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조재호 기자] KG모빌리티가 2007년 이후 16년만에 순수 영업실적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KG모빌리티는 지난 2023년 판매고 11만6099만대를 올리고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 3조7800억원, 영업이익 50억, 당기순이익 12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의 배경으로는 KG 가족사로 새롭게 출발하면서 내부 경영체질개선을 위핸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노력 그리고 공격적인 해외 신시장 개척을 통한 수출물량 증대 등에 힘입은 것이다. KG모빌리티가 영업실적만으로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07년 이후 16년 만이다. 2023년 판매는 내수 6만3345대, 수출 5만2754대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1.9% 증가했으며 매출은 재품믹스 등의 개선 효과로 지난해대비 10.4% 증가한 3조7800억원을 기록해 창사 이래 연간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수출은 토레스를 중심으로 한 신제품 출시와 공격적인 신시장 개척을 통해 지난 2014년 7만2011대 이후 9년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5% 증가하는 등 전체적인 판매 상승세를 견인했다. 올해 창사 70주년을 맞는 KG모빌리티는 올해를 백년대계를 위한 도약의 원년으로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향후 6G 이동통신을 위한 AI 기반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을 개발하고 개념검증을 완료했다. SKT는 NTT도코모, NTT, 노키아 벨연구소와 협력해 6G 이동통신 검증을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통신, AI의 융합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6G 시대를 대비해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에 AI를 접목한 것이다. 비전 AI에서 보편된 AI 모델이 기지국의 변복조 송수신 기술에 적용됐다. 기존 시스템은 송수신기간 무선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 신호를 사용하고 있으나 AI 기반 변복조 송수신 기술을 통해 제어 신호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이 개선됐다. 4사는 연구소 내 채널 애뮬레이터 환경뿐만 아니라 실제 무선(Over the Air) 환경에서도 관련 실험을 진행했으며 실험실 환경에서 AI 기반 기지국 변복조 송수신 기술을 적용한 결과 평균 10% 이상의 속도 향상을 확인했다. 이번 개발은 SKT의 AI 인프라 영역 무선 송수신뿐만 아니라 기지국 운용최적화·자동화 등 전 영역에 걸쳐 AI를 적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진행됐다. 앞서 SKT는 NTT도코모와 파트
 
								[더테크=전수연 기자] LG CNS가 연암공과대학교와 함께 차세대 ERP(클라우드 인프라 전환의 가속화, 앱 현대화 기술 도입에 따라 진화한 ERP) 전문가 육성에 나선다. LG CNS와 연암공대는 ‘DX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합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LG CNS와 연암공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소프트웨어학과에 SAP 전공을 신설한다. 올해 3학년 학생부터 세부전공으로 SAP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교육과정은 △SAP 개론 △클라우드 ERP 인프라 운영 △ABAP(Advanced Business Application Programming, SAP에서 개발한 ERP 소프트웨어인 SAPS/4HANA를 회사에 맞게 구축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BTP(Business Technology Platform,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분석, AI 기능 등 SAP 관련 서비스, 솔루션을 단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플랫폼) 프로그래밍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LG CNS는 글로벌 ERP 기업인 SAP의 글로벌 전략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SAP와 차세대 ERP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며 쌓은 기술력,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국의 반도체 기업으로 GPU 시장의 절대강자인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21일(현지시각)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21억달러(29조4570억원)의 매출과 주당 5.15달러(6864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65%, 총이익은 769% 급증했다. 앞서 시장조사기관 LESG는 엔비디아의 4분기 실적 전망을 매출 206억2000만달러(27조4885억원), 주당 순이익은 4.64달러(6185원)로 제시했다. 이날 정규 거래에서 3% 가까이 하락한 엔비디아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시간외거래에서 10% 이상 상승하며 740달러를 넘어섰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H100 등의 서버용 인공지능(AI) 칩 판매 호조에 따른 것이다. 현재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90% 점유율을 보이면서 사실상 독점 공급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매출은 대부분은 데이터센터 사업에서 나왔다.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409% 증가한 184억달러(24조5290억원)를 기록했고, PC와 노트북용 GPU를 포함한 게임 부문은 56% 늘어난 28억7000만달러(3조8260억원)를
 
