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장인화 회장, “핵심광물·청정에너지 넘어 산업안전까지” 이끈다

포스코 장인화 회장, 한-호주 경제협력 강조
핵심광물, AI 생태계 협력 등 5대 분야 사례 발표

 

[더테크 서명수 기자]  한국과 호주의 산업·경제 협력을 대표하는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한-호 경협위)가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제46차 합동회의를 열고 핵심 산업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한국측 위원장인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과 호주측 위원장 마틴 퍼거슨, 산업통상자원부 박종원 통상차관보, 제프 로빈슨 주한호주대사 등 양국 정·재계 인사 약 200명이 참석했다.

 

포스코그룹 장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 상생,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협력 범위를 넓히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모색하자”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핵심광물 공급망, 청정에너지, AI 생태계 혁신, 산업안전, 재난대응 등 5개 분야에서 구체적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AI 기반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이 특별의제로 상정되면서 양국 협력 모델의 외연이 확대됐다.

 

포스코그룹은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 세션에서 신규 사회공헌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재난 대응 체계를 벤치마킹해 전국재해구호협회와 함께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을 추진해 지역 주민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응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핵심광물 공급망 세션에서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호주 리튬 광석 국내 도입 사례와 포스코그룹의 해외 자원전문 연구소 ‘호주핵심자원연구소’ 활동이 소개됐다.

 

포스코는 1970년대 철광석 구매를 시작으로 호주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이어오고 있으며, 매년 약 70억 달러 규모의 철강 원료를 호주에서 조달한다. 또한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 개발 참여, 탄소저감 철강 원료(HBI) 생산 프로젝트 추진, 포스코인터내셔널의 2022년 호주 세넥스에너지 인수 등을 통해 안정적 원료 공급과 친환경 산업 확대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번 합동회의는 한국과 호주가 산업·경제 협력을 넘어 AI 기반 안전관리와 재난대응까지 포괄한 차세대 협력 모델을 모색하는 계기로 평가된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핵심광물, 청정에너지, 산업안전 등 실질적 협력 성과를 확대하고 양국 기업과 지역 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