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장인화 회장 취임 100일을 맞아 타운홀미팅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장 회장은 소재분야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1일 포항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장인화 회장 취임과 함께 시작한 100일 현장동행을 마무리하고 7대 미래혁신과제 중간점검과 함께 포스코그룹이 만들어갈 미래 경영비전을 임직원들과 공유하는 ‘CEO 타운홀미팅’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장 회장은 “그룹 사업과 경영체제 및 조직문화 전반에 걸쳐 경쟁력과 신뢰를 회복하면서 한계를 넘어 과감히 혁신하고 미래를 향해 도전하자”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및 신소재를 축으로 2030년 그룹 합산 매출액은 2배, 영업이익은 4배로 성장해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를 목표로 소재분야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자”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장 회장은 ‘7대 미래혁신과제’의 중간 성과와 향후 계획을 △철강 △이차전지소재 △신사업 발굴·사업회사 관리 △신뢰받는 경영체계·기업문화 총 4개 부분으로 나눠 발표하면서 ‘2030 소재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 달성’이라는 그룹 미래 비전도 제시했다. 철강 부분은 제조원가 개선과 판매 및 구매 경쟁력 제고로 230
[더테크=조재호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6.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긴축 경영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업종별로는 불닭볶음면의 세계적인 인기를 앞세운 삼양식품을 필두로 식음료 부문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전기·전자 업종도 대기업에 이어 중견기업까지 좋은 실적을 보였다. 반면에 의료기기와 철강 부문은 각각 엔데믹과 시황 악화 등의 영향으로 부진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 기준 500대 중견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실적을 발표한 496개사를 대상으로 2024년 1분기 실적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57조504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 55조5596억원에서 2.7%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도 2조948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6.6% 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체 13개 업종 중 9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증가세를 보였다. 이 중에서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이 2264억원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반
[더테크=조재호 기자] 반도체를 포함한 IT·전기·전자 업황 회복으로 1분기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7.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K-반도체를 필두로 주요 대기업들이 올해 상승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와 공기업 부문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고 자동차·부품의 영업익도 확대됐다. 반면 석유화학과 철강 등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유가 상승, 수요 악화, 중국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모습이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7일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실적을 발표한 334개사의 1분기 실적을 조사했다.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772조7862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768조9852억원 대비 0.5% 증가한 수치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영업익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올 1분기 500대 기업의 영업익은 50조56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조1749억원대비 57.1% 급증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19개 업종 중 절반 이상인 11개 업종에서 영업익이 증가했다. 이 중에서 IT·전기·전자 업종은 반도체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2024년 1분기 실적과 함께 철강·이차전지소재사업에 집중하는 사업전략 방향과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포스코홀딩스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520억원, 영업이익5830의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6.9%, 영입이익은 17.3% 감소했다. 이에 대회 회사는 글로벌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사업별 본원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질개선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실적발표와 함께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이라는 새로운 비전 아래 그룹의 자원과 역량을 집중하는 사업전략 방향과 주주환원 등의 청사진도 제시했다.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진행한다. 지난 2019년 국내최초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포스코 Smart Factory를 AI가 결합한 Intelligent Factory로 발전시키고 저탄소 생산체제 전환을 통해 초격차 수준의 제조 및 원가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차전재소재사업에서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둔화와 업황조정기를 본원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리튬 등 우량자원 확보에 중점을 두어 장기
[더테크=전수연 기자] 포스코(POSCO)가 신뢰받는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미래혁신 과제를 발표했다. 포스코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포스코미래혁신TF’를 가동해 그룹 경영 현황 전반을 점검하고 관련 부서의 의견 청취와 토론을 토대로 7대 미래혁신 과제를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장 회장은 19일 열린 포스코홀딩스 이사회 전략세션에서 “7대 미래혁신 과제를 통해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체제 전반을 혁신해 초일류 기업 도약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미래혁신 과제는 그룹 핵심사업인 철강, 이차전지소재의 본원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선도 소재기업의 위상을 확립하고 유연·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거버넌스의 혁신 등을 통해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회복해 새로운 경영비전인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 달성을 목표로 한다. 포스코그룹 7대 미래혁신 과제는 △철강경쟁력 재건 △이차전지소재 시장가치에 부합하는 본원경쟁력 쟁취와 혁신기술 선점 △사업회사 책임경영체제 확립, 신사업 발굴체계 다양화 △공정·투명한 거버넌스의 혁신 △임직원 윤리의식 제고와 준법경영 강화 △원칙에 기반한 기업 책임 이행 △조직·인사쇄신과 수평 조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가 2023년 실적을 발표했다. 국내외 시황악화에 따라 전반적인 실적은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회사는 미래를 위한 준비를 지속해나갈 입장을 전했다. 포스코홀딩스가 2023년 연결실적 기준 매출액 77조1270억원, 영업이익 5조5310억원, 당기순이익 1조8460억원을 31일 공시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철강 부문에서는 포항제철소의 냉천범람 조기복구 이후 조업안정화를 진행해 조강생산 및 제품판매가 다소 증가했다. 하지만 철강시황 악화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친환경 미래소재 부문은 글로벌 수주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은 늘었지만 EV성장 둔화와 리튬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줄었다. 인프라 부문은 트레이딩 사업 매출이 감소했지만 친환경성 프로젝트 판매 확대로 수익성은 방어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에 따른 경기부진과 고금리 기조 지속의 영향을 받았지만, 미래를 위한 재정비를 지속했다. 철강은 고로 기반 저탄소 브릿지 기술 확대와 포스코형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HyREX 전환 계획을 구축하고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에너지 합병 등 그룹 주요 사업 재배치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했다는 설명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연례행사인 포스코포럼을 진행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해부터 이어온 리얼밸류 경영 기조를 이차전지를 비롯한 그룹 내 사업과 연계할 방안을 모색한다. 포스코그룹은 ‘2023 포스코포럼’을 12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인천 송도 포스코 글로벌R&D센터에서 개최한다. ‘리얼밸류 경영, 세상에 가치를 더합니다’를 주제로 철강, 이차전지소재. 수소, 리튬 등 그룹내 7대 핵심사업별 리얼밸류 실현 방안과 그룹의 성장 방향 등을 논의한다. 올해로 5회차를 맞은 포스코포럼은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그룹 주요 임원들이 모두 참여해 그룹의 성장 방향과 리얼밸류에 대한 공감대를 넓힌다. 최정우 회장은 “리얼밸류 스토리를 발전시켜 그룹의 성장 비전을 알리는 툴로 활용해야 한다”며 “임원들이 솔선수범해 구성원의 역량을 키우는데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하고, “직원들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나가자”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라즈 라트나카(Raj Ratnakar) 듀퐁 전략 담당 부사장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과 기업가치 증대 방안’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