								[더테크=전수연 기자] 국내 정보보호 산업계 선순환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정보보호산업 현대화를 위한 전문위원회 및 협의체 운영 등을 아우르는 정보보호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가 제4기 ISC 대표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ISC는 앞으로의 사이버보안 인재 육성, 기업 애로사항 해결 등의 주요 내용을 새롭게 공개했다. 정보보호 인적자원개발위원회,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제4기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출범식을 21일 진행했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는 국내 정보보호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국가산업 전반의 정보보호 수준 제고를 위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따라 설립된 법정법인이다. 주로 △정보보호산업 실태 조사 △인증·조달제도·애로사항 해결센터 운영 △ZeroTrust·공급망 보안·랜섬웨어 등의 관련 협의체 운영 △기타 정보보호 관련 정책 및 R&D 연구 수행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해외진출 분야에서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는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다각화, 현지 전문인력 양성, 해외기관 네트워크 구축, 정보보호 스타트업 성장 지원, 정보보호 클러스터 인프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유럽을 시작으로 주요 국가에서 ‘테크 세미나’를 열고 AI 스크린 시대의 혁신 기술을 소개한다. 삼성전자는 20일부터 22일까지(현지시간) 독일 푸랑크푸르트에서 Neo QLED와 OLED 등 2024년형 TV 혁신 기술을 소개하는 ‘2024 유럽 테크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1일 알렸다. 테크 세미나는 매년 전세계 주요 지역의 영상·음향 분야 미디어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TV 신제품, 최신 기술 및 서비스를 알리는 행사로 업계 관계자들이 제품을 체험하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자리다. 올해 13회차를 맞는 행사로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중심의 화질 기술력 △강화된 맞춤형 경험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2024년형 Neo QLED 8K는 전년 대비 8배 많은 512개의 신경망과 2배 빠른 NPU를 적용한 AI 프로세서 'NQ8 AI 3세대'를 탑재했다. 이를 기반으로 저화질 콘텐츠를 8K 화질로 선명하게 업스케일링하는 등 탁월한 화질을 선보인다. 2024년형 삼성 TV는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했다. 대표적으로 타이젠 OS를 통해 계정별 맞춤형 콘텐츠 추천 등으로 더욱 개인화된 경험을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와 기초과학연구원, 한양대가 공동 연구를 통해 초고속 초저전력 반도체 기술 구현을 위한 초고속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위상적 솔리톤이라는 구조체를 이용했는데 스핀트로닉스 기술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는 물리학과 김세권 교수 연구팀이 기초연구과학연구원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PCS-IBS) 김경민 박사팀,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박문집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뒤틀림 자성체를 이용해 위상적 솔리톤을 안정화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스핀트로닉스는 성장 한계에 다다른 기존 반도체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전자의 양자적 성질인 스핀을 이용해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다. 이번에 개발한 솔리톤 안정화 기술에서 솔리톤이란 특정한 구조가 주변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라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위상적 솔리톤이라는 구조체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개발이 전 세계에서 경쟁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전까지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을 위해 연구됐던 위상적 솔리톤으로는 스핀 구조체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총 6천만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크레딧과 기술 전문성을 의료를 위해 투자한다. AWS는 의료 형평성 이니셔티브(AWS Health Equity Initiative)에서 2천만 달러를 추가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2021년 AWS는 의료 형평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자사 의료 형평성 이니셔티브를 출범해 3년간 229개 조직에 4천만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크레딧, 기술 전문성을 지원했다. 현재까지는 3천만 달러 이상의 기금이 사용됐다. 이번 의료 형평성 이니셔티브는 새로운 자금 지원 분야를 추가해 기후 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위해 노력한다. 우선 AWS는 합리적인 가격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사회 지원에 대한 회복 탄력적인 커뮤니티 조성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AWS는 전 세계 7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의료, 사회 서비스와 관련된 기본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미국국립의학아카데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의 건강, 삶의 질, 건강 위험의 80%가 의료 서비스 등의 사회 결정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 헬스케어 스타트업 폭스(FOLX)는
 
