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지난해 전기차용 배터리 음극재 적재량이 전년 대비 30% 성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1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사용된 음극재 총 적재량은 104만3천t으로 집계됐다. 전 세계 전기차(EV, PHEV, HEV) 시장에서 사용된 음극재 총 적재량은 약 1,043K ton으로, 전년 대비 30%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383K ton을 기록하며 15% 성장에 그쳤다. 특히, 2023년부터 캐즘 영향으로 글로벌 YoY 성장률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기업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ShanShan과 BTR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음극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두 업체는 CATL, BYD, LGES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하며 광범위한 고객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Kaijin과 Shangtai는 10만 톤을 기록하며 각각 3위와 4위로 집계되었으며, Zichen, Shinzoom, XFH 또한 7만 톤 이상의 출하량을 보이며 중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Top10
[더테크 이승수 기자] 캐즘에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했다. 5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64.3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기 대비 25.7% 성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0%p 하락한 16.9%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0.1%(6.0GWh) 성장하며 3위를 유지했고 SK on은 35.0%(2.9GWh)의 성장률을 기록해 4위에 올랐다. 반면, 삼성SDI는 -23.7%(2.0GWh) 역성장을 기록했다. 삼성SDI의 하락세는 유럽 및 북미 시장 내 주요 완성차 고객들의 배터리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전기차 판매량 따른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의 배터리 사용량은 주로BMW, 아우디, 리비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BMW의 경우 i4, i5, i7, iX에 삼성SDI의 배터리가 탑재되
[더테크 이승수 기자] 지난해 전기차 판매 대수가 1천 700만대를 넘어섰으며, 중국 BYD가 413만대를 판매해 1위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12일 발표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80개국에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포함)는 약 1천763만대로 전년 대비 26.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BYD는 다양한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라인업 구축과 서브 브랜드를 연이어 출시하며 다양한 차급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40% 넘는 성장을 했다. 또한 유럽, 동남아, 남미 지역에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며 관세 장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테슬라는 전체 판매량의 약 95%를 차지하는 모델 3와 모델 Y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유럽과 북미지역에서는 전기차 수요 둔화로 10%의 큰 감소폭을 보였다. 한편, 테슬라는 2025년 상반기 보급형 신차 모델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완전 자율주행(FSD) 기술의 개선을 통해 2025년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중국 지리그룹은 내수 판매에 힘입어138만6천대를 팔아 전년 동기보다 59.8% 성장했다. 순위는 20
[더테크 이승수 기자]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이 59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성장했다. 이중 1.2위는 CATL과 BYD로 점유율이 절반을 넘어섰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중국 업체에 밀려 소폭 하락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순수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하이브리드차(HEV)에 탑재된 배터리 총사용량은 599.0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BYD는 28.0%(98.5GWh) 성장률과 함께 배터리 사용량 글로벌 2위를 기록했다. 최근 글로벌 OEM들 간의 하이브리드 기술 경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1회 충전 시 2,100km 주행이 가능한 신형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시하며 순수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장을 투트랙으로 공략하고 있다. 또한, 중국 내수 시장을 벗어나 아시아와 유럽 시장을 진출해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SNE 리서치는 "한국 배터리 3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매출과 이익률을 보여주었으나 중장기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다각화를 꾀하는 모습이다"며 "중국업체들의 고성장은 가격경쟁력
[더테크 이승수 기자]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12일 올해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등록된 전기차가 작년 같은 기간 8.2% 성장한 283만8천대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주력 차종인 모델3와 Y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테슬라가 7.1%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1위를 유지했다. 주요 시장인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모델 Y 판매량이 감소한 것이 역성장의 주 요인이다. 아우디, 포르쉐,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1.9%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폭스바겐 그룹은 폭스바겐 ID.시리즈 라인업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는 모습이나 아우디 Q4 e-tron, Q8 e-tron, 스코다 ENYAQ 모델들이 견조한 판매량을보여 성장세를 이어갔다. 3위는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순수 전기차(BEV) 판매량이 모두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4.9% 역성장했다. 현대차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2.9% 역성장했다. 코나 일렉트릭과 니로EV, EV9의 글로벌 판매가 확대되었으나 주력 모델인 아이오닉5, EV6의 국내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5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등록 전기차 총 대수가 약 225.9만대로 전년 대비 9% 상승했다. 글로벌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테슬라는 역성장을 기록했으나 1위를 유지했다. 테슬라는 주력 차종인 모델3와 모델Y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12.8%의 역성장을 나타냈다. 유럽, 북미에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약 16%씩 감소했으며 특히 북미 지역의 모델3 판매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 역성장의 주 요인으로 분석된다. 아우디, 포르쉐,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은 전년 대비 2.1%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폭스바겐 그룹은 폭스바겐 ID시리즈 라인업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아우디 Q4 e-tron, Q8 e-tron, 스코다 ENYAQ 모델들이 견조한 판매량을 보여 성장세를 이어갔다. 3위는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푸조 e-208, 피아트 500e, 지프 랭글러 4xe, 그랜드 체로키 4xe 등 순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골고루 판매량 호조를 나타내 2.