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 긴 수명을 앞세운 LFP 양극재는 EV(전기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 주류로 떠오르며,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자립이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
국내 유일하게 LFP 양극재 양산을 목표로 신규 설비 투자를 추진 중인 엘앤에프가 글로벌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LFP 적재량은 90만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7% 증가하며, 삼원계(NCM)를 제치고 전체 양극재 시장 점유율 약 59%를 기록했다.
LFP 배터리는 올리빈 결정 구조로 안전성이 높고, 철·인 등 풍부한 원재료로 원가 경쟁력이 뛰어나다. 미국 ESS 시장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힘입어 2030년까지 485GWh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미국과 EU의 탈중국 정책 강화로 한국산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엘앤에프는 3382억원을 투자해 연 6만 톤 규모의 LFP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8월 착공해 2026년 상반기 준공,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엘앤에프의 LFP 양극재는 일반 2.2~2.4g/cc보다 높은 2.6g/cc 제품을 개발했으며, 내년에는 2.7g/cc급 초고밀도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한다.
입자 미세화와 탄소 코팅 균일화 등 기술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15~20% 향상시키면서 가격 경쟁력도 유지하고 있다. 현재 파일럿 라인에서 제품을 출하하며 고객사 테스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엘앤에프는 국내외 주요 고객사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5월 국내 배터리 셀 제조업체와 LFP 공급 MOU를 체결했고, 7월에는 SK온과 북미용 LFP 공급 MOU를 체결했다. 투자 자금 조달에서도 높은 신뢰를 확인했다. 9월 진행된 신주인수권부사채 일반 공모에는 모집금액 2000억원 대비 10조3362억원이 청약돼 51.89대 1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조달금액 약 2000억원은 LFP 사업에 투입된다.
엘앤에프의 LFP 사업은 EV 둔화와 ESS 성장이라는 산업 전환기 속에서 새로운 수익 축을 확보하는 전략적 의미가 있다. NCM과 LFP 양극재 투트랙 포트폴리오로 공급망 안정성과 시장 리더십을 동시에 강화한다.
권혁원 공정개발연구소장은 “LFP 국산화는 필수이며, 엘앤에프는 국내 유일 양산 체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엘앤에프는 2026년 하반기 3만 톤 양산을 시작으로 2027년 6만 톤 양산, 이후 지속적 증설을 추진하며 글로벌 LFP 시장과 K-배터리 산업의 성장 동력을 이끌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