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한국에는 미래 지향적인 리더들이 AI를 기업에 통합시키고 다른 기업에도 그 방법을 알리면서 분야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시장에서 GPU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한국은 AI 혁신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는 매일 카이스트나 서울대학교에서 새롭게 나오는 흥미로운 논문과 로봇 데모를 봅니다. 이러한 연구의 성과는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SK AI 서밋 2024' 참석을 앞둔 스티븐 발라반 람다(Lambda) 최고경영자(CEO) 겸 창업자는 29일 SK텔레콤과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AI 혁신 속도가 글로벌 기준으로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고 평가하며, AI 혁신의 필수 기반으로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강조했다. 2012년 AI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람다는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GPUaaS 기업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SKT와 람다는 AI 인프라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그는 SKT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 AI 시장의 발전과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 그는 "AI 생태계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고, AI로 인해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분야 필수 인프라인 AI 데이터센터(Data Center, 이하 DC)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SK텔레콤은 AI DC 사업 본격 추진을 위한 첫 번째 행보로 그래픽 처리장치(GPU)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인 람다(Lambda)에 투자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람다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GPU를 공급받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 중이다. 현재 전세계 DC 서버용 GPU 시장은 엔비디아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AI 사업을 추진 중인 빅테크부터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GPU 확보에 공을 쏟고 있다. 유영상 SKT 사장은 “SKT가 보유한 AI 역량과 안정적인 GPU를 기반으로 AI DC와 AI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자 한다”며 “SKT는 인프라를 포함한 AI 관련 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워 대한민국과 글로벌 AI 산업을 이끄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SKT가 추진하는 AI DC는 기존 데이터센터가 데이터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AI 학습과 추론 등에 필수적인 GPU 서버와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전력 공급, 열효율 관리를 위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다양한 기업들이 메타버스 사용자 확보에 힘쓰고 있다. 특히 LLM(초거대언어모델)을 활용해 새로운 플랫폼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K-메타버스'를 발전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확인해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는 코리아 메타버스 페스티벌 2023(KMF 2023) 개막 첫날인 16일 서울 코엑스 D홀에서 ‘The MEANS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글로벌 메타버스 컨퍼런스 'The MEANS 2023' 개최) KMF 2023은 국내 메타버스 기업이 총출동한 행사인 만큼 다양한 관람객들이 모였다. 특히 직접 VR과 메타버스를 체험해보기 위해 모인 학생들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리는 모습이었다. 컨퍼런스 장은 전시회 한 켠에 마련돼 있었다. 행사가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생소한 메타버스 개념인 MaaS(Metaverse as a Service)와 MoT(Metaverse of Things)를 배치된 안내 책자를 통해 공부하는 이들도 있었다. The MEANS 2023의 첫 순서로 허욱 메타코리아 부사장이 ‘Metaverse with A.I’, 메타의 메타버스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