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다이내믹스, 스스로 상황 파악하고 대응하는 'AI 휴머노이드' 공개

 

[더테크 이승수 기자]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토요타 리서치 인스티튜트(TRI)와 공동으로 차세대 휴머노이드 ‘아틀라스(Atlas)’를 위한 대규모 행동 모델 개발 성과를 2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언어 기반 명령에 따라 전신을 활용한 정교한 조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로봇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단단하거나 유연한 물체, 크고 작은 대상, 무거운 물건부터 섬세한 부품까지 폭넓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단순한 물체 조작을 넘어 균형 유지, 환경 대응, 장애물 회피 등 인간에 가까운 적응형 행동이 필수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기관은 실제 로봇 하드웨어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언어 조건 신경망 정책을 학습시켰다. 이 정책은 발걸음 조정, 무게중심 이동, 웅크리기, 충돌 회피 등 아틀라스의 전신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공개된 시연에서는 아틀라스가 물체를 집어 선반에 배치하고, 쓰레기통을 옮기며, 부품을 정리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했다. 특히 부품이 떨어지거나 장애가 발생했을 때도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능력을 보여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기존 로봇은 예상치 못한 변수를 만나면 작동이 멈췄지만, 아틀라스는 훈련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복구할 수 있다”며 “이는 로봇 활용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히는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는 VR(가상현실) 기반 원격 조작 시스템이 활용됐다. 연구원은 헤드셋과 모션 트래킹 장비를 착용해 로봇과 1:1 매핑 방식으로 조작했으며, 발걸음까지 동기화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버전이 적용돼 보다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해졌다. 또 시뮬레이션 기술을 병행해 실제 하드웨어에서 반복 실험하는 한계를 극복했다. 이를 통해 수십 가지 작업을 벤치마킹하고, 로프 묶기·바스툴 뒤집기·자동차 타이어 조작 등 기존 프로그래밍으로는 어려운 난도 높은 과제도 해결할 수 있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 측은 “대규모 행동 모델을 적용한 아틀라스는 특정 임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환경과 작업에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며 “범용 AI 휴머노이드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성과가 향후 제조, 물류, 건설, 서비스업 등 대규모 자동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