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라이노스는 우미건설과의 계약을 통해 동탄에 소재한 ‘레이크꼬모’ 복합쇼핑센터에 AI 청소 로봇 ‘휠리 J40’을 성공적으로 납품,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청결 유지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일 밝혔다. 레이크꼬모는 다층 구조와 광대한 면적을 가진 대규모 복합상업공간으로, 지속적인 청결 상태 유지가 고객 만족의 핵심 요소로 평가받는다. ‘휠리 J40’은 자율적으로 넓은 공간을 관리하며, 기존 미화원은 화장실, 계단 등 디테일한 관리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역할이 재배치됐다.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휠리 J40은 엘리베이터 자율탑승 기술과 실시간 바닥 오염도 감지 기능을 탑재해 층간 이동 및 청소 강도 조절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라이노스의 독자적 기술인 엘리베이터 동기화 솔루션 ‘rEMS’와 운영 솔루션이 이를 지원하며 운영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청소 로봇은 물 교환 및 배수 작업, 물걸레 청소와 건조 등 모든 청소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며, 연간 약 1억 원의 관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라이노스는 우미건설과의 계약은 대형쇼핑센터에 로봇 기술을 활용한 청소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 라이노스(RhinOS), 중국 이지아허 기술(YIJIAHE Technology), 일본 세이코 전기(SEIKO ELECTRIC)가 각각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AI 청소로봇 시장 공략에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의 로봇 전문기업 라이노스는 4일 중국 로봇 전문기업 이지아허와 AI 서비스 로봇 시장 공략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지아허는 상업용 로봇업계 최초로 중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로 의료용 로봇, 산업용 로봇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또 앞서 한국 로봇 SW 전문기업 라이노스와 협력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6일 세이코 전기와도 계약을 체결해 ‘한·중·일’ 삼각 동맹을 결성했다. 라이노스는 이지아허와 공동으로 AI 청소 로봇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 구축, 운영 SW를 개발해 한국 내 특성에 맞게 서버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SW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사용자 앱 SW의 한국 내 자체 개발을 통해 이지아허가 개발한 AI 청소로봇의 한국형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한·중·일 로봇 삼각동맹의 세이코 전기는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이징 등 전 세계 8개 자회사를 두고 있다. 일본 NHK 뉴스에 따르면 이지아허는 일본
[더테크=조명의 기자] 옵스나우가 대화형 AI 서비스 플랫폼 ‘헬프나우(HelpNow)’에 간단하게 고품질 콜봇을 구축할 수 있는 ‘헬프나우 AI 콜’ 기능을 새로 추가했다고 30일 밝혔다. 헬프나우 AI 콜은 산업에 특화된 고품질의 AI 콜봇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옵스나우에 따르면 보이스 게이트웨이를 내장해 콜센터 장비 교체나 대규모의 개발 과정 없이도 기업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콜센터 시스템과 연동해 콜봇 서비스를 매우 손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 실시간 대화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유선 전화뿐 아니라 웹 브라우저에서도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헬프나우는 대화형 AI 서비스 구축과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 다이얼로그플로우 △AWS 렉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루이스 △IBM 왓슨 등 자연어 이해(NLU) 엔진과 함께 오픈AI의 GPT-4, 구글 PaLM2 등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연동된다. 따라서 시나리오를 작성하지 않아도 보유하고 있는 문서나 드라이브 같은 스토리지를 연동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색, LLM을 통해 답변을 생성가히 때문에 정확하고 최적화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노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