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카카오와 행정안전부는 27일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민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톡 내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올해 안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초기 시범 단계에서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카카오는 다양한 공공기관의 API를 카카오의 AI 기술과 연동해 ‘AI 국민비서’를 구현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Kanana)’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실제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또한 MCP와 ‘AI 에이전트 빌더’를 활용해 공공, 지역, 지식 등 다양한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제작하고,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는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원하는 행정 서비스를 완결형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I 윤리와 안전성 확보를 위해 ‘카나나 세이프가드’도 적용한다. 이는 유해 콘텐츠나 비윤리적 출력을 사전에 차단하는 카카오의 AI 가드레일 모델로, 서비스의 신뢰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한 자체 기술이다.
카카오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에서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해 국민이 보다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