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AX 전문기업 LG CNS가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 4조 1,939억 원, 영업이익 3,399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8.7%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LG CNS의 핵심 성장 축인 AI·클라우드 분야의 3분기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2조 4,692억 원으로 집계됐다. AI 부문에서는 금융과 공공 AX 사업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외교부, 경기도교육청, 경찰청, 기상청,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의 AI·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연이어 수주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강화했다.
또한 국가대표 소버린 AI 모델 엑사원과 LG CNS-코히어 공동개발 초대형·경량형 LLM(대규모언어모델)을 기반으로 산업별 맞춤형 AI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클라우드 분야에서는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전문 역량을 앞세워 성과를 이어갔다. 국내 기업 최초로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수주했으며, 베트남우정통신그룹 및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과 협력해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 중이다. 최근 대한항공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대규모 클라우드 전환 역량도 입증했다.
스마트엔지니어링 분야의 3분기 누적 매출은 7,794억 원을 기록했다. LG CNS는 방산(스마트엔지니어링), 정유(디지털트윈), 공공(강원 곤충 스마트팩토리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반도체(무인운송로봇)와 제약(생산관리 시스템)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또한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위한 경량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개발해 첫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저변 확대에 나섰다.
스마트물류 부문은 북미 2차전지 제조 확대에 따른 공정 물류 사업을 기반으로 지속 성장 중이다. 뷰티, 푸드, 패션, 방산 등 K-산업의 물류 투자 확대에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수주를 늘려가고 있다.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의 3분기 누적 매출은 9,453억 원으로 집계됐다. LG CNS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K-뱅킹 시스템 수출을 선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시나르마스 은행 차세대 카드 시스템, 싱가포르 현지 글로벌 은행의 뱅킹 현대화 사업, 디지털화폐(CBDC) 기반 국고보조금 유통 플랫폼 ‘프로젝트 한강’ 2차 시범사업 등을 수주하며 글로벌 금융 DX 사업을 확대 중이다.
LG CNS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기업용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AgenticWorks)와 업무혁신 서비스 에이엑스씽크(a:xink)를 출시해 금융권 중심으로 다수의 개념검증(PoC)을 진행 중이며, LG 계열사 및 대외 고객 약 20곳과 도입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AI 박스를 통해 기존 2년 걸리던 데이터센터 구축 기간을 최대 12개월로 단축하는 혁신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RX(로봇전환)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LG CNS는 글로벌 톱티어 AI 로봇기업 스킬드 AI(Skild AI)의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에 제조 데이터셋을 학습시켜 유해물질 취급 로봇의 동작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설비 밀집 공간에 자율이동로봇(AMR)을 투입해 물류 효율을 높이는 등 피지컬 AI 기반의 산업 자동화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번 성과를 통해 LG CNS는 AI, 클라우드, 스마트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AX 전문기업으로의 체질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