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폴드3’ 넘는 바이오 AI ‘K-Fold’ 개발 착수…“AI가 과학을 이끄는 시대 연다”

머크·국내기업과 글로벌 신약 혁신 생태계 구축

 

[더테크 이지영 기자]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의과학·바이오 분야에서 본격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을 통해 KAIST는 자체 AI 연구 역량을 바이오 산업으로 확장하고, 신약 개발과 단백질 구조 예측 등 첨단 생명과학 연구를 위한 차세대 AI 모델 ‘K-Fold’를 개발한다.

 

기존 ‘알파폴드3’나 ‘Boltz2’ 등 글로벌 모델은 통계 기반 데이터 학습에 의존해 정확도와 처리 속도에서 한계가 있었다. KAIST는 이에 대응해 단백질 내부의 물리·화학적 상호작용 원리를 스스로 학습하는 새로운 AI 방식을 도입했다.

 

이번 연구에는 팀 KAIST(Team KAIST)’가 꾸려졌다. 화학과 김우연 교수가 총괄을 맡고, 김재철AI대학원 황성주·안성수 교수가 핵심 AI 모델 개발을, 생명과학과 오병하·김호민·이규리 교수가 단백질 데이터 수집과 검증을 담당한다.


연구진은 KAIST AI연구원 및 InnoCORE 연구단(AI-CRED) 소속으로, AI–바이오 융합 연구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K-Fold의 상용화는 KAIST 스핀오프 기업 ㈜히츠가 주도한다. 히츠는 클라우드 기반 웹 플랫폼 ‘하이퍼랩’을 통해 K-Fold를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

 

보안이 중요한 기관에는 KAIST 졸업생 창업기업 아토랩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내부 설치형) 버전을 구축해 공급한다.


또한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머크는 자사 디지털 실험 플랫폼 ‘디지털 케미스트리 솔루션’에 K-Fold를 연동해, 전 세계 3만여 연구실이 해당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머크 관계자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AI 기반 신약 개발 기술을 활용하도록 협력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KAIST는 이번에 개발되는 7B급 메인 모델과 2B급 경량 모델을 ‘아파치 2.0’ 라이선스로 공개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와 기업이 AI·바이오 기술을 쉽게 접하고 확장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한다.

 

과제 책임자인 김우연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KAIST의 AI 역량을 바이오 분야에서 입증하는 중요한 기회”라며,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AI 모델을 통해 기술 주권 확보와 산업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정송 KAIST AI연구원장은 “이번 모델은 과학AI의 첫 성과로, 바이오를 넘어 소재·화학·물리 등 전 과학 분야로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광형 총장은 “AI가 과학을 이끄는 시대의 상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KAIST는 AI·바이오 융합으로 국가 혁신과 인류의 미래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