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조작하는 나노기술 관련 연구개발 성과를 일반에 대거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3일부터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나노코리아 2024’에 참가해 최첨단 나노 신기술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ETRI는 최근 연구개발 중이거나 성과로 도출된 △촉감센서 직접형 로봇 △근골격·심혈관 등 의료분야 △뉴모로픽 인공지능 기술 등 일상과 밀접한 나노 관련 기술 6개와 3개 사업 등을 일반에 공개한다. ETRI가 전시하는 기술 중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위한 유연인장 패치’ 등이 눈에 띈다. 먼저 360도 전방위 촉각센서 로봇핸드 기술은 공기압 기반의 압력센서와 로봇핸드가 융합된 기술이다.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해 사람의 손처럼 자연스럽게 물체를 다룰 수 있다. 사람 피부와 유사한 촉각센서와 물체의 강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처리 기술의 융합으로 로봇과 상호작용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스마트팩토리, 휴머노이드 기술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근골격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서 기술은 피부에
[더테크=조재호 기자] 글로벌 나노융합기술 비즈니스 전문 전시회 ‘나노코리아 2024’가 오는 7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Invisible Nano Realizes the Future’를 주제로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나노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공동주관하는 국내 유일의 나노융합 기술 전문 분야 기술 전시회로 올해 22회를 맞이했다. 이번 전시회는 △나노 △접착·코팅·필름 △레이저 △첨단세라믹 △스마트센서 총 5개의 첨단기술 전시회가 합동으로 개최된다. 삼성전자,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포항공과대학교 나노융합기술원 등 다양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400개사 700부스 규모로 진행된다. 이외에도 △나노융합 R&D 성과홍보관 △2D Materials 특별관 △친환경소재 특별관 △국내 신진 연구자의 성과를 전시한 나노코리아 포스터세션 △해외전시 특별관 등 특별관을 조성해 글로벌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부대행사로 국내외 산업계·연구계 저명인사 연설을 통해 나노기술분야 연구개발 및 산업 현황을 조망하는 강연과 산업화 세션, 2D Materials 세미나, 친환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지난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나노코리아 2023(NANO KOREA 2023)’이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 특화된 전시회인 나노코리아 2023은 올해가 21번째 행사로 나노와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레이저기술, 스마트센서 등 첨단 기술 분야의 400여 기업이 참여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아울러 다양한 심포지엄과 부대행사가 진행돼 참여 기업과 관람객들이 첨단 나노기술 트렌드 및 상용화 현황, 국내외 유명기업들의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더테크가 나노코리아2023의 다양한 모습을 영상으로 담았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재 대한민국 첨단테크를 든든히 받치는 소부장과 나노기술의 힘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전시회였다. 기업 관계자를 비롯해 관련 학과 대학생으로 보이는 일반 관람객들의 모습이 상당수 눈에 띄기도 했다. 나노코리아 2023(NANO KOREA 2023)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올해로 21회차를 맞는 나노코리아2023은 최첨단 나노 기술과 레이저기술,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융합소재, 스마트센서까지 국내외 400여개 기업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이와함께 부대행사와 심포지엄도 다채롭게 진행됐다. 빠른 걸음으로 둘러본다면 그리 큰 규모의 행사장은 아니었지만, 현장 관계자들의 쉽고 친절한 설명에 발걸음이 자주 멈췄다. 대기업의 공공기관 부스가 전시회장 가장 안쪽에 위치해 중소규모 부스들을 먼저 둘러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관람동선도 좋았다. 기자가 전시회장을 방문한 날 가장 눈에 띄는 부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었다. 부스 크기도 그렇지만 유난히 많은 사람들이 몰렸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휴머노이드 로봇암과 나노 기술 기반의 로봇을 만나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옆에는 다기능 유연센서
[더테크=조명의 기자] 마치 종이접기 하듯이 다양한 모양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나노 구조체를 DNA로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암이나 알츠하이머를 일으키는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나 약물전달용 나노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도년 교수 연구팀이 종이접기 작동 원리에 착안해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DNA 나노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의 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외부 자극에 의한 형상 변화를 통해 특정 기능의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성 나노구조체는 약물전달, 분자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DNA 나노기술은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해 원하는 형상과 물성을 가지는 구조체를 높은 정밀도로 제작이 가능해 기능성 나노구조체 개발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연구는 DNA 나노구조체에 경첩이나 관절과 비슷한 기계적인 요소를 도입해 단순한 변형과 제한적 기능을 구현하는 데 그쳤다. 하나의 구조체가 다양한 모양으로 변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