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나이더 일렉트릭, ‘탄소 제로 프로젝트’ 목표 조기 달성… 누적 7억9,200만 톤 CO₂ 감축

공급망 탄소 53% 감축

 

[더테크 이승수 기자]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올해 3분기 ‘슈나이더 지속가능성 임팩트(SSI) 2021–2025)’ 프로그램의 중간 성과를 18일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기반으로 기후·자원·신뢰·동등한 기회·세대·지역 등 6개 분야에서 글로벌 목표 11개와 지역 목표 200개 달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분기 SSI 8.52점을 기록하며 연말 목표인 8.80점에 근접했다. 특히 공급망 탄소 저감 프로젝트인 ‘탄소 제로 프로젝트’가 목표를 한 분기 앞서 완료되며 핵심 성과로 꼽힌다.

 

이 프로그램에는 전 세계 약 1,000개의 협력업체가 참여했으며, 주요 파트너들의 CO₂ 배출량이 평균 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재생에너지 전환 가이드, 기술 교육, 파트너별 탈탄소 로드맵 제공 등을 통해 공급망 기반의 탄소 저감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2018년부터 자사 솔루션을 통해 지원한 누적 CO₂ 감축량은 7억 9,200만 톤으로 집계되며 2025년 목표인 8억 톤 달성도 가시권에 들어섰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지난 9월 ‘뉴욕 기후 주간(Climate Week NYC 2025)’에서 Scope 3 탈탄소 이니셔티브 확대 방안을 발표하며 글로벌 산업 전반의 탄소 감축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업의 친환경 기술 경쟁력도 부각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지속가능 디자인 우수상’을 받은 AirSeT 스위치기어는 SF₆ 대신 청정 공기와 진공 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동시에 더 안전하고 지능적인 배전망 운영을 가능케 하는 전력 인프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2009년부터 진행해 온 ‘에너지 접근성(Access to Energy)’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까지 6,000만 명 이상에게 전력 접근성을 제공하며 2025년 목표를 이미 초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그리드 등 분산형 에너지 기반 솔루션을 통해 지역사회가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최고 지속가능성 책임자 에스테르 피니도리는 “지속가능성은 이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라며 “기술은 준비되어 있고, 기업들은 탈탄소화를 가속하고 있으며, 우리는 변화의 중심에서 혁신과 협업을 통해 전환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