								[더테크=전수연 기자] 반도체 전문기업 인텔(Intel)이 19일 플란트란스 성수 플래그쉽에서 ‘AI Everywhere’ 쇼케이스를 갖고 자사 AI PC 전략과 인텔® 코어™ Ultra 프로세서를 탑재한 최신 노트북들을 소개했다. 앞서 인텔은 어디서나 AI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Everywhere 비전을 발표하고 인텔 최초의 클라이언트용 온칩 AI 가속기(NPU)가 탑재된 인텔® 코어™ Ultra를 출시한 바 있다. 인텔® 코어™ Ultra는 AI 가속 기능,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PC 플랫폼으로 크리에이티브 작업, 스트리밍, 게임 등 모든 면에서 AI 기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이번 쇼케이스를 통해 인텔은 인텔® 코어™ Ultra를 탑재한 삼성, LG, 레노버 등 제조사의 최신 노트북 12종을 한자리에 선보였다. 또 생성형 AI를 활용해 텍스트 입력만으로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고 음악을 작곡하는 등 AI PC를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사례를 소개했다. 이날 온디바이스 AI의 시장 전망을 발표한 이형수 HSL 파트너스 대표는 “AI를 활용하는 시장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클라우드에 연결하지 않는 온디바이스 A
 
								[더테크=전수연 기자]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몽고DB(MonggoDB)가 문서 모델 유연성,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쿼리 API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새롭게 공개했다. 몽고DB는 아틀라스 스트림 프로세싱(Atlas Stream Processing)의 퍼블릭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아틀라스 스트림 프로세싱은 빠르게 변화하는 이벤트 데이터의 스트림을 집계, 보강하고 전송 중이거나 유휴 상태의 데이터 작업 방식을 통합한다. 이에 몽고DB는 개발자가 아틀라스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를 지속 처리할 뿐 아니라 컨플루언트 클라우드(Confluent Cloud), 아마존 MSK(Amazon MSK), 애저 이벤트 허브(Azure Event Hubs), 레드판다(Redpanda)를 비롯한 파트너 서비스에서 호스팅 되는 카프카(Kafka)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아틀라스 스트림 프로세싱을 지원한다. 이번 퍼블릭 프리뷰 버전의 주요 기능 중 개발자 환경 개선 차원에서 몽고DB는 VS 코드 플러그인에 스트림 프로세싱 인스턴스 연결을 지원하고 VS 코드를 통합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익숙한 개발 환경에서 프로세서를 생성, 관리해 도구 간 전환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곤충의 시신경계를 모방해 초고속·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신개념 ‘지능형 센서’ 소자를 개발했다. 교통, 안전, 보안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돼 산업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스트는 19일 김경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멤리스터 소자를 융합해 곤충의 시신경에서의 시각 지능을 모사하는 지능형 동작인식 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지능형 동작인식 소자는 곤충의 시신경계를 참고했다. 초파리 같은 곤충은 비교적 작고 간단한 뇌와 시신경계를 지녔는데 다양한 환경에서 민첩하게 움직이고 생존할 수 있도록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이는 기본 동작 감지기 (Elementary Motion Detector, EMD) 라는 특수한 신경 회로 덕분이다. 김경민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곤충은 매우 간단한 시각 지능을 활용해 놀랍도록 민첩하게 물체의 동작을 인지한다”며 “이번 연구는 멤리스터 소자를 활용해 이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근 AI가 탑재된 휴대폰 같이 에지(edge)형 인공지능 소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동작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2023년 내부결산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액 2711억원, 영업이익 346억원을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별도기준으로는 매출액 1280억원, 영업이익 412억원을 기록하며 연결과 별도기준 모두 안정된 실적을 나타냈다. 이는 최근 2년간 공공분야, 기업군의 클라우드 SaaS 전환 사업에 선제 대응해 새로운 중장기 수익 모델을 확보하고 종속사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편해 별도뿐 아니라 연결기준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성장성과 수익 창출 모두 고려한 투자 집행과 기존 투자사의 수익성을 제고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했다. 또한 B2G, B2B 사용자의 디지털 전환이 늘어나는 흐름에서 설치형 제품인 한컴오피스,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인 한컴독스, 웹기안기 등 SaaS와 웹 기반 제품 수요도 커지며 매출의 클라우드 제품군 비중은 10%를 상회했다. 한컴은 올해도 공공분야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사업에 적극 참여해 AI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한 사업 확산을 진행한다. 특히 상반기 내 ‘한컴독스 AI’ 정식 버전을 출시하고 ‘한컴 도큐먼트 QA’, ‘한컴 어시스턴트’