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전자가 크게 개선된 실적 예상치를 공개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5일 올해 2분기 실적 전망치를 발표했다. 매출은 74조원, 영업이익 10.4조로 지난 분기 대비 각각 2.89%, 57.34% 증가했다. 지난해 대비 매출은 23.31%, 영업이익은 1452.24% 늘었다. 잠정 실적발표인 만큼 부문별 세부 실적이 공개된 것은 아니지만 인공지능(AI) 관련 시장 확대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수요 폭증과 가격 회복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들의 삼성전자 2분기 전망치는 매출 73조원, 영업이익 8.2조원으로 예측됐다. 매출은 전망치에 근접하지만, 영업이익은 크게 웃돌았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이 실적 개선을 예상했지만 이를 뛰어넘는 발표로 전망치를 상향하고 있는 분위기다. 앞서 1분기 삼성전자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에서 1.9조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2022년 4분기 이후 5분기 만에 흑자 전환하며 반도체 시장의 사이클 전환을 시사한 바 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카오가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기업 비즈니스의 양대 축인 플랫폼과 콘텐츠 부문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부진을 털어낸 모습이다. 회사는 향후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 속도를 올려 AI 기술의 일상화 및 대중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2024년 1분기 연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 증가한 1조9884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늘어난 1203억원이며 영업이익율은 6%를 기록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이 9548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지난해보다 13% 증가한 수치다. 카카오톡을 통한 광고·커머스 사업 매출이 5221억원을 기록했고 다음 포털 비즈니스는 847억원으로 집계됐다. 모빌리티와 페이 등 기타 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480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의 매출은 1조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늘었다. 뮤직 매출은 468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2% 성장했다. 스토리는 2270억원, 미디어는 952억원, 게임은 243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연결 영업비용은 1조 868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2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국의 반도체 기업으로 GPU 시장의 절대강자인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21일(현지시각)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21억달러(29조4570억원)의 매출과 주당 5.15달러(6864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65%, 총이익은 769% 급증했다. 앞서 시장조사기관 LESG는 엔비디아의 4분기 실적 전망을 매출 206억2000만달러(27조4885억원), 주당 순이익은 4.64달러(6185원)로 제시했다. 이날 정규 거래에서 3% 가까이 하락한 엔비디아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10% 이상 상승하며 740달러를 넘어섰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H100 등의 서버용 인공지능(AI) 칩 판매 호조에 따른 것이다. 현재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90% 점유율을 보이면서 사실상 독점 공급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매출은 대부분은 데이터센터 사업에서 나왔다.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409% 증가한 184억달러(24조5290억원)를 기록했고, PC와 노트북용 GPU를 포함한 게임 부문은 56% 늘어난 28억7000만달러(3조8260억원)를
[더테크 뉴스] 현대자동차가 역대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판매량이 전년 동기보다 13%p 이상 상승하고 영업이익은 3조원을 훌쩍 넘는 등 ‘어닝 서프라이즈’(깜짝실적)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결과다. 현대차는 25일 서울 본사에서 진행한 컨퍼런스 콜을 통해 올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24.7% 늘어난 37조7787억원이었다. 판매확대와 제네시스‧SUV 중심의 판매믹스 개선, 환율 효과 등이 매출액 상승을 견인하는 요인이 됐다. 여기에 부품 수급상황 개선으로 인한 가동률 상승과 환율 등의 영향으로 인해 매출원가율이 전년 동기대비 1.3% 낮아졌다. 이번 분기 현대차의 매출원가율은 79.6%다. 판매량 역시 상승했다.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현대차는 총 102만1712대. 젼년 동기와 비교하면 도매 판매기준으로 13.2% 늘어난 수치다. 이에 대해 현대차 측은 지난해 연말 출시된 7세대 디 올 뉴 그랜저의 본격적인 판매와 고부가가치 차종의 견조한 판매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같은 고무적인 성과에 힘입어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무려 86.3% 증가한 3조5927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