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DNA 분석장비 기업에 투자를 집행했다. 디지털 헬스케어부터 AI까지 폭넓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12일 미국 DNA 분석 장비 기업 '엘리먼트 바이오사이언스(Element Biosciences, 이하 엘리먼트)'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최근 엘리먼트가 유치한 2억7700만불 규모의 시리즈 D 투자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이 참여했다. 엘리먼트 社는 2017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설립된 기업으로 저비용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지닌 'DNA 시퀀싱(DNA Sequencing)'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2022년 중형 'DNA 시퀀싱' 기기 '아비티(AVITI)'를 출시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와 함께 신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DNA 시퀀싱'은 생명체의 설계도라 할 수 있는 DNA를 구성하는 염기 서열을 읽어 유전적 변이와 특징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얻은 유전체 정보는 △선천적인 유전 특성 파악과 질병의 사전 예측 △유전 변이에 따른 질병의 조기 발견과 질병의 추적 관찰 △질병에 따른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 미래 정밀 의료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로 장기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래 신사업 중 하나로 육성 중인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12일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둔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에 6000만달러(800억원)을 투자하는 신주 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분투자는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닌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다. 거래를 마무리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베어로보틱스는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테크 리드로 근무했던 하정우 대표가 지난 2017년에 설립한 회사다.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로봇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과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동 창업자인 CTO를 비롯해 구글 등 빅테크 출신의 엔지니어들이 다수 근무하고 있으며 오픈 플랫폼 기반의 로봇 개발 역량은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상업용 로봇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솔루션 분야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여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