이 11배 이상 많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LG엔솔은 폴란드 배터리 팩 제조·판매 기업 ICPT(Impact Clean Power Technology)과 배터리 모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LG엔솔은 ICPT에 내년부터 3년간 약 20개의 MCN 배터리 모듈을 공급한다. 이는 대형 전기 상용차 3000여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ICPT는 공급받은 모듈을 팩으로 조립해 유럽 내 전기버스 점유율 1위 업체인 1위 업체 Solaris Bus & Coach에 납품할 예정이다. ICPT는 2005년 설립된 배터리 팩 제조·판매 기업이다. 폴란드 내 기가팩토리X 팩·모듈 조립 공장을 운영하는 등 유럽 내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홍승택 LG엔솔 OST(Off the shelf)담당은 “ICPT와 협력을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인 유럽 상용차 시장 내에서 LG엔솔의 앞선 배터리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고객 가치를 제공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