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현대건설은 현대차그룹 스타트업 '모빈(Mobinn)'과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처음 적용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서울 용산구 한남4재정비촉진구역(한남4구역)에도 이 기술을 제안하며 미래 주거 단지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에 도입된 자율주행 로봇은 무선통신 및 관제 시스템과 연동됐다. 도로, 지하 주차장, 공동 출입문, 엘리베이터, 세대 현관까지 전 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특히 현대엘리베이터와의 협업으로 무인 엘리베이터 승하차 기능, 정원 초과 판단, 목적층 재호출 등 지능형 기술이 적용됐다. 이번에 도입되는 주율주행 로봇은 특수 고무바퀴를 장착해 계단 등 장애물도 극복할 수 있으며, 적재함 수평 유지 기능과 3D 라이다, 카메라를 통해 배송 안전성을 높였다. 택배나 음식 배달 외에도 순찰 기능이 추가돼 보행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현대건설은 한남4구역에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기술을 제안하며, 핵심 스마트 기술을 통해 입주민에게 차별화된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미래 고
[더테크 이승수 기자] 카카오모빌리티-호반건설-베어로보틱스가 5일 ‘실내로봇 서비스 운영환경 표준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3사는 로봇 배송 서비스 운영 환경을 표준화하고, 각 공간의 목적과 형태에 맞춰 최적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표준을 제시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사무실, 호텔, 아파트, 상가 등은 각자 목적에 맞는 배송 서비스가 필요하지만, 그동안 각 공간별로 최적화되지 않아 실질적인 효용성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업무 협약은 다양한 공간마다 로봇 배송 운영 규격을 개발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 속 어디서나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 기반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호반건설이 보유한 주거 공간, 호텔 및 리조트, 상가 등 복합적인 수요가 존재하는 다양한 공간에서 실증을 진행해, 서비스 품질과 효율성 향상은 물론 자사 로봇 배송 서비스인 ‘브링(Bring)’의 영역 확장까지 가속화 한다는 포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사가 구축한 로봇 표준 연동 규격을 기반으로 베어로보틱스사의 실내배송로봇을 연동한 로봇 배송 서비스를 지난 7월부터 제천 레스트리 리솜에서 제공 중이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배송 로봇 서비스가 오픈 API 플랫폼을 장착하고 오피스·호텔·병원·주거단지를 넘어 리조트까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호반호텔앤리조트와 손잡고 제천 레스트리 리솜에서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을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4월 출시한 '브링'은 복잡한 배송 주문의 최적 배차를 통해 관리자 개입을 최소화한 동시에 로봇의 이동 효율은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플랫폼 제어로 사무실·호텔·병원·주거 등 로봇을 고려해 설계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서도 서비스 운영이 가능할 만큼 범용성을 갖추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제천 레스트리 리솜에서 기술 검증(PoC)을 진행한 후 지난 5일부터 주간에는 음료, 야간에는 객실 어메니티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향후 간단한 식사 배송도 진행한다. 약 200여개의 객실과 F&B레스토랑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리솜에서의 서비스를 통해 휴양형 리조트에 최적화된 배송로봇 시나리오를 고도화할 수 있다. 리조트 이용객들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지 않고 각 객실에 비치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해 로봇 배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QR코드를 통해 리솜 주문 웹에 접속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배송 로봇과 자사 로봇 오픈 API 플랫폼이 결합된 상품을 공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을 공개하고 자사 플랫폼 브링온(BRING-ON)을 출시하며 로봇 배송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브링은 △식음료 배달 △사무실 내 우편 배달 △호텔 내 컨시어지 서비스 등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로봇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플랫폼 제어를 통해 사무실·호텔·아파트·병원 등 로봇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기존 건물에도 바로 배치 후 운영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배송에 최적화된 로봇 오픈 API 플랫폼 브링온도 개발했다. 브링온은 오픈 API를 기반으로 다양한 배송 주문과 로봇을 연동해 배송 서비스의 유형, 로봇의 기종에 제약받지 않고 이용자 환경에 맞춰 서비스를 구성하는 범용성을 갖췄다. 브링온에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축적해온 AI 최적 배치·수요 예측·라우팅 등의 모빌리티 기술이 집약됐다. 이를 통해 복잡한 배송 주문을 플랫폼 상에서 분류하고 각 로봇에 최적으로 배차해 관리자의 개입은 최소화화면서 배송의 효율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더테크=전수연 기자] 작업량 증가 및 인력난을 겪고 있는 물류 현장에서 이동형 배송로봇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서빙에 이어 물류로 로봇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물류센터 운영 자동화에 투자한다. (관련기사: 브이디컴퍼니, LGU+와 손잡고 외식업 DX 나서) 유플러스는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 유진로봇과 물류로봇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유플러스의 물류로봇 사업은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기반으로 통신망을 공급해 실질적인 물류자동화를 구현하고, 로봇 관제 플랫폼을 개발·공급해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유플러스는 그 일환으로 유진로봇과 협약을 맺었다. 이와 관련 유진로봇 관계자는 더테크에 “유플러스 통신망과 유진로봇의 물류로봇을 결헙해 물류자동화 솔루션을 국내 시장에 보급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유진로봇은 △3D 라이다 센서 △자율주행 △기능안전 컨트롤러 △표준 및 커스텀 플랫폼 △시스템 통합(SI) 등 자율주행 로봇과 관련된 자체 기술을 구현했다. 최대 250kg까지 운반 가능한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GoCart)’는 국내 물류로봇 최초로 로봇안전표준 ISO13482 인
<더테크>가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3’에 참가한 기업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말하는 기술을 다양한 형식의 인터뷰 기사로 전달합니다. 전시회는 끝났지만 인터뷰는 이어집니다. <더테크>가 만난 기업들은 계속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개발해나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보티즈는 스마트테크코리아 2023(이하 STK 2023)에서 자율주행 로봇 ‘개미’ 시리즈를 부스 전면에 배치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전인호 매니저는 로봇에 관심을 보이는 관람객을 상대로 자사의 제품을 열심히 홍보했다. 행사장 초입에 있는 로보티즈의 부스는 쿠팡이나 SK 같은 대기업 부스 못지않은 인기를 모았다. 행사 둘째날 점심시간 무렵 <더테크>와의 인터뷰에 응한 전 매니저는 회사 소개를 부탁하는 질문에 ‘자율주행’과 ‘로봇’이라는 핫 트렌드를 언급했다. “자율주행 로봇을 주력 사업으로 설계부터 최종 제품까지 전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로보티즈가 선보인 자율주행 로봇은 ‘집개미’라는 이름의 실내 자율주행 로봇과 ‘일개미’라는 실외 자율주행 로봇이다. 집개미에 대해 전 매니저는 “로봇 팔을 활용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