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업용 솔루션 전문기업 IBM이 왓슨x와 관련된 개방형 기술·생태계 협력,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동화 관리 솔루션 ‘하시코프’를 비롯한 솔루션 기업 인수 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자사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다. IBM은 서울 여의도 Three IFC 한국IBM 사무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13일 진행했다. 사진은 IBM의 비즈니스 전략이 소개된 현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업용 솔루션 전문기업 IBM이 왓슨x와 관련된 개방형 기술·생태계 협력,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자동화 관리 솔루션 ‘하시코프’를 비롯한 솔루션 기업 인수 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자사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다. B2B 사업에서의 개방성, 신뢰성, 맞춤형, 역량 강화 방식을 통해 AI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BM은 서울 여의도 Three IFC 한국IBM 사무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13일 진행했다. 발표에 나선 이은주 한국IBM 사장은 IBM의 비즈니스 전략부터 설명했다. 이 사장은 “오늘날 기업들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과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에서 활용하고 있다”며 “이 환경은 생성형 AI의 도입으로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생성형 AI가 2028년까지 최대 10억 개의 앱을 만들어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화는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다. 자동화를 통해 기업은 시간을 절약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더 빠르게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AI 기술은 비즈니스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숙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IBM은
[더테크=전수연 기자] 델 테크놀로지스(이하 델)가 레드햇과 협력해 AI 인프라 구축을 간소화하는 턴키 솔루션 ‘레드헷 오픈시프트 AI를 위한 델 에이펙스 클라우드 플랫폼(Dell APEX Cloud Platform for Red Hat OpenShift AI)’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플랫폼은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위해 설계된 업계 최초의 완전 통합형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플랫폼이다. 기업, 공공기관이 온프레미스에서 가상 머신과 함께 컨테이너를 구축,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델은 이번 플랫폼에 레드햇 오픈시프트 컨테이너 플랫폼에 대한 컨트롤 플레인 호스팅 지원을 추가했다. 이는 관리 비용을 줄이고 클러스터 구축 시간을 단축하거나 워크로드 관리 부담을 줄여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AI를 위한 델 에이펙스 클라우드 플랫폼은 기업, 기관에서 더 많은 GPU를 활용해 AI 결과물의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고유한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인프라 구성 유연성을 제공하고 까다로운 AI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한 앤비디아 L40S GPU를 탑재했다. 규모에 관계없이 설계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지 요구사
[더테크=전수연 기자] 에너지 관리·자동화 전문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이하 슈나이더)이 인텔(Intel), 레드햇(Red hat)과 차세대 개방형 자동화 인프라를 위한 협력에 나섰다고 28일 밝혔다. 슈나이더는 인텔, 레드햇과 함께 에코스트럭쳐 오토메이션 엑스퍼트의 확장 버전인 새로운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분산형 제어 노드(Distributed Control Node)를 선보였다. 슈나이더의 에코스트럭쳐 오토메이션 엑스퍼트는 IEC61499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한 범용 자동화 제품이다. 이 시스템은 개방형 플랫폼으로 기본 하드웨어 인프라와 상관없이 독립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모델링하고 배포해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슈나이더와 인텔, 레드햇이 협력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ACP(고급 컴퓨터 플랫폼)는 가상화·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워크로드를 안전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배포할 때 필요한 콘텐츠 제어·자동화 기능을 제공해 제어 워크로드를 감독한다. DCN은 인텔 아톰 x6400E 시리즈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저전력 산업용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더 큰 유연성, 성장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자동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생성형 AI, 자율주행 등 데이터 처리에 유용한 차세대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글로벌 기업 레드햇(Red Hat)과 CXL(Compute Express Link, 고성능 서버 시스템에서 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D램·저장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 메모리 동작 검증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CXL은 △생성형 AI △자율주행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등 처리해야 할 데이터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에 유용하다. 또한 CXL은 CPU, GPU 등 다양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연결하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기존 SATA 전송 속도의 한계를 극복한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 기반의 통합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데이터 처리 지연, 속도 저하, 메모리 확장 제한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기업용 리눅스 OS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ed Hat Enterprise Linux 9.3 이하 RHEL 9
[더테크=조재호 기자] 오라클과 레드햇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에서 협업을 확대한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번 협업 확대로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OCI에서 지원한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온 OCI(Red Hat OpenShift on OCI)는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인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오라클과 레드햇이 함께 테스트, 인증, 지원하는 서비스다. 아울러 온프레미스(사내구축형) 데이터센터에서 레드햇 오픈시프트를 사용하는 고객은 기존 오픈시프트 환경을 OCI로 보다 쉽게 이전할 수 있다. 이번 협력으로 고객사는 레드햇과 오라클 지원팀 모두에게 지원받을 수 있다. 카란 바타(Karan Batta) OCI 수석 부사장은 "많은 고객사가 OCI로 마이그레이션해 보다 고성능이고 안전하며 합리적인 비용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며 ”레드햇과 협력을 통해 레드햇 오픈시프트 고객들이 전 세계 어디서든 OCI의 분산현 클라우드에서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OCI의 분산형 클라우드는 미국과 영국, 호주의 정부용 오라클 클라우드 리전과 고객이 직접 관리하는 OCI 전용 리전, 파트너사가 제공하는 오라클 알로이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SDS가 클라우드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 및 금융 서비스에 강점을 지닌 IBM,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기업 레드햇과 손을 잡았다. 기업 클라우드 비즈니스를 강화한 삼성 SDS가 강력한 우군을 맞이했다. 삼성SDS는 IBM·레드햇과 공동 영업 및 기술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의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발표했다. IBM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레드햇 오픈시프트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성할 예정이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는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해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쿠버네티스 기반의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묶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거나 확장하는 등의 관리를 자동화한 시스템이다. 삼성SDS 관계자는 더테크에 “이번 협업은 삼성SDS 경쟁력을 강화해 클라우드 사업을 확대하고 고객의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삼성SDS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고객들이 오픈시프트를 통해 기업 업무시스템을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테크=조명의 기자] IT서비스 기업 킨드릴(Kyndryl)은 클라우드 컨테이너 플래폼을 위한 레드햇 오픈시프트용 신규 서비스와 기능을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새로운 통합 서비스와 기능은 보다 포괄적인 컨테이너 관리·보안 기능의 일부로서, 고객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를 자동화하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킨드릴의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서비스는 하이퍼스케일러 플랫폼 기반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로 현대화 또는 현재 운영 중인 고객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고급 현대화 서비스는 자동화된 컨테이너화와 마이크로서비스 중심 아키텍처를 통해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의 전환을 가속화한다. 킨드릴의 접근 방식은 민첩성, 확장성,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조직이 더 빠르게 혁신할 수 있게 지원한다. 킨드릴의 레드햇 오픈시프트용 서비스는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배포 속도를 높여 두 운영 모델 간의 일관성을 높이는 동시에 유연성을 유지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민첩성을 높이고 리스크를 최소화해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의 오케스트레이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