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단25'서 AI 에이전트 전략 공개…“대한민국 AI 3대 강국 도약 이끈다”

‘Agent N’과 산업 AX 혁신 비전 제시
풀스택 AI로 제조·창작 생태계 동시 전환

 

[더테크 이지영 기자] 네이버가 AI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다. 네이버㈜는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팀네이버의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를 열고, 서비스 전반에 AI 에이전트를 도입하는 한편, 산업과 창작 생태계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AI 생태계 청사진을 6일 공개했다.


최수연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지난 1년간 네이버는 검색·쇼핑·로컬·금융 등 주요 서비스에 AI를 접목해 사용자 만족도와 매출 성장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쇼핑, 검색, 광고 등 핵심 서비스에 고도화된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내년 1분기에는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쇼핑 에이전트가, 2분기에는 AI 기반 통합검색 ‘AI탭’이 선보일 예정이다. 최 대표는 “이제 사용자는 검색어를 고민할 필요 없이 ‘Agent N’과의 대화만으로 원하는 정보·상품·서비스를 찾고 실제 행동까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의 핵심은 ‘Agent N’이다. 네이버는 서비스별로 분산돼 있던 데이터와 기술 인프라를 통합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다음 행동을 예측·제안·실행까지 완결하는 구조의 ‘Agent N’을 새롭게 구축했다. 김범준 COO는 “네이버만의 신뢰도 높은 메타데이터와 검증 체계를 기반으로, 실제 구매·결제까지 이어지는 AI 쇼핑 경험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비즈니스 파트너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AI 생태계 확장에도 나선다. 내년부터는 광고·쇼핑·플레이스 등 모든 사업자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Agent N for Business’를 선보이며, 창작자들이 AI·XR 기술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실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AI 인프라 투자도 대폭 확대된다. 네이버는 2026년까지 GPU에만 1조 원 이상을 투입하고, 제2사옥 1784와 세종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피지컬 AI’ 테스트베드를 본격 가동한다. 최 대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한국 제조 산업의 경쟁력에 네이버의 AI 소프트웨어 역량을 더해 국가 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산업 특화형 버티컬 AI와 글로벌 시장 확산 전략을 공개했다. 김 대표는 “‘소버린 AI 2.0’을 기반으로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산업의 AI 활용을 고도화하고, 이를 사우디·태국·일본 등으로 확산해 산업 AI의 글로벌 레퍼런스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네이버는 AI 기술을 통해 상생의 ‘물결효과’를 확산하는 ‘네이버 임팩트’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최수연 대표는 “AI 기술로 중소사업자, 창작자, 로컬 파트너가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2000억 원 규모의 콘텐츠 투자와 창작자 보상 프로그램을 통해 AI 생태계의 선순환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