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 탑재 총 배터리 사용량이 약 285.4GWh로 전년 동기 대비 23.0% 성장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2.8% 하락한 22.3%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은 전년 동기 대비 5.6%(35.9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했다. 삼성SDI는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26.8%(13.7GWh)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SK on은 4.2%(13.9GWh)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3사 모두 준수한 성장을 나타냈다. 국내 3사의 전기차 판매량에 따른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는 BMW i4/X/5와 Audi Q8 e-Tron이 유럽에서 견조한 판매량을 나타냈고 북미에서 Rivian R1T/R1S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BEV, PHEV 두 타입의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공략한 삼성SDI는 고부가 배터리 P5와 함께 P6를 신규 공급하며 2분기부터는 자동차 전지 부문 전체 수익성 제고에 큰 도움이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 on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아이오닉5, EV6가 전년 대비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북미에서 포드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LIB(리튬 이온 배터리)의 생산 능력이 2035년에는 5695GWh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2024 글로벌 LIB 라인 신설 및 증설 전망’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2024년부터 2035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10% 수준이다. 해당 집계는 전기차, ESS용 중대형·IT용 소형 배터리를 포함한 수치다. 한국의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 on)의 경우 2035년까지 1159GWh의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국내 3사의 생산 기지는 대부분 북미, 유럽에 위치해 있으며 2035년 기준 각각 628GWh, 305GWh에 도달할 전망이다. 특히 2035년까지 북미 지역 내 생산 능력은 한국기업이 58%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생산 능력은 2035년 중국 3093GWh, 북미 1084GWh, 유럽 1174GWh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2035년 기준 TOP 3 기업(CATL, BYD, CALB)이 전체 중국업체 생산 능력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급 과잉으로 인해 향후 상위 업체 위주로 배터리 산업이 재편성될 수 있다. 반면 북미
[더테크=전수연 기자] 2023년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수요량(사용량)이 219만 톤, 양극재 출하량은 294만 톤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업체 M/S를 살펴보면 전체 양극재 출하량 293.8만 톤 중 LFP가 차지하는 출하량은 156.8만 톤으로 약 53%를 차지했다. SNE리서치는 2024년 1분기 LIB 4대 소재 분기별 시장 및 SCM 분석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원계와 LFP를 모두 합친 실적에서는 Hunan Yuneng이 50.7만 톤 출하로 1위를 기록했으며 Dynanonic이 21.4만 톤 출하로 2위, Hubei Wanrun이 16.4만 톤 출하로 3위를 기록했다. Lopal까지 10.7만 톤으로 작년 10만 톤 이상 출하를 기록한 업체가 집계됐다. 삼원계 양극재 업체만 보면 Ecopro가 12만 톤 출하로 1위를 기록했고 Ronbay가 9.95만 톤 출하로 2위, B&M 9.5만 톤, L&F 8.6만 톤, LGC 7.4만 톤으로 집계됐다. 그 뒤로 XTC, Umicore, Reshine, Easpring, SMM, Nichia, Cylico, PoscofutureM이 5~7만 톤 내외의 출하를 기록했다. 2024년
[더테크=조재호 기자] 전기차·배터리 관련 전문 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1~4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177.5만대로 지난해보다 10.4% 상승했다. 이는 중국 시장을 제외한 수치다. 최근 전기차 시장 둔화가 본격화되면서 완성차 브랜드마다 비즈니스 전략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이다. 기존 브랜드들이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관련 전략을 추진하는 반면 중국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에 나서는 모습이다.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테슬라는 주력 차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지난해보다 12.8 역성장했지만 1위 자리를 유지했다. SNE리서치는 중국을 제외한 시장의 성장 둔화와 함께 미국 공장의 모델3 하이랜드 생산 초기 이슈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아우디와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 그룹이 2위에 올랐는데 폭스바겐 ID 시리즈와 아우디 Q4, Q8 E-tron, 스코다 ENYAQ을 중심으로 판매 호조를 보여 성장세를 이어갔다. 3위는 스텔란티스 그룹으로 유럽에서 푸조 e-208, 피아트 500 e와 북미에서 지프 랭글러 4xe, 그랜드 체로키 4xe 등 BEV와 PHEV 모두 견조한 판매량을 이어가며 9.9% 성장률을 보였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전기차·배터리 관련 전문 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1~4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약 101.1GWh로 전년 대비 13.8% 성장했다. 적극적인 수출 전략을 취하는 중국과 이를 제한하는 미국과 유럽 사이에서 국내 업체들의 시장 선점과 해외 비즈니스 전략이 중요해진 시점이다. 업체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국내 3사는 상위권을 유지했다. 하지만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보다 1.6%P 하락한 46.7% 기록했다. LG에너지 솔루션이 지난해보다 7,1% 성장하며 2위를, 삼성 SDI는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33.1%의 성장률을 보였다. 다만 SK on은 –1.3% 역성장을 보였다. 3사의 전기차 판매량에 따른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포드 Mustang Mach-E, GM 리릭과 같은 현지 OEM의 판매량과 유럽에서 테슬라 모델3/Y, 르노 메간의 판매량이 호조를 나타내 성장세를 이어갔다. 최근 LG에너지솔루션과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 배터리 합작법인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탑재한 신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합작한 NCMA 배터리셀을 탑재한 기아의 SUV EV
[더테크=조재호 기자] SNE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1~4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428만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대비 약 20.3% 상승한 수치인데,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국가들의 성장세 둔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가장 큰 요인으로는 미국의 중국 전기차 견제가 꼽힌다. 올해 1~4월 주요 브랜드별 전기차 판매량을 살펴보면 BYD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지켰다. Song, Seagull, Dolphin의 판매 호조가 성장을 견인했는데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테슬라는 주력 차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 역성장하며 2위를 기록했다. 미국 프리몬트 공장의 모델 3 하이랜드의 생산 초기 단계 이슈와 홍해 분쟁으로 인한 고객인도 지연 그리고 베를린 공장의 방화 사건에 따른 공장 폐쇄가 주요인으로 꼽힌다. 3위인 Geely 그룹은 경형 전기차 Panda MINI는 3.2만대, 중고급형 ZEEKR 001이 3만대 이상 판매됐고 신형 전기차 EX30을 포함한 볼보의 전기차들이 유럽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