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조재호 기자] 모벤시스가 AI를 활용해 자율주행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 통합 플랫폼 개발 국책 과제를 컨소시엄 형태로 수주했다. 모벤시스와 자회사 스카일라(Skylla), 고려대학교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제공동기술개발 X&D 사업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율주행로봇의 실시간 통합 제어 SW 플랫폼 개발' 과제를 지원하여 최종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보스턴에 소재한 스카일라는 자율주행로봇의 최적 경로 주행, 충돌회피, AI에 관한 세계적 기술력이 있다. 고려대 HRI 랩과 민트(Mint) 랩은 각각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 및 다중 로봇관리 분야에서 전문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다. 산자부는 컨소시엄에 이달부터 2027년 6월까지 3년간 30억원을 지원한다. 미래 첨단기술의 핵심인 자율주행로봇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로봇이 인지, 판단 및 제어하는 기술로 물류, 유통, 제조, 방산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Nextmsc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로봇 시장규모는 2020년 약 12억 달러에서 2026년 70억 달러 이상으로 연평균
[더테크=문용필 기자] 모션 컨트롤 플랫폼 기업인 모벤시스가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섰다. 모벤시스는 하드웨어 브랜드 ‘두나미스’의 리모트 I/O 시리즈에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추가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두나미스 BHY-IO2 이더캣' 시리즈는 이더넷 기반의 산업용 필드버스인 이터캣을 지원하는 디지털 입출력 모듈이다. 이더캣은 데이터를 주변 장치로 빠르게 전송하고 유연한 네트워크 구조로 다양한 장치 연결을 지원한다. 모벤시스가 이번에 선보인 ‘BHY-IO2 32점’은 기존의 8점과 16점을 넘어선 32점으로 더욱 다양한 주변 장치의 입출력을 지원한다. 크기가 컴팩트해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스위치를 통해 별도의 스테이션 명령어 설정이 없어도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I/O 타입으로 유연한 구성을 갖췄으며 오류 및 오작동에 따른 사용자 동작 설정이 가능해 호환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였다고 모벤시스 측은 설명했다. BHY-IO2는 전자파 적합성(EMC),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 등 국제기관 인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반도체와 평판 디스플레이(FPD) 장비부터 전자 조립 및 검사 장비, 컨베이어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