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미국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브랜드로 한국의 현대차와 일본의 토요타를 꼽을 수 있다. 미국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경쟁이 심화하면서 두 기업의 디지털 광고 집행이 늘어나고 있는데 집행 방식에 있어서는 다수의 공통점 가운데 차이를 보이는 부분도 있다.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약진 중인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브랜드에서 한국의 현대자동차와 일본의 토요타는 가장 인기 있는 기업이다. 두 업체는 각각 11%, 1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미국 시장에서 5위와 2위를 기록했다. 2023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현대차가 2억달러, 토요타가 1억5000만달러의 디지털 광고를 집행했다. 이는 자동차 관련 디지털 광고 분야에서 각각 1위, 3위의 금액이다. 두 기업은 광고의 타겟인 오디언스로 18~34세에 주력했다. 두 기업 모두 해당 연령대에 64% 비율을 기록했다. 다만 현대차는 여성의 비율이 46%로 토요타의 41%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남성 오디언스의 비율이 60%에 달했다. 광고 오디언스 페르소나에서도 △디지털 사교계 인사 △패스트푸드 애호가 △겜블러 △야외 활동 애호가 같은 성향이 겹치는 부분을 보
[더테크 뉴스] 모바일 시장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는 21일 ‘미국시장에서 집행되는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트렌드’를 통해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일본 자동차 브랜드의 디지털 광고 집행에 대해 다뤘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 자동차 브랜드는 현지 자동차 브랜드보다 디지털 광고에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미국 시장에 가장 많은 광고비를 지출한 상위 10개 자동차 브랜드 중 7개가 아태지역 브랜드였다. 현대자동차는 2023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2억달러(2732억원)의 광고비를 집행하면서 가장 큰 비용을 투자한 기업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수치로 기존 1위였던 포드보다 많은 액수였다. 그 뒤를 이어 아태지역 브랜드로 토요타가 1억5000만달러로 3위, 닛산이 4위, 마쓰다 5위, 혼다 6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9위, 렉서스는 10위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광고 시장에 영향을 준 결과다. 현대자동차는 2024년 1분기에만 전년 대비 74% 늘어난 6100만달러의 디지털 광고를 집행했다. 혼다도 전년 대비 130% 늘어난 4800만달러를 지출했다. 광고 집행 플랫폼으로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한국토요타자동차와 함께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에 나선다. 유플러스는 한국토요타자동차와 멤버십 서비스 개발, 충전기 설치 등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관련기사: 로봇플랫폼으로 '로봇 사용량·패턴' 사전에 진단한다) (관련기사: LGU+-한전, 재생에너지 전력 중개 사업 본격화) 양사는 이번 협약의 일환으로 신차 구매 고객 대상 신규 토요타 멤버십 서비스를 개발한다. 멤버십 가입자는 유플러스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인 ‘볼트업(VoltUP)’ 가입 후 첫 한 달간 최대 5만원까지 무료로 충전할 수 있다. 멤버십은 이달 국내 출시 예정인 5세대 프리우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 구매 고객부터 가입할 수 있다. 한국 토요타자동차는 전국 토요타 공식 딜러 전시장과 서비스 센터에 볼트업 충전소를 설치하고 이를 시작으로 인프라를 지속 늘려갈 예정이다. 이 외에도 양사는 늘어나는 신규 전기차 사용자를 위해 운전자 혜택을 강화하는 등 다방면으로 협업을 확대한다. 현준용 유플러스 EV충전사업단장은 “5세대 프리우스 모델의 출시에 맞춰 맺어진 이번 협약은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2025년부터 토요타의 미국 생산 전기차에 탑재될 하이니켈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LG엔솔은 글로벌 Top5 완성차 회사(토요타, 폭스바겐, 르노닛산, 현대차, GM) 모두에 배터리를 공급하게 됐다. LG엔솔은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연간 2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대규모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배터리 1GWh당 전기차 1만5000대를 공급할 수 있다고 보면 전기차 30만대에 들어갈 수 있는 양이다. 이번 계약은 합작공장을 제외한 LG엔솔의 단일 수주 계약으로는 최대 규모다. LG엔솔은 이를 위해 올해 말부터 2025년까지 미국 미시간 공장에 총 4조원을 투자해 토요타 전용 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LG엔솔 관계자는 더테크에 “토요타와 협업으로 북미 전기차 시장에서 진전이 기대된다”며 “북미 생산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엔솔은 하이니켈 NCMA 기반 파우치 셀이 탑재된 모듈을 공급해 토요타의 신형 전기차 모델에 주로 탑재될 예정이다. 양사는 두 회사의 기술력을 결합해 안정성 및 성능 등 모든 면에서 한층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