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WS)가 2025년부터 2031년까지 한국 내 AI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을 위해 7조 원(미화 50억 달러) 추가 투자를 한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로써 AWS의 국내 누적 투자는 2031년까지 12조 6,000억 원(90억 달러)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는 국내 클라우드 산업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머신러닝과 분석부터 복잡한 업무를 자율 처리하는 AI 에이전트(Agentic AI)까지, 기업이 AI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하이메 발레스 AWS 아시아·태평양·일본(APJ) 총괄 부사장은 “이번 신규 투자는 모든 규모의 한국 기업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기 위한 장기적 약속”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은 “AWS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는 국내 산업 전반의 AI 전환(AX)을 가속화할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도 AI 기반 혁신과 투자 확대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WS는 이번 투자를 통해 SK그룹과 협력 중인 ‘울산 AI 존(Ulsan AI Zone)’ 등 AI 특화 데이터센터를 포함하며, 2027년 운영을 목표로 SK가 건설하고 AWS가 AI·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은 고성능 컴퓨팅과 특화 AI 도구를 활용, 생성형 AI와 에이전틱 AI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
이번 인프라 확대는 고성능 AI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환경, 아마존 베드록을 통한 100여 개 선도 AI 모델 접근, 에이전틱 AI 기반 멀티에이전트 시스템 구축까지 폭넓은 지원을 제공한다. 함기호 AWS 코리아 대표는 “이번 투자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데이터 주권을 유지하면서 첨단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적 투자”라고 설명했다.
또한 AWS는 AI 기반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2017년 이후 30만 명 이상에게 클라우드 기술 교육을 제공했으며, 서울여자대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등에서 고급 AI·클라우드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차세대 기술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AWS의 투자로 국내 기업들의 AI 혁신도 가속화되고 있다. LG전자는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제품 트렌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동영상 자막과 사용자 댓글을 분석하고, 288배 향상된 성능으로 데이터 분석 시간을 3일에서 30분으로 단축했다.
삼성물산은 글로벌 건설·빌딩 관리 전반에 에이전틱 AI를 적용해 입찰 문서 분석과 스마트 빌딩 관리에 활용, 연간 50억 원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CJ온스타일은 라이브 커머스에서 고객 문의를 실시간 처리하는 멀티에이전트 AI 시스템 ‘AiON’을 운영, 응답률 3배 향상과 평균 응답 시간 20초를 기록하며 고객 경험을 개선했다.
이번 AWS의 대규모 투자와 기술 지원은 한국의 AI 기반 경제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전환 촉진은 물론,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혁신 가속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